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인간호학, 당뇨병 간호과정 case study
- 최초 등록일
- 2019.12.07
- 최종 저작일
- 2019.10
- 25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2,500원
소개글
"성인간호학, 당뇨병 간호과정 case study"에 대한 내용입니다.
긴말하지 않겠습니다.
교수님께 A+ 받은 자료입니다. 더도 덜도 말고 이 문서 하나면 칭찬받을 수 있습니다.
진단명도 깔끔하고, 간호중재도 상세히 적혀있습니다. 문헌고찰 부분에서도 사진도 많이 넣었습니다.
목차
Ⅰ. 문헌고찰
1. 사례선정 동기
2. 당뇨병 정의
3. 당뇨병의 원인과 분류, 위험요인
4. 당뇨병의 증상과 병태생리학적 특징
5. 당뇨병의 진단
6. 당뇨병의 치료 및 간호
7. 당뇨병의 합병증.부작용과 대책
Ⅱ. 사례보고서
1. 간호정보조사지
2. BST 측정
3. 진단검사
4. 혈액검사
(1) Hematology (2) Urinalysis (3) Blood Chemistry
5. 투약 정보
6. 간호과정 목록
7. 간호과정
(1) 간호진단
#1. 복합적 요인 (불충분한 수면, 통증)과 관련된 안위변화
#2. 어깨통증과 관련된 활동지속성 장애
#3. 식이조절 지식 부족과 관련된 고혈당
Ⅲ. 결론 및 제언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1. 사례선정 동기
보건복지부에서 최근에 발표한 국민건강영양조사 제6기 2차년도(2014)결과보고에 의하면 만 30세 이상에서의 당뇨병 유병률은 11.9% (남자 13.6%, 여자 10.3%)이며, 나이에 따라 유병률이 증가되어 70세 이상에서는 10명중 약 3명(27.6%)이 당뇨병 유병자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본인이 당뇨병 환자라는 것을 알고 있는 인지율은 74.3%, 당뇨병 환자임을 알고 치료 받는 비율인 치료율이 65.9%, 실제로 치료 받아 잘 조절되고 있는 환자는 22.1%(유병자 기준)로서 당뇨병 관리조절의 문제점이 여전히 지속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높은 유병률과, 그에 비해 잘 조절되고 있는 환자의 비율이 낮다는 것은 그만큼 유병자들이 스스로의 건강 관리에 대한 인지 혹은 이행에 낮은 참여율을 보이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그러므로 환자의 곁에서 가장 가까운 곳에 있는 간호사가 당뇨병의 관리와 그의 필요성에 대하여 교육하고 인지시켜야 한다.
2. 당뇨병의 정의
신체 내에서 혈당 조절이 필요한 인슐린의 분비나 기능 장애로 인해 발생된 고혈당을 특징으로 하는 대사성 질환이다.
3. 당뇨병의 원인과 분류, 위험요인
1) 원인과 분류
(1) 제 1형 당뇨병 : 인슐린 자체의 분비가 부족하거나 되지 않는 경우에 발생한다. 주로 췌장의 인슐린 분비세포 (췌장의 베타세포)의 유전적 이상으로 인해 면역체계가 세포를 공격해 췌장의 기능을 망가뜨리는 자가면역질환의 결과로 나타나는 경우가 흔하다.
(2) 제 2형 당뇨병 : 당뇨병 환자의 90~95%를 차지하며 인슐린 비의존성 당뇨병이라고도 한다. 대부분의 환자는 인슐린 저항성을 보이며 상대적 인슐린 결핍이 나타난다. 즉 혈중 인슐린 농도는 정상 혹은 증가되어 있으나 인슐린 저항성을 극복할 수준까지 충분히 증가하지 못하기 때문에 고혈당이 초래된다. 간의 포도당 합성 증가, 말초 인슐린 저항, 인슐린 분비 장애 등이 원인으로 추정된다.
참고 자료
성인간호학 Ⅱ, 고자경 외, 퍼시픽 북스, 2017
질병관리본부 국가건강정보포털 http://health.cdc.go.kr/health/Main.do
간호진단, 중재 및 결과 가이드, 박은영 외, 현문사, 20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