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류지태,「환경법」, 고려대학교출판부(2000)
· 오석락,「환경소송의 제문제」, 서울: 삼영사(1996)
· 이상규,「환경법론」, 서울: 법문사(1998)
· 조은래,「환경법」, 부산: 세종출판사(2000)
· 조현권,「환경법」, 서울: 법률문화원(1999)
· 최상호,「환경오염에 관한 민사책임」, 계명대학교출판부(1999)
· 강경근,“일조권 관련 토론요지”, 토지공법연구 제3집, 한국토지공법학회(1996.9).
· 구연창, “일조권의 법적 보호”, 민사법학 제6호, 한국민사법학회(1986.12)
· 김기수, “공해의 사법적 구제의 방향과 상린관계적 구성”, 환경법연구 창간호, 한국환경법학회(1979)
· 김태봉, “일조권침해로 인한 손해배상청구”, 민사법연구 제8호, 대한민사법학회(2000)
· 류지태, “일조권에 관한 공법적 검토”, 토지공법연구 제3집, 한국토지공법학회(1996.9)
· 박창현, “일조권침해로 인한 공사중지가처분”, 판례연구 제7집, 부산판례연구회(1997)
· 송오식, “환경오염과 사법적 구제”, 비교사법 제5권 2호, 한국민사법학회(1985.2)
· 오세훈, “일조권에 관한 사법적 검토 일조침해에 의한 손해배상”, 토지공법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 토지공법연구 제3집(1996)
· 윤철홍, “환경이익침해에 대한 사법적 구제”, 비교사법 제7권 1호, 한국비교사법학회(2000)
· 이동기, “환경소송에 있어서 입증책임완화에 관한 연구”, 법조 통권564호
· 이동원, “일조권 침해에 관한 판례의 동향”, 민사법학 제27호, 한국민사법학회(2005)
· 이승우, “일조권침해로 인한 손해배상청구”, 법학논총 제26집, 전남대학교 법률행정연구소(2006)
· ______, “공해방지소송” 재판자료 제2집, 법원행정처(1979)
· 이용우, “수인한도론 소고”, 법조 10호
· 이유택 외 3인, “건축법에 있어서 일조권 변경과정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학술발표논문집 제18권 2호, 대한건축학회(1998.10)
· 전경운, “일조권과 조망권에 관한 소고”, 서울시립대학교 도시과학 포럼(1998.11.3)발표자료
· ______, “일조권과 조망권의 법적 타당성에 대한 검토”, 사법행정 제39권 11호, 한국사법행정학회(1998.11)
· 전극수, “일조권분쟁의 공법적 해결을 위한 연구”, 환경법 연구 제30권 2호, 한국환경법학회(2008)
· 정권섭, “환경오염과 사법상 구제”, 법과 환경, 한국법학교수회편
· 최상호, “환경오염에 대한 사법적 구제”, 환경과학논집 제2권 제1호, 계명대학교 낙동강환경원(1997)
· 최창렬, “일조권 보호법리의 재고”, 환경법 연구 제29권 3호, 한국환경법학회(2007)
· 加藤一郞,「公害法の生成と展開」, 東京: 岩波書店(1968)
· 淡路剛久,「公害賠償の理論(増補版)」, 東京:有斐閣(1978.6)
· 野村好弘,「故意․過失および違法性」, 加藤編
· 奧田昌道 外編,「民法學6」, 東京:有斐閣(1975)
· 澤井裕,「公害の私法的硏究」, 東京:一粒社(1969)
· 楠本安確, “日照權”, ジユリスト第506号
· 藪重夫, “日照の私法的保護に關する諸問題”, 北大論集 第25卷 第3号
· 原田尙'彦, “環境權と裁判所の役割”, 判例タイムズ 第256号
· 好美淸光, “日照權の法的構タ成”, 特集:日照權(1974.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