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전문학사<이인로의 ‘용사(用事)에 대한 이해와 패러디와의 관계>

꼬막
개인인증판매자스토어
최초 등록일
2019.12.06
최종 저작일
2016.11
10페이지/한글파일 한컴오피스
가격 2,000원 할인쿠폰받기
다운로드
장바구니
  • 해피캠퍼스 2023 상반기 결산 이벤트

소개글

"고전문학사<이인로의 ‘용사(用事)에 대한 이해와 패러디와의 관계>"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1.1. 문제의식
1.2. 용어 개념

2. 문학의 본질과 기능
2.1. 이인로와 이규보의 문학관적 대립 -역사적 배경을 중심으로
2.2. 이인로의 문학관 -<<파한집>>을 중심으로

3. 현대적 관점: 용사와 패러디 비교

4. 결론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1.1. 문제의식
본고에서는 ‘문학의 본질과 기능에 대한 논란’을 중점으로 이인로와 이규보의 문학관을 비교, 비평해보려 한다, 이인로와 이규보의 문학관을 대립하여 보는 관점이 많은데, 이에 대해 고찰하여 보도록 한다. 본론에서 두 문학관을 당시 역사적 배경을 중심으로 비교한 뒤 이인로의 ‘용사’에 대해서 좀 더 언급하겠다. 그리고 현대적인 관점에서의 ‘패러디’와 이인로의 ‘용사’를 비교하려 한다.

1.2. 용어 개념
내용을 정리하기에 앞서 중요한 용어들의 개념을 먼저 정의내리고 넘어가겠다. 우선 중점으로 살펴보려는 이인로의 <<파한집(波閑集)>>은 우리나라 시화집의 효시로 '파한(破閑)'이란 글자 그대로 한가함을 깨뜨린다는 뜻이다. 이는 우리나라 명유(名儒)들의 시작품들이 기록으로 남겨지지 못한 채 인멸되어가는 것을 막기 위해, 또 시를 삶의 정수로서 사랑하고 음미하며 많은 시화를 수록한 시화집이다. 이인로는 문학의 본질을 구현하는 수단으로 ‘용사’를 중시하였는데, 그가 말하는 ‘용사(用事)란 시인과 독자가 공유하는 문화적인 전통 속에서 사회적인 보편성을 지닌 고사와 시문을 2, 3회의 짧은 어휘 속에 집약시켜 표현하는 방법을 의미한다. 이에 대해서는 뒤에서 더 자세히 다루도록 하겠다. 마지막으로 ‘패러디(parody)’란 ‘특정 작품의 소재나 작가의 문체를 흉내 내어 익살스럽게 표현하는 수법’이다.

2. 문학의 본질과 기능
중세 전기에는 중세보편주의를 중국과 대등하게 구현하고, 이미 마련되어 있는 규범을 ᄄᆞ르는 것이 한문학의 수준을 높이는 것이라고 여겼다. 중세 후기에 이르러서는 중세보편주의를 독자적으로 구현하려고 하자 문학의 근본적인 본질과 문학을 어떻게 창작해야 하는지에 관하여 논란이 제기되었다. 앞 시대의 규범을 넘어서지 않고 지속하고자 하는 쪽이라도 문학을 왜 해야 하며 그것의 가치에 대한 의문에 대답해야 했다.

참고 자료

고현철(1999), "용사시학(用事詩學)과 패러디시학의 비교 연구", 現代文學理論硏究12. ,203-226 ,현대문학이론학회
김성룡(1996), "용사의 이해", 湖西語文硏究, 4(1), 31-79, 湖西大學校 國語國文學科
박수밀(2007a), "문학(文學) : 용사(用事)와 패러디의 상관관계 고찰", 溫知論叢, 16, 153-179, 온지학회
박수밀(2007b), "연암 산문에서의 용사(用事)와 패러디", 국제어문, 40, 5-36, 국제어문학회
이선미(1992), 이인로의 문학세계 -파한집을 중심으로, 東國大學校 敎育大學院, p40
이종문(1988), "이인로의 문학론에 대하여", 大東漢文學, 199-221 ,대동한문학회
유협, 최동호 역(1994), <<문심조룡>>, 민음사, pp.364-365
조동일(2005), <<한국문학통사>>2, 지식산업사
[네이버 지식백과] 파한집 [破閑集] (국어국문학자료사전, 1998., 한국사전연구사)
[네이버 지식백과] 표절 [plagiarism, 剽竊] (두산백과)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315211&cid=40942&categoryId=31693>
[네이버 지식백과] 라디오와 같이 사랑을 끄고 켤 수 있다면 (한국현대문학대사전, 2004. 2. 25.)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3346002&cid=41708&categoryId=41737>

