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삼식, "신의주특구 설치배경과 전망,"
· (http://www.kotra.or.kr/main/info/nk/research/econo_38.php3)
· 김영훈 최봉석, "신의주특별행정구 설치와 시사점," [KREI북한농업동향] 4(3),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02. 9.
· , "북한농업과 농지가족도급제," [KREI북한농업동향] 3(1),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01.4.
· 김운근, 김영훈, 이일영, [사회주의농업의 체제전환과 북한농업 전망], 농촌경제연구원, 1996. 12.
· 권태진, "북한의 경제관리개선조치와 농업 부문 변화 전망," [KREI북한농업동향] 4(3),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02. 9.
· 남성욱, "북한 7.1경제개선관리조치와 농업개혁," [북한의 개혁과 개방 100일 : 현황과 전망] 국제학술대회, 2002. 10. 11.
·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통일논의리뷰], 통권 3호, 2002. 3/4.
· 박석삼, "북한 금융현황과 개혁전망," [북한의 개혁과 개방 100일 : 현황과 전망] 국제학술대회], 2002. 10.
· , [최근 북한 경제조치의 의미와 향후 전망], 한국은행, 2002.8
· 박진환, "북한의 식량배급제가 쌀과 옥수수 증산에 미치는 영향에 관하여," 북한농업연구회 2001년 추계학술발표회 발표논문, 2001.10.
· 신지호, [북한의 개혁·개방 : 과거, 현황, 전망], 한울아카데미, 2000.
· 오승렬, "북한과 중국의 초기 경제개혁 비교 및 시사점," [북한의 개혁과 개방 100일 : 현황과 전망] 국제학술대회, 2002. 10. 11.
· 이일영, 전형진, "북한 농업제도의 전개와 개혁 전망에 관한 연구: 분조관리제를 중심으로," [통일문제연구] 9(2), 평화문제연구소 편, 1997.
· 이정철, "계획계량형 사회주의와 북한의 1990년대 경제정책 변화," [북한경제개혁연구], 김연철 박순성 편, 아연학술총서2, 후마니타스, 2002.
· 윤덕룡 등, [북한의 물가 상승 및 배급제 폐지의 의미와 시사점], KIEP 오늘의 세계 경제 제02-24호, 2002.7.23
· 전국경제인연합회 동북아팀, [최근 북한경제개혁의 시사점과 향후 과제], 2002. 7.
· 정연호, [최근 북한의 달러화 사용금지 조치의 배경 분석], KDI정책포럼, 2002.12
· 정정길, 전창곤, "최근의 북한 농민시장 현황," [KREI북한농업동향] 1(3), 한국농촌경제연구원 1999. 10.
· 조동호, [계획경제 시스템의 정상화-최근 북한 경제조치의 분석 및 평가-], KDI정책포럼 제160호, 2002. 7.
· 최신림, "북한의 경제개방과 산업정책," [북한 경제개혁 연구] 김연철, 박순성 편, 아연학술총서 2, 후마니타스, 2002.통일부, [2002북한이해], 2002.
· 통일부, [대북화해협력정책 추진과 최근 북한의 변화], 2002. 10.
· 통일부, "2000년도 북한의 농민시장 물가동향," 보도참고자료, 2000. 12. 22.
· 통일부, "최근 북한 농민시장의 실태와 가격동향 분석," 1998. 12
· 한국은행, "최근 북한 경제조치의 의미와 향후 전망," 2002.8.
· FAO, FAO statistics database.
· FAO/WFP, "Special Report : FAO/WFP Crop and Food Supply Assessment Mission to the DPRK," 1996.11∼2002.11(각연도)
· FAO/UNDP,<font color=aaaaff>..</fo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