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고봉사서비스 실습
- 최초 등록일
- 2020.04.23
- 최종 저작일
- 2012.10
- 23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2,000원

소개글
"참고봉사서비스 실습"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참고서비스 과정
1. 대상자 선정
2. 계획 (1주차)
3. 정보제공 (2주차 - 6주차)
4. 평가 (7주차)
Ⅲ. 결론
본문내용
Ⅰ 서론
도서관에는 다양한 목적을 가진 이용자들이 사서에게 정보제공을 요구한다. 기본적인 자료이용에 관한 사항을 요구하는 일반 이용자가 있는 반면에, 논문 작성이나 연구 활동 등 교육적 목적을 가지고 사서에게 협조 또는 자문과 같은 전문적인 서비스를 요구하는 이용자가 있기도 하다. 이러한 경우 사서의 ‘참고사서’로서의 역할이 필요하게 되는데, 참고사서는 단순한 데스크업무에서 벗어나 논문 작성이나 연구 활동의 전반적인 과정에서 주제에 맞는 자료를 탐색하거나 방법에 대한 조언을 해주는 등 수준 높은 참고서비스를 제공하게 된다.
본 과제에서는 위에서 언급한 연구목적의 이용자들을 대상으로 한 참고서비스를 실습해 보고자 석사학위 논문을 준비 중인 대학원생을 대상으로 일정기간 참고면담과 e_mail을 통한 간접적 커뮤니케이션을 통하여 지속적인 정보제공을 하고, 이를 통한 이용자의 만족도 평가와 서비스의 전 과정을 분석하여 이용자의 속성에 맞는 효율적인 참고서비스와 그에 따른 참고사서가 갖춰야 할 능력에 대해 생각해보고자 한다.
Ⅱ 참고서비스 과정
1. 대상자 선정
1.1. 대상자 정보
이번 과제를 통해 참고서비스를 제공하게 된 25세의 박슬기씨는 동국대학교 경주캠퍼스 고고미술사학과를 졸업한 후, 현재 충북대학교 대학원 고고미술사학과에서 고고학을 전공하고 있다. 논문의 주제 분야는 호서지역의 신라고분 연구인데, 신라의 호서지역 진출에 따른 고분의 전파가 어떤 특징과 의미를 가지며, 호서지역의 지역정치세력이 신라의 중앙세력진출로 인해 어떤 변화과정을 거치고 재편되는지 중앙의 지배 방식과 관련하여 연구할 계획이라고 했다.
1.2. 선정이유
사서는 다양한 분야의 지식을 섭렵하고 있어야 할 뿐만 아니라, 타 분야의 이용자가 자료를 요구해 왔을 때, 적시에 이용자가 자료를 제공받아 이용할 수 있도록 서비스 해주어야 한다. 하지만 이제껏 우리는 학과 관련 정보 중심의 검색을 위주로 하였는데, 이번 과제를 통해 타 분야에 접근해보는 것이 의미있겠다고 생각해서 전공인 문헌정보학이 아닌 고고학을 전공하는 대상자 분을 선정하게 되었다
참고 자료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