이 자료와 함께 구매한 자료

꼬막
판매자 유형Bronze개인인증

주의사항

저작권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이런 노하우도 있어요!더보기

찾던 자료가 아닌가요?아래 자료들 중 찾던 자료가 있는지 확인해보세요

  • 한글파일 최자(崔滋)의 생애와 작품론 9페이지
    ) 이인로 용사론을 주창한 이인로파한집을 지었다. 내용은 최치원, 박인량 ... . 이인로파한집을 쓴 직접적인 동기는 문학의 위기감에서 찾을 수 있는데 ... , 내학성향 최자의 문학관은 이전 이인로, 이규보와 같은 용사, 신의론자의
  • 파일확장자 [국문학의 일반이론] 한국 한시의 이해와 사적 전개 12페이지
    전개하였다. 말이 ‘보한집’이지 실상 이인로의 『파한집』을 이규보 식으로 ‘보충 ... 비평이 이루어졌다는 것이다. 그 시작은 단연 이인로의 『파한집』이다 ... 한국 한시의 이해와 사적 전개 -고려조, 용사와 신의의 비평적 방법
  • 한글파일 문학 5페이지
    이중성을 꿰뚫어봄) 4. 이인로 ( 파한집 ) - 무인 정권의 피해 ... 집이라네 이규보, 이인로와 시화 1. 시화란 시를 둘러싼 화-> 어떤 ... 명의 문학론자가 나타남(이규보, 이인로, 최자, 이재현) 이들의 문학
  • 한글파일 조선대학교 고전비평론 기말요약과제 17페이지
    ’이라는 뜻. 이규보의 창작방법론. 이인로파한집 : 신준과 임춘이 꾀꼬리 ... 문학사의 한 장면 이규보가 죽림고회(이담지)의 제안을 거절하며 지은 시 ... ① 깨진 술판 혹은 중세 문학사의 한 장면 ② 죽림의 냉소와 광객의
  • 한글파일 한국중세사 과제 (내가 생각하는 고려사 중요 사건) 5페이지
    이규보, 이인로, 최자는 각각 동국이상국집, 파한집, 보한집 등의 문집을 ... , 이인로와 같이 최우의 포섭에 응한 신진사대부의 대두로 고려문학 ... 이규보, 이인로와 같은 훌륭한 인재들을 발굴하여 서사문학을 발달하는 데에
  • 한글파일 [국어교육]파한집 VS 보한집 비교 (현대적 관점 패러디) 7페이지
    파한집 VS 보한집 - (파한집 중심으로) 1. 이인로 - 고려 무신집 ... 보아야 한다. 1-1 파한집문학적 의의 - 최초의 비평 문학서 (문학 ... 의 효시 (문학이론 정립) 1-2 파한집의 破閑의 의미 - 중세의 작품
  • 한글파일 [학습자료] 우리나라 고전문학의 흐름을 총정리한 자료입니다. 유용하게 사용하시기 바랍니다. 15페이지
    띠게 됨 (5) 문학사적 가치 : 표현의 소박성과 함축성, 꾸밈없는 ... 생활 정서의 표현으로 시조와 더불어 우리 문학사의 대표적인 시가 형식임 ... (4) 문학사적 의의 : 집단 창작적인 의미가 가미된 민간의 이야기로서
더보기
최근 본 자료더보기
  • 초대이벤트 - 뮤지컬 모짜르트
  • .위잇 도시락 이벤트
  • 르네셀 화장품
  • 초대이벤트 - 운빨로맨스
  • 해피캠퍼스 2023 상반기 결산 이벤트
고전문학사&lt;이인로의 ‘용사(用事)에 대한 이해와 패러디와의 관계&gt;
이벤트1 이벤트2 이벤트3 오늘하루보지 않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