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ER 급성위염 케이스, 응급실 케이스 - 간호진단 4개, 간호과정1개 [구토와 관련된 체액 부족의 위험]
- 최초 등록일
- 2020.03.26
- 최종 저작일
- 2018.05
- 13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2,500원
소개글
A+받은 응급실 실습 케이스입니다!
교수님께서 수정할 부분이 없다고 칭찬하셨습니다.
간호진단 4개 , 간호과정 1개입니다.
[간호진단]
1. 구토와 관련된 체액 부족의 위험
2. 질병과 관련된 급성통증
3. 구토와 관련된 구강 점막 손상의 위험
4. 식이상태와 관련된 자기무시
[간호과정]
1. 구토와 관련된 체액 부족의 위험
목차
Ⅰ.서론
Ⅱ.문헌고찰
1. 정의
2. 병태생리
3. 임상적 특성
4. 진단검사
5. 치료
6. 간호
Ⅲ. 대상자 관찰기간 및 자료수집 방법
Ⅳ. 간호과정
1. 간호사정
Ⅴ. 간호과정 적용
Ⅵ. 결론
본문내용
1. 정의
급성위염(Acute gastritis)이란 갑자기 일어나는 위벽, 특히 위 점막의 급성 염증이다. 일반적으로 급성위염은 외인성 위염, 부식성 위염, 봉소직 위염, 전염성 위염으로 나눈다.
급성 외인성 위염은 보통 위카타르라고 한다. 원인은 주로 식사에 대한 섭생이 좋지 않은 데에 있다. 술 ·커피 ·향신료 외에 여러 종류의 약제, 이를테면 수은제 ·요오드제 등으로 인해 일어난다. 그 밖에 온열 자극이나 소화가 잘 안 되는 음식물을 폭음 ·폭식하여 일어나기도 하고 때로는 뜨거운 것을 마시거나 식중독을 일으켰을 때 발생하기도 한다.
급성 부식성 위염은 부식성 약제의 오용 또는 자살 목적으로 염산 ·인 ·비소 농약 등의 부식제나 독극물을 마셔서 일어나는 급성 염증으로, 황산 ·염산 ·아세트산 등의 산이나 수산화칼륨 ·탄산암모늄 등의 알칼리, 염화제이수은 ·질산은 등의 중금속이 원인이다.
급성 봉소직 위염은 급성 화농성 위염이라고도 한다. 화농균의 감염으로 위점막 아래에 봉소직염을 일으키는 것이다. 궤양 ·암 등 위점막 표면의 결손부에 균이 침입하는 경우와 패혈증 ·산욕열 등의 경우에 혈행성으로, 또는 인접한 장기의 감염으로 인해 림프관을 통하여 일어나는 경우가 있다.
급성 전염성 위염은 급성 감염증, 특히 장티푸스 ·폐렴 ·유행성 감기 ·디프테리아 등의 경 에 발생한다.
< 중 략 >
간호사정(Nursing Assessment)
• 주관적 자료
-“속이 울렁거리고 계속 속에서 올라올 것 같아요.”
-“토를 했어요”
• 객관적 자료
- acute gastritis 진단 받음
- 내원 당시 활력 징후 : 혈압: 110/70, 맥박: 106회, 호흡: 21회, 체온: 37.3도, SPO₂: 98%
- 내원 당일 한끼도 못 먹고 12시부터 ER에 오기 전 까지 vomiting×3(700ml)
간호진단(Nursing Diagnosis)
- 구토와 관련된 체액 부족의 위험
참고 자료
두산백과 ,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의협신문, 성인간호학 (상) -현문사, 성인간호학 강의록, 서울대학교 병원 의학 정보, ㈜유영제약 홈페이지 ,병원간호사회 홈페이지-간호사가 알려주는 홈케어, 대한 상부 위장관-헬리코박터 학회 홈페이지, 하이닥 홈페이지, 나무위키, 네이버 지식백과, 간호학 대사전, 킴스온라인 홈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