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NZE
BRONZE 등급의 판매자 자료

영아사망률 추이 및 원인과 해결방안 모색

각 대륙별 영아사망률 추이 및 원인과 아프리카 지역을 중심으로 한 해결방안 모색을 담은 리포트
24 페이지
한컴오피스
최초등록일 2020.01.03 최종저작일 2019.06
24P 미리보기
영아사망률 추이 및 원인과 해결방안 모색
  • 미리보기

    소개

    각 대륙별 영아사망률 추이 및 원인과 아프리카 지역을 중심으로 한 해결방안 모색을 담은 리포트

    목차

    Ⅰ. 초록

    Ⅱ. 서론
    1. 주제 선정의 이유와 목적

    Ⅲ. 본론
    1. 개요·현황
    2. 문제 발생 원인 분석
    3. 전문가 인터뷰
    4. 문제 해결 방안 모색

    Ⅳ. 결론

    Ⅴ. 참고문헌

    본문내용

    Ⅰ. 초록
    과거에 비해 영아사망률은 급격히 줄어들었다. 하지만 여전히 영아들이 어떠한 이유로 죽어가고 있고 과거와 비슷한 수치를 보이는 구가도 있었다. 본 팀은 각 대륙에서 어떤 이유로 영아들이 죽어가는 지 조사해보고 영아 사망률이 높은 특정 대륙에서의 해결책은 무엇인지 알아보고자 이 주제를 선정하게 되었다.

    본 연구는 아프리카 지역의 의료체제를 중심으로 영아 사망률을 알아보았다. 주된 연구 방법은 주로 문헌조사과 국제기구와의 서면 인터뷰이다. 문헌 조사는 각 대륙의 영아 사망률에 대한 논문, 기사 등이고 서면 인터뷰는 현재 진행하고 있는 사업에 대한 내용이다.

    조사 결과 아프리카 지역의 의료체제는 매우 불안정한 상태이고 이는 곧 영아 사망으로 이어지는 것을 볼 수 있었다. 또한 지금 나와 있는 해결책이 당장 죽어가는 아이들을 살리기에 부족하다는 것을 볼 수 있었다.

    기존의 해결책을 보며 보완해야 할 것과 새로운 해결방안을 생각해보았다. 새로운 해결방안을 논의하며 근본적인 아프리카 국가의 경제적 독립이 이뤄지지 않는 이상 영아 사망은 계속 될 것이라는 결론이 나왔다. 하지만 앞서 언급했듯 당장 죽는 아이를 살리기 위한 방안을 생각해봤을 때 본 팀의 해결책은 부분적으로 수용이 가능하고 가시적인 성과가 있을 것이라 전망한다.

    Ⅱ. 서론
    1. 주제 선정 이유와 목적
    유니세프 보건 사업 보고서에 따르면 2016년, 5세 미만의 영유아 약 560만 명이 사망했다고 한다. 이는 하루에 15000명, 한 시간에 625명, 일 분에 10명의 영유아가 목숨을 잃는 수이다. 또한 2017년, 출생 후 한 달을 넘기지 못하고 숨지는 신생아는 매년 260만 명에 이르고 이 가운데 100만 명이 태어난 날 바로 목숨을 잃는다고 한다. 이는 매일 신생아 7천 명이 세상을 떠난다는 말인 것이다.
    왜 영아사망률을 주목해야 하는가? 세계화가 가속된 시대에 살고 있는 우리는 국제적으로 일어나는 문제들과 동떨어져있지 않다.

    참고자료

    · Marian F. MacDorman, Ph.D.; Donna L. Hoyert, Ph.D.; and T.J. Mathews, M.S.(2013), Recent Declines in Infant Mortality in the United States, 2005–2011
    · RAND, 1700 Main Street, Santa Monica, CA 90407, Health Transition Review 5, 1995, 143 – 163
    · William H. Dow*, Kammi K. Schmeer, Health insurance and child mortality in Costa Rica, Socal Science & Medicine 57 (2003) 975–986
    · Jonathan Gruber, Nathaniel Hendren, and Robert M. Townsend, The Great Equalizer: Health Care Access and Infant Mortality in Thailand†, American Economic Journal: Applied Economics 2014, 6(1): 91–107 http://dx.doi.org/10.1257/app.6.1.91
    · GopalK Singh, PhD, and Stella M. Yu, ScD, MPH, Infant Mortality in the United States: Trends, Differentials, and Projections, 1950 through 2010
    · K.S. Joseph,* MD, PhD; Michael S. Kramer,† MD, Recent trends in infant mortality rates and proportions of low-birthweight live births in Canada
    · OECD/World Health Organization (2012), Health at a Glance: Asia/Pacific 2012, OECD Publishing. http://dx.doi.org/10.1787/9789264183902-en, 해석본
    · Gruber J, Hendren N, Townsend RM. The Great Equalizer: Health Care Access and Infant Mortality in Thailand. American Economic Journal: Applied Economics. 2014;6(1):91-107. doi:http://www.aeaweb.org/aej-applied/.
    · chrome-extension://hehijbfgiekmjfkfjpbkbammjbdenadd/nhc.htm#url=https://ko.wikipedia.org/wiki/%EC%98%81%EC%95%84%EC%82%AC%EB%A7%9D%EB%A5%A0%EC%97%90_%EB%94%B0%EB%A5%B8_%EB%82%98%EB%9D%BC_%EB%AA%A9%EB%A1%9D
    · https://scholar.google.co.kr/scholar?hl=ko&as_sdt=0%2C5&q=health+care+access+and+infant+mortality&btnG=
    · 어린이 생존과 SDGs, https://data.unicef.org/topic/child-survival/child-survival-sdgs/
    · https://www.gavi.org/library/news/statements/2019/pneumococcal-vaccine-price-drops-for-third-year-running/
    · 세계보건기구 국가를 대상으로 한 의료비지출 측면에서의 기대수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Factors Affecting the Life Expe`ctancy Regarding Health Expenditure in WHO Countries )
    · http://kosis.kr/statHtml/statHtml.do?orgId=101&tblId=DT_2KAA208_OECD
  • 자료후기

      Ai 리뷰
      지식판매자가 등록한 자료는 매우 유익하고, 주제가 잘 정리되어 있어 학습에 큰 도움이 됩니다. 특히 자료의 품질이 높고, 내용이 풍부하여 많은 정보를 얻을 수 있었습니다. 앞으로도 이러한 유익한 자료가 계속 등록되기를 기대합니다!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함께 구매한 자료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11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