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인복지론> 재가복지서비스
- 최초 등록일
- 2020.05.08
- 최종 저작일
- 2017.03
- 38페이지/
MS 파워포인트
- 가격 1,000원

소개글
"<노인복지론> 재가복지서비스"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재가노인복지서비스의 개념
2.재가노인복지의 역사적 발전과정
3.재가노인복지서비스의 이론적 모형
4.재가노인복지서비스의 대상
5.재가노인복지서비스의 종류
6.재가노인복지서비스의 현황
본문내용
I. 재가노인복지서비스의 개념
- 노인 자신이 가정에서 제공받는 서비스와,
- 가정에 머물면서 지역사회내의 시설로부터 제공받는 서비스.
- 지역사회보호(community care): 복지욕구를 가진 사람들의 생활을 위한 지역사회서비스(community service)와 재가보호서비스(in-home care service)
- 지역사회서비스는 가정 밖에서 제공되는 것이며, 주간보호(day care)와 단기보호(respite care) 형태 등.
- 재가보호 서비스는 재가 노인의 가정을 방문하여 제공하는 서비스.
- 가정간호(home nursing), 가정봉사원 서비스(home helper service) 등.
- 이 두 종류의 지역사회보호는 노인이 가정에 있으면서 보호를 받는다는 뜻에서 넓은 의미로의 재가노인복지서비스이다.
- 노인복지사업은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소를 기준으로,
시설복지사업(out-home service)과, 재가노인복지사업(in-home service)으로 분류.
-지역사회복지사업: 재가노인복지사업은 물론
광범위하게 지역사회내의 입소시설, 이용시설, 그리고 자원봉사활동 등을 포괄하는 상위 의 개념.
-재가노인복지사업의 중요 기능은
가족의 부담을 경감시킴으로써 현대사회에서 약화된 가족수발 또는 가족보호의 기능을 지지하고 보충하는 것.
-재가노인복지사업의 대상은 요보호노인 뿐만 아니라
장애노인, 허약노인, 건강노인 등 모든 재가노인을 포괄한다.
참고 자료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