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동네 알기 – 1 (서울특별시 동대문구 용두동)
- 최초 등록일
- 2020.04.19
- 최종 저작일
- 2020.04
- 10페이지/
MS 워드
- 가격 1,500원

소개글
"우리 동네 알기 – 1 (서울특별시 동대문구 용두동)"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개요
(1) 유래
(2) 연혁
2. 인구
(1) 기본 인구 정보 (2020. 2/26일, 용신동 기준)
(2) 연령별 인구 현황 (2020. 3월, 용신동 기준)
3. 학교
(1) 초등학교
(2) 중학교
(3) 고등학교
4. 우리동네 주요 시설 및 역사 흔적
(1) 선농단 (행정구역상 제기동이나 용두동 경계에 위치함)
(2) 동대문구청
5. 사라진 과거의 주요 건물
(1) 성동역
(2) 서울대 사범대
(3) 동마장 버스터미널
(4) 동대문상고
6. 우리동네 출신 주요 인사
(1) 배우 채시라
(2) 배우 조은숙
참고
본문내용
1. 개요
(1) 유래
왕산로(旺山路)와 하정로(夏亭路) 주변에 신설동과 경계하고 있는 용두동의 동명은 예전에 마을 뒷산의 산세(山勢)가 '용(龍)의 머리'와 같다하여「용머리」또는「용두리(龍頭里)」라고 불리었는데 연유합니다. 예전 이지역에는 홍릉천, 성북천, 정릉천 등에서 흘러내린 물줄기가 지나고 있어 물 맛 좋은 곳'으로 이름이 나 있었으며, 개울가에 형성된「홍릉내 빨래터」(전 오스카극장 자리)와 정릉내 빨래터(현 한솔동의보감 건물)는 널리 소문난 빨래터였으며, 왕산로 현 남성공업사 자리에 있었던「찬우물터」의 우물맛은 이가 시릴 정도로 차고 꿀맛 같아서 도성(都城)안으로 들어가는 길손들은 물론 성안의 사람들도 동대문(東大門)을 나와서 꼭 이 물을 마셨다고 합니다.
(2) 연혁
1894 갑오개혁 : 한성부 인창방(성외) 동소문외계 용두리 설치
1911 한성부 인창면 용두리 개칭
1914 경기도 고양군 숭인면에 편입
1936. 4.1 경성부에 다시 편입, 용두정회(龍頭町會)로 개칭
1943. 6.11 구제(區制) 실시로 동대문구에 편입
1946. 10.1 동명변경에 따라 용두동회로 개칭
1955. 4.18 동제(洞制) 실시로 용두제1동사무소와 용두제2동사무소로 분리
2008. 8.11 동대문구 행정기구설치조례에 따라 용두1동과 용두2동이 용두동이 됨
2009. 5.4 동대문구 행정기구설치조례에 따라 용두동/신설동이 용신동이 됨
2. 인구
(1) 기본 인구 정보 (2020. 2/26일, 용신동 기준)
- 세대수: 17,256 세대
- 인구: 32,144명 (남: 16,387명, 여: 15,757명)
- 내국인: 30,608명 (남: 15,717명, 여: 14,902명)
- 외국인: 1,536명 (남: 670명, 여: 855명)
- 세대당인구: 1.77명 (서울 평균: 2.25명)
- 65세이상: 17.02% / 5,472명 (서울 평균: 14.84%)
참고 자료
주민센터 홈페이지
동대문 구청 홈페이지
서울 열린데이터 광장
KOSIS 국가통계포털 - http://kosis.kr/index/index.do
학교알리미
https://cafe.naver.com/mamj8836/7199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