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18년 전국보육실태조사-어린이집조사 보고-」, 보건복지부, 2018
· ‘만2세 영아의 정서표현과 교사의 반응 탐색’, 이정숙, 「한국아동보육실천학회」, 제9권 제2호, 2013
· ‘만2세 영아의 기질과 어린이집 초기적응 및 놀이성의 관계’, 송혜진, 성신여자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2007
· ‘The structure of anxiety symptoms among preschoolers.’, Spence, S. H., Rapee, R., Mc Donald, C, & Ingram, M., 「Behaviour Research and Therapy」, 2001.
· ‘An ecological perspective on the transition to kindergarten: A theoretical framework to guide empirical research.’, Rimm-Kaufinan, S. E., & Pianta, R. C., 「Journal of Applied Developmental Psychology」, 2000.
· ‘유아교육기관에서의 유아의 적응과 관련변인간의 연구’, 송진숙, 「미래유아교육학회지」, 2004.
· ‘유아의 정서지능과 유치원 적응관계의 변인 분석’, 박정미, 동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0.
· ‘Play and playfulness, basic features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Singer. E, 「European Early Childhood Education Research Journal」, 2013.
· ‘Playfulness: Definition, design, and measurement.’, Barnett, L. A., 「Play & culture」, 1990.
· ‘Playful and divergent thinking: An investigation of their relationship at the kindergarten level.’, Lieberman, J. N. 「The Journal of Genetic Psychology」, 1965.
· ‘Evaluating Playfulness: Construct Validity of the Children's Playfulness Scale.’, Trevlas, E., Grammatikopoulos, V., Tsigilis, N., & Zachopoulou, E. 「Early Childhood Education Journal」, 2003.
· 「놀이와 아동발달」, Hughes, F. P. 저, 「Children, Play and Development」, 시그마프레스, 2012.
· ‘Characterizing playfulness: The adaptive powers of being playful.’, 「Play & Culture Studies: Diversions and Divergences in Fields of Play」, 1998.
· ‘유아의 놀이성 및 대인 문제 해결력과 적응과의 관계’, 김영희 「놀이치료연구」, 1998.
· ‘부적응 유아를 위한 교사놀이치료 과정의 교육적 의미’, 김태인, 중앙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2009.
· ‘어머니 및 보육교사에 대한 유아의 애착안정성에 따른 정서적 행동문제’ 김영명, 서울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1997.
· ‘교사-유아 간 애착과 유아의 정서지능의 관계’, 홍계옥, 「한국부모교육학회」, 2007.
· ‘Solitary-active play behavior: A marker variable for maladjustment in the preschool?’, Coplan, R. J., Wichmann, C., & Lagace-Seguin, D., 「Journal of Research in Childhood Education」, 2001.
· ‘영아의 애착 안정성과 어린이집 초기적응간의 관계’, 오종은, 연세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2001.
· ‘영아의 애착 안정성과 놀이성 및 어머니의 놀이 참여 수준과의 관계’, 이혜은, 숙명여자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20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