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박윤덕, 「서양사 강좌」, 아카넷, 2016.02.20.
· 고려대학교 한국사연구소, 「한국사」, 새문사, 2014.03.27.
· 박승찬, 「중세 대학의 설립과 발전 - 학문의 자유를 지키기 위한 보루」, 『가톨릭 철학』 26호, 한국가톨릭 철학회, 2016, 04
· 박준규, 「카롤링 왕조 초기의 왕국과 교회 관계」, 『서양사연구』, 56권 한국서양사연구회, 2017
· 이경구, 「로마교회와 프랑크왕국의 제휴 -피핀의 쿠데타를 중심으로-」, 『서양사중세사연구』, 8권, 한국중세사학회, 2001
· 허창일, 「보니페이스와 프랑크왕국의 교회개혁」, 『대구사학』, 32권, 대구사학회, 1987
· 장준철, 「중세교회 파문의식의 역사와 파문장(1)」, 『서양중세사연구』, 29권, 한국서양중세사학회, 2012. 03
· 박용진, 「중세 도시의 지리적 구조와 기독교」, 『도시연구:역사, 사회, 문화』, 7호, 2012. 06
· 정성준, 「동아시아 고대신앙과 불교의 교섭 양상-삼국시대 불교의 토착신앙 수용을 중심으로」, 『고조선단군학』, 28호, 한국서양중세사학회, 2013. 05
· 김선숙 「4-6세기 고구려의 지방운영체제에 대한 일고」, 『정신문화연구』, 통권135호, 2014. 06
· 윤세원, 「기획: 불교가 한국인의 국가관에 끼친 영향-삼국의 공인 초기와 신라에서의 전개를 중심으로-」, 『한국불교사연구』, 7권, 한국불교사연구소, 2015
· 고영섭, 「한국 고대불교 연구의 성과와 과제 -1970년대~2010년대의 불교사학과 불교철학 연구를 중심으로-」, 『한국불교학』, 68권, 한국불교학회, 2013.12
· 조경철, 「고려 광개토왕대 불교와 유교의 전개양상」, 『한국고대사연구』, 68권, 2012.12
· 고영섭, 「기획:불교가 한국인의 생사관에 끼친 영향」, 『한국불교사연구』, 7권, 한국불교사연구소, 2015.08
· 金德原, 「신라 善德王代의 불교정책에 대한 고찰」, 『신라사학보』, 31호, 2014.08
· 곽승훈, 「신라 골품제사회의 정치변동과 불교」, 『韓國古代史探究』, 15권, 2013.12
· 고영섭, 「국가불교의 “호법”과 참여불교의 “호국”- 호국불교의 전개와 의미」, 『불교학보』, 64집, 2013.02
· 윤세원, 「신라 초기 불교의 정치사상 - 개념과 수용, 전래경로와 성격에 관한 문제들을 중심으로」, 『新羅文化』, 48집, 2016.08
· 윤세원, 「불교의 정치사상과 법흥왕」, 『동양정치사상사』, 12권, 한국동양정치사상사학회, 2013.09
· 金富軾, 「三國史記」
· 一然, 「三國遺事」
· 覺訓, 「海東高僧傳」
· 남무희, 「고구려 승랑 (僧朗)의 생애와 그의 신삼론사상 (新三論思想)」, 『북악사론』, 4권, 북악사학회, 1997.08,
· 趙宇然, 「4∼5세기 高句麗의 佛敎 수용과 그 성격」, 『한국고대사탐구』, 7권, 한국고대사탐구학회, 2011.04
· 부남철, 「권력과 불교: 그 후원과 통제의 역사」, 『정치사상연구』, 20집 1호, 한국정치사상학회, 2014.05
· 남무희, 「廣開土王和長壽王代遼東地区的高句麗佛敎」, 『만주연구』, 9집, 만주학회, 2009.12
· 조경철, 「고려 광개토왕대 불교와 유교의 전개양상」, 『한국고대사연구』, 68호, 2012.12
· 채인환, 「高句麗佛敎 戒律思想 硏究」, 『불교학보』, 제27집, 동국대학교 불교문화연구원 1990.11
· 윤세원, 「삼국의 불교공인과 관련된 정치사상과 그 텍스트에 관하여」, 『한국·동양정치사상사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동양정치사상사학회, 2012.05
· 조수동, 「제7장 전륜성왕의 정치이념과 평화」, 『민족사상』, 제5권 제2호, 한국민족사상학회, 2011.06
· 윤세원, 『신라 초기 불교의 정치사상 - 개념과 수용, 전래경로와 성격에 관한 문제들을 중심으로』, 「신라문화」, 48호, 2016.8
· 이기백, 『신라사상사연구』, 일조각, 1986
· 판카즈 모한(Pankaj Mohan), 「6세기 신라에서의 왕권과 불교 간의 관계」, 『불교학연구』, 9호, 불교학연구회, 2004.12.01.
