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경]Alternating Current of Design Process 요약본
- 최초 등록일
- 2003.09.30
- 최종 저작일
- 2003.09
- 3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1,500원

소개글
수고하세요.
번역입니다.
목차
1. 서론
2. - 왜 이성적 과정인가? (Why Rational Process?)
- 디자인에 있어서 합리성으로의 접근(Some Approaches to Rationality in Design)
- 직관의 역할 (The Role of Intuition)
- Alternating Currents
- 자의식 디자인 (Self-conscious Design)
3.결론 - The Flow of Design Process
본문내용
디자인을 하는 과정은 계획이나 설계 분야에 있어서 특별히 규정되거나 구분이 지어 지지는 않았지만, 어렴풋이 그러한 과정이 존재한다는 것만을 인지하고 있었다. 20세기 중반까지조차도 그러한 과정은 디자이너만의 고유한 권한이자 능력이었고, 사람들은 단지 그 결과에 대해서만 관심을 가질 뿐이었다. 그러나 20세기가 중반을 넘어서면서 그 과정에 대한 관심은 디자인의 결과가 사람들에게 미치는 영향이 크다는 점을 인식하기 시작하면서 급격히 증대하기 시작했다. 더구나 디자인의 규모가 커지면서 그 과정 또한 관심의 대상이 되었고, 그것이 적절한 사고의 과정을 통해 최선의 결과가 나온다고 믿어왔다. 따라서 이러한 디자인 계획의 단계에 대한 적절하고 현실성 있는 단계를 세우는 것이 중요한 것이다. 문제는 이러한 중요성이 순수한 이성의 해결과정으로 오해하는 것에 있다. 그렇게 되면 대부분의 계획이나 설계는 유사한 과정으로 진행되고 개개인의 독창적인 안보다는 대중성이 극대화된 결과들만이 나오게 될 것이다. 또한 그에 대한 설명조차도 명확한 개인의 것이 아닌 규정된 프로세스에 대한 반복된 설명인 것이다. 여기서 실제의 설계의 단계에서 일어나는 직관(intuition)과 이성(rational thinking)의 사고의 상호작용(altenating current)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계획 및 설계의 단계가 이루어져야한다고 생각한다.
왜 이성적 과정인가? (Why Rational Process?)
최초로 이성적 관점에 대한 접근을 가능하게 한 것은 1930년대 조경에 영향을 준 기능주의 건축이었을 것이다. 1960∼70년대에 성장한 환경운동에 의해 야기된 이것은 우리가 자연을 제대로 이용하지 못하고 붕괴시키고 있다는 관점에서 출발하며, 따라서 자연계의 복잡성을 포함하는 설계 과정이 필요하다는 것이고, 이를 위해서 엄청난 양의 정보를 적용하기 위해 분석적인 설계 과정이 있어야한다는 것이다. 게다가 이러한 문제는 일반 대중들로부터 일어나기 시작했고, 정부는 그에 편승하여 더욱 강력한 개발에 대한 제제를 가하기 시작했다. 이러한 개발 계획 제안자들과 정부다 일반 대중간의 갈등은 많은 경우가 법정문제로 진행되었고 법정에서는 논리적인 설명을 요구했다. 따라서 디자인의 과정에 대한 설명은 논리적인 흐름으로 진행되어야했고, 물론 이러한 과정이 일반 대중의 많은 사람들에게 명백하게 설득되어 지도록 설명되어야했다. 따라서 디자인 과정에 대한 효과성에 대한 기준들이 제시될 수밖에 없었다.
참고 자료
조경계획이라는 과목의 Alternating Current of Design Process
라는 조경학회 저널에 실린 글을..번역, 요약한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