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지와 윌딩이 제시한 사회복지정책 조지와 윌딩의 후기분류 6가지에 대해 설명하시오(신우파,중도노선,민주적사회주의,마르크스주의,페미니즘,녹색주의)
- 최초 등록일
- 2020.05.18
- 최종 저작일
- 2020.05
- 7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5,900원

목차
1. 신우파
2. 중도노선
3. 사회민주주의
4. 마르크스주의
5. 페미니즘
6. 녹색주의
7. 참고문헌
본문내용
조지와 윌딩(1994)은 복지국가를 둘러싼 논쟁과 관련된 정치 이데올로기를 신우파(the New Right). 중도노선(the Middle Way), 사회민주주의(Democratic socialism), 마르크스주의(Marxism), 페미니즘(Feminism), 녹색주의(Greenism) 등의 6가지로 제시하고 었다.
이들 중 앞의 세 가지 이념은 전통적인 정부 개입의 정당성 논쟁에 크게 영향을 미쳐왔으며, 마르크스주의와 페미니즘. 그리고 녹색주의는 다른 맥락에서 복지국가 체제를 넘어선 근본적인 변혁을 제기하고 있다.
1. 신우파
신우파는 1970년대 경제위기 이후부터 다시 등장한 이데올로기로, 서구의 지식계와 정치계에서 나타난 국가활동을 비난하는 고전적 자유주의의 새로운 형태이다. 이들은 자유를 소극적인(negative) 개념, 즉 강제가 없는 상태(absence of coersion)로 파악한다. 신우파는 평등보다는 자유를 명백히 우선시하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불평등을 옹호하는 입장이 된다. 이들은 상이한 지위에 부가되는 상이한 사회적 핑가를 철헤한다면 근로의욕이 상실된다고 주장한다. 더욱이 평등을 이루려면 국가가 강제적으로 개입해야 하는데, 이는 개인의 자유를 침해하는 것과 같다. 유산의 상속도 소득처분의 자유와 공리주의라는 명분 아래 정당화된다.
전반적인 면에서 신우파는 정부의 개입이 유해하다고 주장하기 때문에 자유지상주의(Libertarian)에 가까운 모습을 보이기도 한다.
복지국가는 개인의 자유를 침해할 수밖에 없다는 것이 그들의 주장이다. 신우파가 생각하는 이상적 복지사회는 국가의 역할이 축소되는 대신 시장이 더 많은 역할을 수행하는 형태이다. 시장이야말로 소비자의 선호를 발견하고 조정하는 최선의 체계라고 주장한다. 시장에서의 경쟁은 서비스의 질을 향상시키며, 개인의 책임과 이기심 등 인간 본성에 적합한 측면이 있기 때문에 시장을 활성화하도록 불필요한 개입은 억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입장을 취한다.
참고 자료
사회복지의 이해 : 윤찬영 저, 정민사, 2017
한국 사회복지실천과 복지경영 : 최성균/이준우 저, 파란마음, 2017
사회복지 사례관리 : 이채석 저, 어가, 2017
사회문제와 사회복지 : 최선화, 박광준 외 3명 저, 양서원, 2014
사회복지 행정실무 : 이세형 저, 양성원, 2017
사회복지행정의 이해 : 강종수 저, 학지사, 2019
사회복지서비스 : 한국산업인력공단, 진한엠앤비, 2015
사회복지정책입문 : 김태성 저, 청목출판사, 2018
지역사회복지와 사회복지시설 : 이병록 저, 청목출판사, 2007
사회복지조사방법론 : 최창현, 황민철 저, 윤성사, 2018
사회복지실천론 : 이영분/김기환 등 저, 동인, 20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