잡병심법요결 2권 허로총괄 허로사증 허로치법 증음이로탕, 증양이로탕, 대보음환, 자음강화탕, 궁귀탕, 개골산, 사물탕, 성유탕, 육물탕, 가미사물탕, 지골피음 팔진탕, 십전대보탕, 소건중탕, 황기건중탕, 당귀건중탕, 쌍화음, 보간탕, 가미구폐탕, 천왕보심단, 귀비탕, 인삼보곤탕환, 보원생맥고본탕, 소요산 .hwp 13페이지
是方, 卽柏子仁, 五味子, 茯苓, 當歸, 生地, 桔梗, 丹參, 人參, 元參, 天冬, 麥冬, 遠志, 硃砂, 酸棗仁。
주석 이 천왕보심단 처방은 백자인, 오미자, 복령, 당귀, 생지황, 길경, 단삼, 인삼, 원삼, 천문동, 맥문동, 원지, 주사, 산조인이다.
歸脾湯
귀비탕
歸脾思虛傷心脾, 熱煩盜汗悸驚俱, 健忘怔忡時恍惚, 四君酸遠木歸耆。
귀비탕은 사려 허증에 심과 비를 손상하고 열로 심번하고 도한하고 경계를 갖추며, 건망, 정충으로 때로 황홀함이니 사군자탕에 산조인, 원지, 목향, 당귀, 황기를 가미한다.
【注】悸, 心自跳動也, 驚, 目觸物駭也。
주석 계란 심장이 저절로 뛰는 것이며 경이란 눈이 사물에 감촉해 놀람이다.
健忘, 言事易忘也。
건망이란 일을 쉽게 잊음을 말함이다.
怔忡, 心衝動甚也。
정충이란 심장이 상충되어 박동이 심함이다.
恍惚, 心時不明也。
활홀이란 마음이 때로 밝지 않음이다.
方乃四君子, 加酸棗仁, 遠志, 木香, 當歸, 黃耆。
귀비탕은 사군자탕에 산조인, 원지, 목향, 당귀, 황기를 가미함이다.
人參固本湯丸 保元生脈固本湯
인삼고본탕, 인삼고본환, 보원생맥고본탕
固本肺腎兩虛病, 肺痿咳血欲成勞, 二冬二地人參共, 保元生脈脾同調。
【注】人參固本湯, 丸, 卽人參, 天冬, 麥冬, 生地, 熟地也。
주석 인삼고본탕, 인삼고본환은 인삼, 천문동, 맥문동, 생지황, 숙지황이다.
依本方再加保元之黃耆, 炙草, 生脈之五味, 三方合一, 名保元生脈固本湯。
본처방에 재차 보원탕인 황기와 자감초를 가미하고 생맥산의 오미자를 더하면 3처방을 합일하면 보원생맥고본탕이라고 이름한다.
同調, 謂同調脾, 肺, 腎三經虛也。
동조란 같이 비경, 폐경, 신경 3경 허를 조절함이다.
逍遙散
소요산
逍遙理脾而清肝, 血虛骨蒸煩嗽痰, 寒熱頰赤脇不快, 婦人經病脈虛弦, 朮苓歸芍柴薄草, 加味梔丹肝熱添, 肝氣滯鬱陳撫附, 熱加吳萸炒黃連。
소요산은 비를 다스리고 간을 맑게 하며 혈허로 골증열에 심번과 기침, 가래가 있고 한열로 뺨이 적색이며 옆구리가 상쾌하지 않으며 부인월경병에 맥이 허현맥이니 백출, 복령, 당귀, 백작약, 시호, 박하, 감초이며...... <중 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