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찰학]경찰과 민간경비의 관계에 대한 연구
- 최초 등록일
- 2003.10.25
- 최종 저작일
- 2003.10
- 29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1,000원

소개글
많은 도움 되시길 바랍니다.
목차
Ⅰ서론
1.연구의 목적
2.연구의 범위와 방법
Ⅱ.본론
1.민간경비의 개념과 민간경비에 관한 이론의 검토
2.민간경비와 경찰의 실태와 그 문제점
Ⅲ.결론
본문내용
제1절 관련 개념의 정리
1. 민간경비의 개념
고도화된 산업구조의 발달과 산업사회로의 복잡화 과정으로, 현대사회에서 개인과 기업 또는 가정과 사회의 안녕과 재산에 대한 확실한 안전보장 없이는 쾌적한 생활환경 즉 생활안전을 기대하기란 어렵게 되어 있는 것이 오늘의 현실이다.
사회와 산업이 복잡 다양해지고 모든 구조의 과밀화로 예기치 못한 재해가 발생될 뿐만 아니라 그 유형도 더욱 과감하고 대형화되고 있으며, 국가적으로도 "범죄와의 전쟁"이 선포될 정도로 범죄의 양상도 심각해져가고 있다. 따라서 행복한 삶을 궁극적인 목
표로 내일을 살아가는 모든 현대시민은 자신의 뜻과 상관없이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어떠한 위협으로부터 보호받을 수 있는 안전장치를 필요로 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제반 위협요인, 즉 각종범죄의 급격한 증가추세에 절대적으로 따르지못하는 국가 경찰력의 한계는 국민방범 또는 자위방범으로의 대체를 절대 필요로 하고 있는 것이며, 그 중요성 또한 생활환경 전반에 크게 자리잡고 있다 하겠다.
경찰행정상 [경비]라 함은 공공의 질서를 유지하기 위하여 집단범죄 등 공안을 해하는 범죄 또는 재해 및 혼란 등에 의하여 공안을 해하는 사태가 발생하는 것을 예방 또는 진압하는 경찰활동을 말한다. 실제로 공권력 작용면에서 볼 때 이를 공경비라 하고, 통상 여러 가지 위해로부터 개인의 이익이나 생명 ......
참고 자료
경찰대학, 경찰학개론 2000
박동서, 한국행정학, 서울 법문사, 1991
이상안, 신경찰행정학, 서울 법문사, 1995
이상안, 현대경찰행정학, 서울 대한문화사, 198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