BRONZE
BRONZE 등급의 판매자 자료

공존의 공적 생활을 위한 쇼핑공간의 재해석(건축 리포트)

"공존의 공적 생활을 위한 쇼핑공간의 재해석(건축 리포트)"에 대한 내용입니다.
18 페이지
한컴오피스
최초등록일 2020.06.08 최종저작일 2019.04
18P 미리보기
공존의 공적 생활을 위한 쇼핑공간의 재해석(건축 리포트)
  • 본 문서(hwp)가 작성된 한글 프로그램 버전보다 낮은 한글 프로그램에서 열람할 경우 문서가 올바르게 표시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이 경우에는 최신패치가 되어 있는 2010 이상 버전이나 한글뷰어에서 확인해 주시기 바랍니다.

    미리보기

    소개

    "공존의 공적 생활을 위한 쇼핑공간의 재해석(건축 리포트)"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1.1 프로젝트의 목적과 배경
    1.2 프로젝트의 대상과 방법

    2. 본론
    2.1 현대의 공공 공간
    2.2. 질 들뢰즈(Gilles Deleuze)와 공공 공간
    2.3 쇼핑(Shopping)과 도시
    2.4. 서울에서의 쇼핑(Shopping)
    2.5 디자인 목표
    2.6 대지선정

    3. 결론

    본문내용

    1.1 프로젝트의 목적과 배경
    오늘날 우리는 모든 장소에서 소비라는 행위를 한다. 이는 단순히 물리적인 장소뿐만 아니라 사이버 공간(Cyber Space)에서도 이루어진다. 그 대상도 물건과 재화, 서비스뿐만 아니라 공간을 소비하고 있다. 이러한 점에서 소비는 전통적으로 행해지던 것으로써의 가치보다 우리에게 더욱 중요한 논쟁을 던진다.
    사성과 공성의 재해석을 통해 공공 영역과 사적 영역을 다시 바라보게 됨으로써 우리는 새로운 공적·사적 생활을 영위하고 있다. 특히 도시의 영역에서는 그것이 미치는 영향이 더욱 남다를 수밖에 없다. 전통적인 논의들은 길과 광장, 공공기관만이 공공 공간으로써 해석되고 그 이외에는 사적 공간으로써 인식된 반면 현재는 비약적으로 발전한 정보통신 등의 기술의 변화를 통해 사적 영역은 점유되었다가 사라지는, 모든 것이 점(點)으로 인식되고 그 영역만이 나타났다가 사라진다.
    이러한 추세 속에서도 쇼핑의 개념은 물리적인 구축물인 몰, 마트, 멀티플렉스(Mall, Mart, Multiplex)의 경계를 벗어나지 못하고 있음은 사실이다. 이들은 거대 쇼핑공간이 가지는 매력을 통해 일차원적으로는 주변 상권을 흡수하고 도시체계를 바꾸지만, 더 나아가 도시 전체의 생활과 도시의 다양성을 흡수하는 블랙홀로써 작용하고 있다. 따라서 쇼핑공간이 현대의 관점으로 어떻게 재해석 되고 나아가야 할 방향성을 탐구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1.2 프로젝트의 대상과 방법
    이 프로젝트는 과거와는 확연히 다른 새로운 패러다임을 맞이하는 시점에서 다루어야 할 도시와 쇼핑의 관계를 탐색하기 위한 것이다. 즉 쇼핑 공간이라는 소비 공간이 그 내부적 물리 공간이 아니며 도시 내부에 위치해 있는 것이 아닌, 행태로서의 쇼핑이 어떻게 공공 공간과 동치(同値)될 수 있는지를 확인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전통적으로 인식하고 있던 공공 공간의 이해와 그에 제기된 문제. 그리고 기술의 발전으로 바뀐..

    <중 략>

    참고자료

    · 고길섶, 2000, “사회운동의 새로운 가로지르기:공공영역과 공공성의 정치”
    · 김광현, 2000, “현대 주거에 나타나는 사성과 공성의 관계에 대한 연구”
    · 김미영, 2017, “현대 공공 공간의 새로운 가능성 고찰”
    · 김지윤, 2016, “핸드폰에 의한 공적영역의 변화:개인 사용자들의 경험을 중심으로”
    · 김현하, 2005, “단위와 커뮤니티의 해석을 통한 현대 주거공간의 비정주적 특성에 관한 연구”
    · 유정호, 2007, “질 들뢰즈의 ‘생성 혹은 되기’개념을 통한 현대건축의 경계에 관한 연구”
    · 정지영, 2016, “렘 콜하스의 도시론과 정크스페이스 개념에 대하여”
    · 이진경, 2002, 2015, “노마디즘1,2”
    · 임기택, 2014, “통제담론과 건축이론”
    · 임성훈, 2005, “‘낯설게 하기’를 통한 현대건축의 표현에 관한 연구”
    · 조영국, 2006, “현대 건축의 공공영역에 나타나는 경계변이 양상과 방향에 관한 연구”
    · 조한, 2010, “들뢰즈 철학과 SANNA 건축의 비표상적인 생태적 사유”
    · 조한, 2012, “렘 쿨하스 건축에 내재한 들뢰즈의 생성적 사유 연구”
    · 최병두, 2002, “근대적 공간의 한계”
    · ARQ, 2001, “Volume 5 - Issue 3, interview with Rem koolhaas”
    · Claire Colebrook, 2002, “Understanding Deleuze”
    · Chuihua Judy Chung, Jeffrey Inaba, Rem Koolhaas, Sze Tsung Leong, 2002, “The Harvard Design School Guide to Shopping”
    · Fredric Jameson, 2003, “Future city”
    · Gilles Deleuze, 1968, “Différence et répétition”
    · Gilles Deleuze, 1980, “Mille Plateaux”
    · Peter Hemmersam, 2004, “Shopping – Integrating the Fragmented City”
    · Rem Koolhaas, 2002. “Junkspace”
    · 김준호, 2011,“공공 공간에 대한 소수자의 권리를 위한 시론: 거리노숙인의 ‘도시에 대한 권리’를 중심으로’
    · 이무용, 2005, “공간의 문화정치학”
    · Jürgen Habermas, 2001, “The Structural Transformation of the Public Sphere: An Inquiry Into a Category of Bourgeois Society”
    · Beatriz Colomina, 1994, “privacy and publicity”
    · Goodsell, C.T., 2003, “The concept of public space and its domestic manifestations”
    · Graham, S. and S. Marvin, 2001, “Splintering urbanism: networked infrastructures, technological mobilities and the urban condition”
    · Graham, S. and Marvin, S., 1996, “Telecommunications and the City: Electronic Spaces, Urban Places”
    · Sennett, R., 1992, “The Fall of Public Man”
    · Sorkin, M., 1992, “Variations on a theme park: the new American city and the end of public space,”
    · Shields, R., 1992, “Spaces for the Subject of Consumption in Lifestyle shopping: the subject of consumption,”
    · Zukin, S., 1991, “Landscapes of Power: From Detroit to Disney World”
  • 자료후기

      Ai 리뷰
      이 자료는 깊이 있는 설명과 다양한 예시 덕분에 과제를 작성하는 데 큰 도움이 되었습니다. 앞으로도 이런 유익한 자료가 계속 등록되기를 바랍니다!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1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16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