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사회에서 농촌은 과거보다 좋아지긴 했지만, 그럼에도 도시와 비교할 때 농촌의 노인복지 부분이 실로 열악한 상황
- 최초 등록일
- 2020.02.24
- 최종 저작일
- 2020.02
- 5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2,000원

소개글
지역사회복지론
주제: 한국사회에서 농촌은 과거보다 좋아지긴 했지만, 그럼에도 도시와 비교할 때 농촌의 노인복지 부분이 실로 열악한 상황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노인복지의 정의
2. 농촌노인의 문제 (현황)
3. 농촌노인 복지향상을 위해 할 수 있는 것
Ⅲ. 결론, 마치면서
본문내용
Ⅰ. 서론
지역사회복지는 지역사회와 사회복지의 합성어다. 따라서 지역사회복지는 개인복지나 가정복지와는 다른 넓은 차원의 개념을 뜻하고 아동복지, 청소년복지, 노인복지라는 대상층의 중심의 복지활동보다 지역성에 근거하고 있다는 것에서 차별화되어지는 것이다. 이런 사실을 감안하게 되면 지역사회복지는 개인이나 가정, 집단 등의 낮은 수준의 사회체계의 복지와의 대립적인 관계가 아닌, 사회복지라는 연속선상으로 상호보완적인 관계라는 뜻을 가지고 있는 것이다. 즉, 지역사회복지라는 것은 지역사회의 주요한 제도가 맡은바 사회적인 기능을 온전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노력이라고 할 수 있다. 그렇다면 본론에서부터는 지역사회에 거주하고 있는 ‘농촌노인’에 대해서 자세한 부분을 알아보고, 실제로 지역사회복지적인 관점으로 이들에게 어떠한 지원을 해줄 수 있을지에 대한 고찰을 하나씩 확인해보고자 한다.
Ⅱ. 본론
1. 노인복지의 정의
사회복지의 한 분야로 노인을 대상으로 사회복지를 제공하고, 노인들이 인간다운 생활을 영위하며, 노인들이 가지고 있는 사회적인 욕구 및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제반 사회복지서비스 활동이라고 할 수 있겠다. 이런 노인복지는 스스로 인간다운 생활을 영위하기 힘든 노인들에게 심신의 건강유지와 최소한의 생활유지를 위해서 복지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지만 넓게는 모든 노인이 가지고 있는 다양한 문제를 해결하거나, 욕구를 충족시키려는 사회적인 노력이라고 할 수 있는 것이다.
2. 농촌노인의 문제 (현황)
사례 1) 농촌 노인의 자살률이 도시 노인의 1.5배에 달한다. 농촌 노인들의 자살률이 도시에 거주하고 있는 노인의 1.5배에 달하는 등의 취약한 안전, 보건 문제에 적신호가 켜지게 되었다. 농촌진흥청은 11일, 더불어민주당 김현권과 정의당 윤소하 의원과 공동으로 국회도서관에서 농촌 사회문제 해결 심포지엄을 개최하였다.
참고 자료
고립·방치된 농촌 노인들 도시보다 자살률 1.5배 높아 – 기사
농촌노인 절반 이상 문해교육 절실하다
https://www.nongmin.com/news/NEWS/POL/ETC/308959/view
지역사회복지론, 이태희 외, 2014, 창지사
노인복지론, 정상수, 2014, 정민사
'가시나들' 다섯 할머니들, 학생이 되다?! "공부하기 딱 좋은 나인데~"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