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논문> 왜 세계의 절반은 굶주리는가 (세계 기아의 실태, 원인)
- 최초 등록일
- 2020.02.11
- 최종 저작일
- 2017.06
- 19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2,000원

소개글
<왜 세계의 절반은 굶주리는가(장 지글러)>를 읽고 "기아는 사실 구조적 살해의 산물"이라는 생각을 하게 되었다.
세계 기아의 실태를 조사해보며, 세계의 경제 구조, 환경, 정치적 경제적인 이해관계, 즉 생산과 분배가 세계 기아의 주원인임을 깨달았고 그 원인을 빈곤, 외국으로부터 값싼 농작물의 유입, 국제 기구의 노력 부족, 불안한 아프리카의 상황 등으로 분류하였다.
이후 원인에 맞추어 나름대로의 국제적, 국가적, 개인적 차원의 노력을 제시하였다.
목차
Ⅰ. 기아, 소리 없는 쓰나미
1. 탐구 동기
2. 탐구 목적과 중요성
Ⅱ. “왜 세계의 절반은 굶주리는가”
1. 용어 정리
2. 세계 기아의 실태
3. 세계 기아의 원인
Ⅲ. 세계 기아, 어떻게 해결할 것인가?
Ⅳ. 소논문을 써보며
참고 문헌
본문내용
크게 보면 세계의 경제 구조, 환경, 정치적 경제적인 이해관계가 세계 기아의 주원인이라고 할 수 있다. 세계의 식량 생산량의 문제가 아니라, 생산과 분배의 문제가 주요 원인라는 것이 중요하다. 적은 자원에 대한 분배는 군사적, 정치적, 경제적 힘의 정도에 따라 결정되곤 한다. 그로 인해 가난한 사람은 계속 가난하고, 소수의 부자들은 더 잘 사는 빈익빈 부익부 현상이 전 지구적 문제로 부상하고 있고 이는 세계 기아 문제와도 밀접한 관련이 있다.
첫째로 기아의 원인은 빈곤이다. 사람들이 굶주리는 가장 큰 이유는 ‘돈’과 관련되어 있다. 돈이 있어야 식량을 살 수 있고, 하루를 살아갈 수 있다. 전 세계 인구가 먹을 만큼의 충분한 식량은 생산되고 있다.
FAO의 연구(2002)에 따르면 전 세계 모든 사람들이 매일 최소 2,720 칼로리를 섭취하는데 충분한 양이 생산되고 있다고 한다. 그러나 가장 큰 문제는 전 세계 많은 사람들이 식량을 재배할 땅 혹은 식량을 구입할 돈이 없다는 것이다.
2012년 통계 7억 9천 1백만 명이 만성적 영양실조를 겪고 있다는 식량농업기구(FAO) 통계와 비교된다.
이에 따르면 8억 9천만 명의 빈곤층이 하루 1.90달러 이하의 돈으로 생활하고 있었다. 1981년 19억 9000만 명(37%), 1990년 19억 명(44%)에 비해 감소했다. 통계적으로는 절대적 빈곤에 시달리는 인구는 1990년 66%에서 2012 년 35%로 감소했음에도 불구하고 아직도 많은 이들이 부족한 환경에서 살고 있다. 중국을 비롯한 동아시아에서 빈곤 퇴치의 진전이 이루어지고 있는 반면, 사하라 사막 이남 아프리카 지역에서는 오히려 절대적 빈곤층이 늘어났다.
또한 굶주림과 빈곤은 순환 사이클을 따르고 있다. 굶주린 상태에 있는 사람들(악화된 건강, 왜소한 신체, 적은 에너지, 정신 기능의 쇠퇴)은 정상인보다 생산성이 떨어져 생존하기 위한 돈을 벌기도 쉽지 않아 더욱 심각한 빈곤을 초래하고, 이 빈곤은 또다시 굶주림으로 이어진다.
참고 자료
왜 세계의 절반은 굶주리는가(장 지글러 지음, 유영미 역, 갈라파고스)
2016 World Hunger and Poverty Facts and Statistics (2016 세계 기아와 빈곤에 대한 사실과 통계)
출처: www.worldhunger.org/2015-world-hunger-and-poverty-facts-and-statistics/
2012 World Hunger and Poverty Facts and Statistics (2012년 지구촌 기아와 빈곤의 실태 및 통계 보고서)
출처: World Hunger Education Service
world food programme(WFP, 유엔세계식량계획) - http://www1.wfp.org/
www.povertyinfo.org
식량 위기의 해법 먹을거리 민주주의- 세계 식량 위기의 현실에서 문명 전환의 계기를 찾는다 (윤형근, 2008)
김순종 닷컴: http://kimsoonjong.com/34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