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양학 ) 부산물 비료의 종류, 특성, 및 시용효과
- 최초 등록일
- 2019.11.29
- 최종 저작일
- 2019.11
- 8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4,000원3,800원 
목차
1. 서론
2. 본론
1) 부산물 비료의 종류
2) 부산물 비료의 특성
3) 사용효과
4) 활용상 문제점
3. 결론
4. 출처 및 참고 문헌
본문내용
농사를 주로 짓는 농촌과 최근 유행하고 있는 도시형 텃밭에서도 부산물 비료를 사용한 농업이 인기이다. 부산물이란 음식을 먹고 남긴 음식물 쓰레기나 사람과 동물의 분뇨 및 토양미생물 등을 이용하여 만든 비료로 제조, 수산, 농업, 축산 등 사람들이 생활 및 판매를 영위하는 과정에서 나온 원재료를 사용한다. 부산물 비료의 배합과 활용은 이전보다 다양해지고 증대되고 있어 모든 농촌 현장에서 사용하고 있다고 보아도 과언이 아니며 실제로 오프라인은 물론 온라인을 통해서도 쉽게 접할 수 있고 구매할 수 있는 유통 경로를 갖추고 있다. 비용 대비 효과와 효능이 있는 부산물 비료를 주로 사용하는 이유와 종류 및 사용 효과를 알아보고 활용상의 문제점을 살펴보자.
a) 부산물 비료의 종류.
부산물 비료는 보통 사용하는 넓은 범위의 보통 비료와는 종류와 배합 방법이 다르다. 보통 비료 중 우리가 흔히 알고 있는 재료는 지렁이, 석회석, 아연, 암모니아수, 규산질 등이 있지만 부산물 비료는 사람들이 사용하고 난 후 생기는 재료가 주요 원재료 역할을 한다. 부산물 비료의 종류는 퇴비, 분뇨잔사, 톱밥, 토양 활성 제제비료, 부엽토, 건계분 등이 있으며 크게 부숙 비료, 유기질 비료, 미생물 비료로 나누어지며 부숙 비료에는 가축들의 분뇨, 축산 폐기물, 분뇨 발효액 등이 있고 유기질 비료에는 아주까리유박, 깻묵, 대두박, 골분, 어박, 혼합유기질 등이 있다. 미생물 비료는 토양 미생물을 의미한다.
참고 자료
부산물비료산업의 발전 및 적정관리제도 토론회 자료집 / 강창용, 서대석, 강성필 연구자관계분석 /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