협심증 정리
- 최초 등록일
- 2019.10.09
- 최종 저작일
- 2018.05
- 9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1,000원
소개글
협심증에 관해서 체계적으로 정리한 자료입니다.
많은 도움 되시길 바랍니다.
목차
Ⅰ. 정의
Ⅱ. 종류
Ⅲ. 원인 및 증상
Ⅳ. 진단
Ⅴ. 치료 및 수술
Ⅵ. 예방
Ⅶ. 간호문제
Ⅷ. 출처
본문내용
Ⅰ. 정의
심장은 3개의 심장혈관(관상동맥)에 의해 산소와 영양분을 받고 활동한다. 협심증(Angina Pectoris)이란 관상동맥 질환 중 하나로, 심장혈관(관상동맥)이 동맥경화증, 혈전, 경련수축(연축) 등의 원인에 의해 3개의 관상동맥 중 어느 한 곳에서라도 급성이나 만성으로 협착이 일어나는 경우, 심장의 전체 또는 일부분에 혈류 공급이 감소하면서 산소 및 영양 공급이 급격하게 줄어들어 심장근육이 이차적으로 허혈 상태에 빠지게 되는 상태를 말한다.
Ⅱ. 종류
1. 안정협심증
가장 일반적인 형태로, 관상동맥이 좁아져서 심장근육에 혈액공급이 감소하는 것이 원인이다. 관상동맥이 혈액 찌꺼기로 인하여 부분적으로 좁아지거나 혈관이 비정상적으로 과도하게 수축할 때 혈액공급이 감소하게 된다. 증상은 주로 계단을 오르거나 달리기 등의 운동이나 심한 감정적 스트레스를 받는 상황에서 초래된다. 그러므로 흉부 불편감은 대개 예측이 가능하다. 운동 시 흉통이 더 심해지는 이유는 운동할 때에 심장 근육에 더 많은 혈액공급이 필요함에도 불구하고 좁아진 혈관 때문에 적절한 혈액 공급이 이루어지지 못하여 심장 근육에 빈혈 상태가 초래되기 때문이다. 특히 이러한 흉통은 같은 운동량이라도 추운 날씨에 노출될 때나 식사 직후에 더 잘 나타날 수 있다. 흉통은 2~3분 정도 지속되며, 안정 시 흉통이 소실되는 것이 특징이다.
2. 불안정협심증
불안정한 플라크가 파열되면서 그 위에 혈전이 생성되고 이것이 좁아져 있는 혈관을 부분적 혹은 전체적으로 막으면서 발생한다. 흉통이 안정 시에도 나타나 예측 불가능하다. 흉통의 지속시간이 점점 길어지고 빈도도 많아지며 안정협심증의 증상보다 심해진다. 흉통 발생 시 응급약으로 사용되는 니트로글리세린 설하정으로도 흉통이 잘 사라지지 않는다. 임상적으로는 협심증이 최근 1개월 내 처음 발병했거나, 아주 적은 운동량에도 흉통이 발생하는 경우에도 불안정형심증으로 진단한다.
참고 자료
네이버 지식백과, 서울대학교 병원 의학정보 [협심증]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926915&mobile&cid=51007&categoryId=51007#TABLE_OF_CONTENT7
네이버 지식백과 , 국가건강정보포털 의학정보 [협심증]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2119940&cid=51004&categoryId=51004
삼성서울병원, 건강정보, [협심증] http://www.samsunghospital.com/home/healthInfo/content/contenView.do?CONT_SRC_ID=09a4727a8000f37f&CONT_SRC=CMS&CONT_ID=2231&CONT_CLS_CD=001020001004
병원간호사회, 정보, 간호사가알려주는홈케어, 심혈관 질환 [협심증] http://khna.or.kr/homecare/03_cardi/heart02.php
네이버 지식백과, 서울대학교 병원 의학정보 [관상동맥 우회술]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927841&cid=51007&categoryId=510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