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석 창만은 허증, 실증, 한증, 열증이 있다.
若脹而形氣虛少寒者, 宜用寒脹中滿分消湯, 卽人參, 黃芪, 當歸, 茯苓, 厚朴, 半夏, 吳萸, 黃連, 乾薑, 生薑, 升麻, 柴胡, 川烏, 麻黃, 青皮, 黃蘗, 澤瀉, 畢澄茄, 草豆蔻, 益智, 木香也.
만약 창만에 형기가 허약하고 적고 차면 한창중만분소탕을 사용하니 인삼, 황기, 당귀, 복령, 후박, 반하, 오수유, 황련, 건강, 생강, 승마, 시호, 천오, 마황, 청피, 황백, 택사, 필징가, 초두구, 익지인, 목향이다.
脹而形氣虛少熱者, 宜用熱脹中滿分消湯。
창만에 형기가 허약해 적고 열이 나면 의당 열창중만분소탕을 사용한다.
卽縮砂, 人參, 白朮, 茯苓, 炙草, 廣皮, 半夏, 知母, 猪苓, 澤瀉, 枳殼, 厚朴, 黃芩, 黃連, 乾薑, 薑黃也。
廣皮:陳皮의 異名, 廣橘皮, 廣陳皮
열창중만분소탕은 축사, 인삼, 백출, 복령, 자감초, 광피, 반하, 지모, 저령, 택사, 지각, 후박, 황금, 황련, 건강, 강황이다.
水腫治法
부종치료법
上腫多風宜乎汗, 下腫多濕利水泉, 汗宜越婢加蒼朮, 利用貼臍琥珀丹, 外散內利疏鑿飲, 喘不得臥蘇葶先, 陽水熱浚濕神祐, 陰水實脾腎氣丸。
위의 부종은 많이 풍이니 발한이 마땅하며, 아래 부종은 습이 많으니 방광을 이롭게 하니 발한은 월비탕에 창출을 가미하고, 이수는 배꼽에 붙이는 호박단이며, 외부로 발산하고 내부로 이수하는데 소착음이며 숨참으로 눕지 못하면 소자정력환을 먼저 쓰고 양수로 열이 있는데 습을 준설하려면 주차신우환이며 음수이면 실비음과 신기환이다.
【注】從上腫者, 多外感風邪, 故宜乎汗。
주석 위에서 부으면 외감 풍사가 많으므로 의당 땀을 내야 한다.
從下腫者, 多內生濕邪, 故宜乎利水。
아래부터 부종이면 많이 안에서 습사가 생기니 이수를 함이 의당하다.
外散風水, 宜用越婢湯加蒼朮, 卽麻黃, 石膏, 甘草, 蒼朮也。
외부로 풍수를 흩어지게 해야 하니 월비탕에 창출을 가미해 사용하니 마황, 석고, 감초, 창출이다.
內利水濕, 宜用貼臍等法。
안으로 수습을 잘 나가게 함은 배꼽에 붙이는 방법을 사용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