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고재종, 2018, 초고령화 사회로의 접근에 따른 노인장기요양보험법의 검토 : 우리나라와 독일법을 중심으로, 제주대학교 법과정책연구원, 法과 政策(Law & Policy Review) Vol.24 No.1, p.27-61.
· 김선희, 2016, 사회서비스 질과 이용자 충성도 연구에 관한 논의 : 관계 질을 중심으로, 한국사회서비스학회, 사회서비스연구 Vol.6 No.2, p.29-50.
· 김정태, 2009, 노인장기요양보호제도에 관한 국가 간 비교 연구 : 스웨덴, 독일, 일본, 한국을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인문정보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김철수, 2010,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의 시설 및 인력 인프라 개선, 한국보건사회연구원, 보건복지포럼 Vol.168 No.-, p.10-15.
· 김현우. 2012. 시장화에 따른 노인장기요양보험 재정구조의 문제점과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원광대학교 일반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권진희, 한은정, 강임옥, 2010, 방문요양서비스에 대해 인지하는 서비스의 질과 만족도, 재이용의사 간의 관계분석, 韓國老年學會, 韓國老年學 Vol.30 No.2, p.355-368.
· 권현정, 2014, 서비스 질의 측면에서 고찰한 노인장기요양서비스 공급구조에 대한 시장화분석, 한국사회복지정책학회, 사회복지정책 Vol.41 No.1, p.289-313.
· 박세경, 2016, 지역사회서비스투자사업의 미래에 관한 탐색적 고찰, 한국사회서비스학회, 사회서비스연구 Vol.6 No.1, p.117-141.
· 선우덕, 2011, 한·독·일 장기요양보험제도의 비교분석과 시사점 고찰, 한양대학교 고령사회연구원, 한양고령사회포럼, Vol.1 No.-, p.1-15.
· 석재은, 2008, 한국 장기요양서비스의 복지혼합 : OECD 국가들과의 비교적 접근, 한국사회보장학회, 社會 保障 硏究(Korean social security studies) Vol.24 No.4, p.197-228.
· 유란희, 2017, 사회서비스의 시장화와 서비스의 질: 노인장기요양서비스의 이용자 제도선택과 만족도를 중심으로, 한국사회보장학회, 한국사회보장학회 정기학술대회 Vol.2017 No.1, p.43-67.
· 이진숙, 박진화, 2011, 시장원리 확대를 통한 노인장기요양서비스의 효과성 평가, 한국보건사회연구원, 保健社會硏究 Vol.31 No.4, p.5-33.
· 이호용, 2011, 사회보장의 시장화와 자기결정, 한양법학회, 한양법학 Vol.35 No.-, p.11-36.
· 이호용, 2016, 국가작용으로서 사회보장의 시장화에 대한 평가 -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를 중심으로, 한양대학교 법학연구소, 법학논총 Vol.33 No.1, p.135-159.
· 이호용, 임진섭, 조정완, 국민건강보험공단 건강보험정책연구원, 2012, 주요국 장기요양제도 비교 연구, 국민건강보험공단 연구보고서 2012-21.
· 조국현, 2008,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에 관한 국가간 비교연구 : 독일, 일본, 한국을 중심으로, 경기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주은선, 2008, 이명박 정부 시대 사회복지: 복지시장의 전면화, 조선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서석사회과학논총 Vol.11 No.2, p.113-133.
· 지은구, 2008, 사회복지민영화와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 한국사회정책학회, 한국사회정책Vol.15 No.2, p.99-143.
· 최은희, 2010,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 서비스 질 관리체계 개선에 관한 연구, 韓國老年學會,
· 韓國老年學 Vol.30 No.2, p.401-419.
· 최재성, 이상우, 2014, 한국 노인요양시설의 서비스 질 관리 : 정부규제와 평가?, 서울연구원, 서울도시연구 Vol.15 No.3, p.124-145.
· 홍희정, 2016, 스웨덴 사회복지서비스 종사자의 근로환경, 복지이슈 today v. 44.
· 황덕순, 2008, 시장원리 확대와 개인사회서비스의 변화, 한국노동연구원, 노동정책연구 Vol.8 No.3, p.63-91.
· KOSIS 국가통계포털 (2016) 노인복지 생활시설 수 및 생활현황
· 국민건강보험공단 http://www.nhic.or.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