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cemaker 인공심박동기
- 최초 등록일
- 2020.04.17
- 최종 저작일
- 2018.12
- 16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1,500원

소개글
"Pacemaker 인공심박동기"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문헌고찰
(1) 심장의 기능
1) 심장의 전기생리적 특성
2) 심장근육의 전기적 활동
3) 심장의 전도체계
4) 심장주기
5) 심장의 기계적 특성
2. Pacemaker 정의 및 목적
(1) Pacemaker의 정의
(2) 목적
3. Pacemaker 구조
(1) Pulse generator 박동산출기
(2) Lead 도선
4. Pacemaker 분류 및 종류
5. Pacemaker 적응증
6. 생리적 박동기와 관련된 기호의 의미
7. Pacemaker 삽입부위
8. 합병증 및 문제점
9. 간호관리
10. Pacemaker의 점검 목적
11. 참고문헌
본문내용
1. 문헌고찰
(1) 심장의 기능
1) 심장의 전기 생리적 특성
· 자동성: 심장박동을 자발적으로 시작하는 심장의 능력을 말한다.
· 흥분성: 자극이 있을 때 심장박동을 시작하는 심근세포의 능력을 말한다.
· 전도성: 세포막을 따라 전기적 충격을 전파시키는 심근세포의 능력을 말한다.
· 수축성: 자극에 대해 수축하는 반응을 말한다.
· 불응성: 먼저 온 자극에 대한 수축이 진행되는 동안 새로운 자극에 반응하지 않는 특성을 말한다.
2) 심장근육의 전기적 활동
· 심근세포 내외에 분포되어 있는 전해질의 활동 → 심근은 전기적 자극을 받아 활동
· 심근세포의 전기적 활동이 활발히 행해지고 있는 상태를 활동전위라 하고, 휴식기 상태를 안정막전위라고 한다.
① 탈분극
- 심장박동의 시작은 탈분극의 과정과 함께 시작된다.
- 심장의 흥분성 조직에 자극을 주면 세포막에 Na+에 대한 투과성이 현저히 증가하게 되고, 막전압의 급격한 변화를 일으키는 것을 말한다.
- 구체적으로 소듐에 대한 세포의 투과성이 자동적으로 증가하거나, 자극에 대한 반응으로 세포막의 투과성이 증가하면 Na+이 빠르게 세포 내로 유입되고, K+ 이 세포 밖으로 이동한다.
- 세포 내의 Na+ 양이 위기 수준에 이르면 전기적 충격이 일어나는데 이 충격은 인접한 세포로 탈분극의 파동을 통해 퍼진다.
② 재분극
- 세포가 안정막 전위로 되돌아가는 과정을 말한다.
- Na+ 투과력이 급격히 떨어지고 K+ 투과력이 증가하는데, 세포는 능동적으로 Na+을 밀어내고 K+을 안으로 들어오게 하면서 양이온의 균형을 맞춘다.
3) 심장의 전도체계
· 동방결절(S-A node) ⇒ 방실결절(A-V node) ⇒ 히스속(His bundle) ⇒ Purkinje fiber
① 동방결절
- 심박동을 조절하는 심박조절자(pace maker)
- 상대정맥과 우심방 접합부에 위치
- 정상적으로 분당 60~100회에 이르는 전기자극(심방동)을 일으킨다.
- 탈분극 파동은 방실 간 경로를 통해 우심방에서 좌심방과 방실결절로 전달된다.
참고 자료
전시자 외 『성인간호학 上』 (현문사, 2011)
이한기 외 『생리학』 (수문사, 2011)
위키백과 http://ko.wikipedia.org/wiki/
네이버 지식백과 http://terms.naver.com/index.nhn?mobile
병원 순환기계 시술 메뉴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