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석 유씨는 유가언이다.
枇, 枇杷葉也。
비란 비파엽이다.
羚犀, 羚羊角, 犀角也。
영서는 영양각과 서각이다.
蔞霜, 栝蔞霜也。
누상이란 과루상이다.
透羅丹 瀉肺丸
투라단 사폐환
寒實痰清透羅丹, 欬時涎壅氣出難, 巴杏大牽皂半餅, 熱實痰稠瀉肺丸。
한실로 담이 맑으면 투라단이며 기침할 때 침이 막히며 기가 배출하기 어려우면 파두, 행인, 대황, 견우자, 조각, 반하를 떡인 투라단이며, 열실로 담이 끈적하면 사폐환이다.
【注】寒實痰盛涎清, 熱實痰盛稠黏, 皆能令人欬嗽。
주석 한실로 담이 왕성하면 침이 맑고 열실로 담이 성대하면 끈적하니 모두 사람을 기침하게 한다.
嗽時痰涎頓壅, 氣閉難出。
기침할 때 담연이 갑자기 막으면 기가 닫혀 배출이 어렵다.
寒實者用透羅丹, 卽巴豆, 杏仁, 大黃, 牽牛, 皂角, 半夏共爲末, 蒸餅爲小丸, 量服, 方出《丹溪心法附餘》。
한실증은 투라단을 쓰니 파두, 행인, 대황, 견우자, 조각, 반하를 같이 가루내어 떡을 쪄서 작은 환을 만들어 헤아려 복용하니 처방은 단계심법부여에서 나온다.
熱實者, 宜瀉肺丸, 方見失血門。
열실증은 사폐환이 의당하니 처방은 실혈문에서 나타난다.
人參瀉肺湯
인삼사폐탕
積熱傷肺宜瀉肺, 喘嗽痰多粘色黃, 胸膈滿熱大便澁, 凉膈枳桔杏參桑。
쌓인 열이 폐를 손상하면 폐를 사해야 하니 숨참, 기침에 담이 많고 끈적하는 황색, 흉격이 가득하고 열이면서 변비가 있으면 양격산에 지각, 길경, 행인, 인삼, 상백피를 가미한다.
【注】人參瀉肺湯, 卽凉膈散, 梔子, 連翹, 薄荷, 黃芩, 大黃, 甘草, 枳殼, 桔梗, 杏仁, 人參, 桑皮也。
주석 인삼사폐탕은 양격산[치자, 연교, 박하, 황금, 대황, 감초]에, 지각, 길경, 행인, 인삼, 상백피를 가미함이다.
鐘乳補肺湯
종유보폐탕
補肺虛寒喘嗽血, 皮毛焦枯有多年, 生脈菀款桑皮桂, 鐘英糯米棗薑煎。
허한증의 폐를 보하고 숨참, 기침, 출혈, 피모가 오랜해 타고 말라 있으면 생맥산[인삼, 맥문동, 오미자]에 자완, 관동화, 상백피, 계지, 종유석, 백석영, 나미, 대조, 생강을 달인다.
【注】補肺湯, 卽人參, 麥冬, 五味子, 款冬花, 紫菀, 桑皮, 桂枝, 鐘乳石, 白石英, 糯米, 大棗, 生薑也。