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사회 간호학- 보건교사 역할
소개글
"지역사회 간호학- 보건교사 역할"에 대한 내용입니다.목차
Ⅰ. 서론Ⅱ. 본론
1. 보건교사
2. 보건교사 자격
3. 보건교사 관련법
4. 보건교사 역할 및 직무
5. 보건교사 향후전망
Ⅲ. 결론
Ⅳ. 참고문헌 및 출처
본문내용
Ⅰ. 서론초등학교에 다니는 강씨의 아들 정원(가명·7)군은 2018년 8월 26일 오전 10시30분경 교실에서 아이들과 놀다 의자에 왼쪽 얼굴을 부딪쳤다. 코피가 나고 설소대가 찢어졌지만 담임교사는 냉찜질 외엔 다른 응급조치를 하지 못했다고 한다. 점심시간에 강씨는 아들이 다쳤다는 소식을 듣게 됐다. 강씨는 처음엔 대수롭지 않은 멍 자국 정도로 여겼으나 병원에서 얼굴뼈가 부러졌다는 이야기를 들었다. 정원군은 ‘설소대 파열과 안면부 골절 등 전치 3주’ 진단을 받았다. 사고가 난 뒤 5시간가량 입안이 찢어지고 얼굴뼈가 부러진 상태로 방치된 셈이다. 학교 쪽은 “담임교사가 올해 부임한 초임 교사라서 경험이 부족한 면이 있었다”고 설명했다. 이 초등학교는 12개 학급에 190여명의 학생이 다니고 있지만, 학생의 건강 상태를 돌볼 보건교사가 한명도 없었다고 한다.
현재 우리나라의 학교보건법 시행령 제23조(학교의사, 학교약사 및 보건교사) 1항의 1에 따르면 “18학급 이상의 초등학교에는 보건교사 1인 이상을 반드시 두어야 하고, 무의촌에는 18학급 미만인 때에도 1인을 둘 수 있으며, 중학교와 고등학교에는 교사 정원 외에 보건교사를 둘 수 있다” 라고 되어있다. 그러나 보건교사는 대도시에 집중되어있다 보니 도서·산간지역에는 평균 배치율보다 낮아 지역 격차가 매우 큰 상황이다. 예를 들어 경남 지역의 26학급이 넘는 중학교 3곳에는 여전히 보건교사가 배치되지 않고 있다. 학급당 보통 30명으로 계산했을 때 약 1천명의 학생이 보건교육과 응급처치 ‘사각지대’에 놓여 있었던 셈이다. 상황이 이렇다 보니, 지방과 도서 지역 등에서는 학생들이 상처를 입은 뒤 응급 치료를 받을 수 있는 ‘골든타임’을 놓쳐 부상을 키우는 경우도 많다.
Ⅱ. 본론
1. 보건교사
보건교사란 초등학교 및 중·고등학교에서 학생 및 교직원의 건강에 관한 업무를 계획하고 수행하는 사람을 말한다. 또, 학교에서 보건교육과 보건활동을 수행하며 건강서비스, 보건교육, 건강관리 및 상담, 지역사회와의 연계를 통한 학교 보건업무에 종사한다.
참고 자료
권수자 외 6명, 『학교보건』, 수문사, 2010, p28양경희 외 5명, 『학교보건』, 현문사, 2006, p69,85
신희원, 『신희원 임용보건시리즈Ⅰ 학교건강이론』, 참교육과미래, 2008, p.6-11
황승숙외 공저, 『제5판 새로운 학교보건』, 계축문화사, 2015, p.29-30
이정희, 『초등학교 보건교사의 역할적응 과정』, 2011년, 계명대학교대학원
이충란·송해덕, 「초등학교 보건교사의 역할에 대한 DACUM 직무분석」, 『지역사회간호학회지』, 2014년, 중앙대학교 교육학과
최정분, 『보건교사의 직무수행 평가도구 개발』, 2011년, 아주대학교대학원
『2019학년도 초·중등 보건교사 경쟁률 현황』, 보건나라, https://www.bogunnara.
com/main.htm?s=info&t=4, 2019.03.12
『교육공무원법』, 국가법령정보센터, http://www.law.go.kr, 2015.03.27.개정
『교육공무원법임용령』, 국가법령정보센터, http://www.law.go.kr, 2013.03.23.개정
남연희, 『초등학교에 배치된 보건교사, 병설 유치원 겸임 가능한가요?』, 메티컬 투 데이, http://www.mdtoday.co.kr/mdtoday/index.html?no=345518, 2019.03.12
생각하는 마법사, 『보건교사 전망 및 연봉』, 드디어 여름, http://itsummer.tistory.com/entry/%EB%B3%B4%EA%B1%B4%EA%B5%90%EC%82%AC-%EC%A0%84%EB%A7%9D-%EB%B0%8F-%EC%97%B0%EB%B4%89-%EC%8B%9C%ED%97%98-%EC%A0%84%ED%98%95%E2%9C%94, 2019.03.12.
지준호, 『1학교 1보건교사 배치 명문화...학교보건법 개정안 발의』, 에듀인 뉴스, http://www.eduin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11452, 2019.03.12
『아동 청소년의 성보호에 관한 법률』, 국가법령정보센터, http://www.law.go.kr, 2014.01.21.개정
『아동복지법』, 국가법령정보센터, http://www.law.go.kr, 2017.10.24.개정
『직업사전』, saramin, http://www.saramin.co.kr/zf_user/cms/job-infromation/view?ids=06401&dtlGb=4, 2019.03.18
『초 · 중등교육법』, 국가법령정보센터, http://www.law.go.kr, 2017.06.22.개정
『학교보건법』, 국가법령정보센터, http://www.law.go.kr, 2018.03.27.개정
『학교보건법 시행령』, 국가법령정보센터, http://www.law.go.kr, 2017.02.03.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