· 염중섭, 「眞興王의 皇龍寺 造成에 관한 불교적 의미의 재검토 - 불교진흥을 통한 왕권강화를 중심으로」, 『동아시아불교문화』, 30권,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2017.06
· 김호귀, 「신라 忠義관념의 형성과 불교의 世俗五戒 」, 『대각사상연구원』, 30권, 대각사상연구원, 2012.06,
· 정기문, 「베드로 재평가를 위한 선교 활동 고찰」, 『서양고대사연구』, 53집, 한국서양고대역사문화학
· 舊約聖書
· 변갑선, 「로마 가톨릭 교회의 성사」, 『기독교사상』, 351호, 대한기독교서회, 1988.03.
· 박준영, 「교황청(敎皇廳)」, 『카톨릭신학과사상』, 10호, 신학과사상학회, 1993.12.30
· 신동철, 「교구 시노드에 관한 교회법적 고찰」, 『카톨릭사상』, 45호, 대구가톨릭대학교 가톨릭사상연구소, 2011.06.30
· 김칠성, 「키프리아누스의 진술과 로마 카톨릭 교회에 관한 연구」, 『복음과 선교』, 35권, 한국복음주의선교신학회, 2016.09
· 오덕교, 「로마 카톨릭의 교회관」, 『신학정론』, 6권 1호, 합동신학대학원대학교 출반부, 1988.0
· 김유준, 「로마제국과 초대교회와의 관계사」, 『대학과 선교』, 35권, 한국대학선교학회, 2017.12
· 김경현, 「밀라노 칙령, 그 신화의 해체」, 『지식의 지평』, 15권, 대우재단, 2013.11
· 이규철, 「클로비스의 세례」, 『인문학연구』, 47권, 계명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3.12
· 鄭技抆, 「성 마르티누스 숭배와 클로비스의 개종」, 『역사교육』, 89집, 역사교육연구회, 2004.03
· 홍용진, 「496년(?) 12월 25일, 클로비스의 세례와 개종」, 『프랑스사연구』, 35호, 한국프랑스사학회, 2016.08
· 이용재, 「732년 10월, 푸아티에 전투-기독교와 이슬람의 충돌」, 『프랑스사연구』, 36호, 한국프랑스사학회, 2017.02
· 이경구, 「레오 3세의 성상파괴 -파괴의 정도와 범위-」, 『서양중세사연구』, 28권, 한국서양중세사학회, 2011.09
· 게오르크 오스트로고르스키, 『비잔티움 제국사 324-1453』, 한정숙·김경연 역, 까치, 2010
· 박용진, 「샤를마뉴의 대관식 의례와 그 의미」, 『이화사학연구』, 51권, 이화사학연구소, 2015
· 성백용, 「[영웅 만들기]샤를마뉴, 열두 세기에 걸친 황제의 전설」, 『역사비평』, 통권72호, 역사비평사, 2005.08
· 安相俊, 「중세의 민족의식과 카롤루스 마그누스-독일ㆍ프랑스 신화적 민족사 서술과 통합적 유럽중세사의 지평」, 『역사교육』, 93집, 역사교육연구회, 2005.03,
· 이정희, 「교황권과 프랑크 왕국의 동맹」, 『대구사학』, 38권, 대구사학회, 1989.12
· 남무희, 「廣開土王和長壽王代遼東地区的高句麗佛敎」, 『만주연구』, 9집, 만주학회, 2009.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