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사의 이해-공주 석장리유적[한국어교원]
- 최초 등록일
- 2020.04.15
- 최종 저작일
- 2019.04
- 6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2,000원1,600원
소개글
한국사의 이해 레포트로써 공주석장리 유적에 대해 살펴보았습니다. 공주 석장리 유적은 세계에서도 유래를 찾아보기 어려운 전기, 중기, 후기구석기, 중석기 유물이 고르게 출토되어 그 가치가 큰 유적지라 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서론
2. 본론
(1) 쌓임층과 문화층
(2) 문화층의 성격에 따른 구분
1) 전기구석기층
2) 중기구석기층
3) 후기구석기층
4) 중석기문화층
(3) 후기구석기 시대 집터
1) 석장리 1호 집터
2) 석장리 3호 집터
3. 결론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인류가 동물과 구별되는 특징 중 하나는 도구를 만들어 사용할 줄 안다는 점이다. 그래서 문화 발전 단계를 인류가 만들어 사용하는 도구의 종류에 따라 구분하면 석기시대, 청동기시대, 철기시대로 나눌 수 있고, 석기시대는 구석기시대와 신석기시대로 나눌 수 있다. 구석기시대는 Lubbok이 1865년에 신석기와 함께 최초로 정의한 용어인데 현재는 인류가 출현하기 시작하여 돌을 깨트리거나 떼어내어 도구를 만들어 쓰던 시기인 기원전 약 1만 년 전 신석기 시대가 시작될 때까지를 지칭하고 있으며, 인류 문화사에 있어 가장 오래된 문화단계로써 주로 채집과 사냥으로 살던 시대를 말한다.
한반도에 인류가 살았던 최초의 흔적으로는 충청남도 공주 석장리, 평양 상원의 검은모루동굴, 경기도 연천 전곡리 유적 등 있으며, 1943년도 고고학 관련 조사차 한국에 머물고 있던 미국인 엘버트 모어는 홍수로 무너져 내린 공주 석장리 강변에서 뗀석기를 발견하였다.
참고 자료
구석기문화와 신석기 문화, [한국사]2 국사편찬위원회,1997.
손보기, [석장리 선사 유적],동아출판사,1993.
강응천. 백성현. 김덕련. 김형규. [세계사와 함께 보는 타임라인 한국사],(주)다산북스,2013.
고석규.고영진,[한국사속의 한국사]1 선사에서 고려까지,느낌이 있는 책, 2016
충남역사문화연구원, [삶이 있는 이야기 충남],옹기장이,2013.
구글, 공주 석장리 유적,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