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동 국가의 역사
- 최초 등록일
- 2003.10.23
- 최종 저작일
- 2003.10
- 8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1,000원

목차
1. 서 론
2. 오스만투르크 제국의 몰락
3. 중동의 근대국가 형성과정
1) 제1차 세계대전 이후
2) 제2차 세계대전 이후
3) 중동의 근대국가 형성 이후
4. 중동 근대국가들의 탄생과정
1) 이란
2) 이라크, 사우디아라비아, 시리아
3) 이집트, 수단
5. 오늘날의 중동국가들
본문내용
3) 중동의 근대국가 형성 이후
제2차 세계대전 후 아랍지역은 반식민지, 아랍민족주의, 등의 세력을 기반으로 프랑스와 영국으로부터 각각 독립과 해방을 하게되며, 세계대전 후 냉전의 시대에 아랍에선 아랍사회주의라는 독특한 이념이 탄생하게 된다.
각각 독립되거나 해방된 신생 중동국가들은 식민지정부로부터 자치 독립정부로의 권력이양 과정은 순탄하지 못하였고 각국마다 차이를 보였다. 각국의 프랑스, 영국의 주둔군이 뒤늦게 철수를 하거나 팔레스타인 지방의 유태인, 원주민들간의 혼란을 영국군이 방치하는 등 신생국가에게 협조적이지 못하였다.
제3세계의 대부분의 국가들이 독립초기에 당면했던 것과 마찬가지로 중동의 신생독립국가들도 공통적인 여러 난제들에 직면했다. 여러 각계각층의 모든 국민의 지지를 결집시키는 것은 어려운 문제였으며 실질적인 빈곤, 문맹, 종교의 사회적 분파현상과 개발자원의 빈곤, 국내치안과 국가방위의 문제 등은 독립정부의 큰 문제였다.
이로 인해 독립국가의 정치, 사회, 경제적인 면에서 불안정을 나타내 몇몇의 초기 독립중동국가들은 군부의 정치개입과 쿠데타를 초래하게 되었으며 그들은 사회의 근대화와 경제개발을 내세웠다. 하지만, 일부 국가의 군부는 개인의 욕심을 위해 정권을 잡은 경우도 있었다.
참고 자료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