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앙대 A+, 고체재료실험]미세조직 실험 예비레포트
- 최초 등록일
- 2020.03.07
- 최종 저작일
- 2017.05
- 5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3,000원

소개글
수석 졸업(평점 4.42), A+ 레포트 입니다.
[중앙대 A+, 고체재료실험]미세조직 실험 예비레포트
목차
1. 동소체의 의미를 조사하시오.
2. 금속 미세조직 관찰을 위한 부식액의 역할과 그 결과를 설명하시오.
3. 광학현미경 혹은 금속 현미경의 원리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4. 광학 현미경의 장단점을 설명하시오.
5. 재료의 표면 작업 중 lapping, polishing 대하여 차이점과 특징에 대해 설명하시오.
1) Lapping 과 Polishing 의 정의
2) Lapping 과 Polishing의 목적 및 특징 비교
본문내용
1. 동소체의 의미를 조사하시오.
동소체(同素體)(allotropy)는 한 종류의 원소로 이루어졌으나 그 성질이 다른 물질로 존재할 때, 이 여러 형태를 부르는 이름이다.
예를 들어 C(탄소)에서는 흑연, 다이아몬드, 풀러렌, 탄소 나노튜브 등이 동소체이고 산소에서는 산소(O2), 오존(O3), 사산소(O4) 이며 P(인)에서는 백린, 적린, 흑린, 황린 이고 황에서는 단사황, 사방황, 고무상황, Fe에서는 α 페라이트, γ 오스테나이트, δ 페라이트 가 동소체이다.
2. 금속 미세조직 관찰을 위한 부식액의 역할과 그 결과를 설명하시오.
부식액은 금속 및 합금의 조직을 관찰하기 위해 금속의 표면을 부식시키는 용액을 말한다.
미세조직을 관찰하기 위해서 연마를 끝낸 시험편을 부식시킨다. 부식하지 않은 연마면에서는 모상과 색이 다른 상이라든지 비금속개재물 등이 있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아무런 조직도 볼 수없다. 그렇기 때문에 적당한 부식액(ex, 나이탈 부식액)으로 관찰 할 연마면을 부식시키면 결정립계, 상의경계, 상의 종류, 결정방향 등이 부식 정도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므로 조직을 관찰할 수 있게 된다.
3. 광학현미경 혹은 금속 현미경의 원리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광학 현미경은 물체의 미세한 부분을 확대하여 관찰하는 광학 장치.
참고 자료
https://ko.wikipedia.org/wiki/%EB%8F%99%EC%86%8C%EC%B2%B4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084375&cid=40942&categoryId=32251
http://heyhyojung.tistory.com/107
http://www.kwjs.or.kr/intro/dic_02.htm?board=private&num=937&thread_num=937.00000000000000000000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388306&cid=42566&categoryId=42566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065194&cid=40942&categoryId=32354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732498&cid=42325&categoryId=42325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430600&cid=42411&categoryId=42411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296464&cid=42412&categoryId=42412
http://kin.naver.com/qna/detail.nhn?d1id=11&dirId=1116&docId=147534706&qb=6rSR7ZWZ7ZiE66+46rK9IOyepeuLqOygkA==&enc=utf8§ion=kin&rank=1&search_sort=0&spq=0&pid=TdfMrspySDVssbz/jgwsssssssK-199251&sid=ruCspo47NwDK8%2BonZBAkbQ%3D%3D
http://blog.naver.com/kilseok2/50000353961
http://cafe.naver.com/techmecha/4658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