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NZE
BRONZE 등급의 판매자 자료

간호 연구 계획서

"간호 연구 계획서"에 대한 내용입니다.
27 페이지
한컴오피스
최초등록일 2019.06.29 최종저작일 2019.05
27P 미리보기
간호 연구 계획서
  • 본 문서(hwp)가 작성된 한글 프로그램 버전보다 낮은 한글 프로그램에서 열람할 경우 문서가 올바르게 표시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이 경우에는 최신패치가 되어 있는 2010 이상 버전이나 한글뷰어에서 확인해 주시기 바랍니다.

    미리보기

    목차

    1. 연구개요: (연구계획서 요약)

    2.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2) 연구목적
    3) 연구가설 : 실험논문인 경우만 진술
    4) 용어정의

    3. 문헌고찰
    1) 학교폭력의 개념
    2) 학교폭력의 실태
    3) 학교폭력 일상생활복귀 지원

    4. 연구방법
    1) 연구 설계
    2) 연구 대상
    3) 실험 처치 (실험 연구를 진행하는 경우만 진술)
    4) 실험 처치 (실험 연구를 진행하는 경우만 진술)
    5) 연구 도구
    6) 자료수집 절차
    7) 자료 분석 방법

    5. 예상결과 및 기대효과 : 설문조사 결과도 함께 제시

    6. 부록: 설문지 및 연구참여 동의서

    본문내용

    연구개요: (연구계획서 요약)
    연구필요성
    본 연구는 학교폭력 가해경험이 있는 아동 청소년을 대상으로, 심리 상담과 교정활동을 중점으로 진행된 기존 프로그램과 다르게 자아존중감, 공감능력, 대인관계기술, 책임감이 포함된 중재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4가지 요소가 학교폭력 가해 학생에게 얼마나 효과적인가에 대해 검증하고자 한다. 또한, 학교폭력 가해자 집단모임에 개발한 프로그램을 쉽게 활용하여, 효과를 거두고자 한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테트리스’ 프로그램을 통해 학교 폭력 가해 아동 · 청소년의 자아존중감을 상승시켜 타인에 대한 존중감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기 위한 유사 실험 연구로, G광역시 S구 중학교 1-3학년 학생 중 연구 참여를 동의한 실험군, 대조군 각각 22명씩 총 44명을 대상으로 질문지를 사용하여 자아존중감, 공감능력, 대인관계, 책임감에 대해 자료 수집을 할 예정이다.
    자료 분석
    수집된 자료는 SPSS PC + 25.0 for Windows를 사용하여 전신통계 처리한 분석방법은 대상자의 일반적인 특성은 Chi-square와 Fisher’s exact test를 통해 두 집단 간의 사전 동질성을 검증하였다. 또, Kolmogorov-Smirnov test, t-test를 각각 이용해 프로그램 실시 전 실험군과 대조군의 종속변수에 대한 정규분포와 사전 동질성을 검증하였다. 프로그램 실시 후 실험군과 대조군 간의 종속변수 차이비교는 t-test를 이용하여 분석할 것이다.
    예상결과 및 기대효과
    연구 결과 ‘테트리스’ 프로그램은 중학교 1-3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자아존중감, 공감능력, 대인기술, 책임감을 향상시키는데 학교폭력 가해자 프로그램을 교육받은 실험군이 교육받지 않은 대조군보다 유의하게 증진된 것을 보아 학교폭력 가해자 프로그램은 자아존중감, 공감능력, 대인기술, 책임감 증진에 효과적일 것이다.

    참고자료

    · 이주영, 이아라. (2015). 학교폭력 가해자 대상 상담에서의 상담자 경험과 인식에 대한 질적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7(4), 849-880.
    · http://www.dbpia.co.kr/journal/articleDetail?nodeId=NODE06563303
    · 박상근, & 윤초희. (2013). 학교폭력 가해자 대상 상담 및 심리치료 프로그램과 학교폭력 예방 프로그램의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한국심리학회 학술대회 자료집, 2013(1), 215-215.
    · http://www.dbpia.co.kr/journal/articleDetail?nodeId=NODE06378734
    · 배원섭, 성희자. (2014). 학교폭력 가해학생의 조치에 대한 연구. 사회과학연구, 25(4), 269-287.
    · http://www.dbpia.co.kr/journal/articleDetail?nodeId=NODE02492117
    · 홍현주. (2012). 학교 폭력 피해자/가해자의 이해와 치료. 대한소아청소년정신의학회 학술대회논문집, (), 27-31.
    · http://www.dbpia.co.kr/journal/articleDetail?nodeId=NODE02056209
    · 정현주, 김하나, 이호준. (2013). 학교폭력 가해자 부모교육 및 피해자 부모교육 프로그램의 개발과 효과성 평가. [KYCI] 청소년상담연구, (), 0-0.
    · http://www.dbpia.co.kr/journal/articleDetail?nodeId=NODE03692586
    · 이은하. (2018). 학교폭력 예방 및 치유를 위한 집단상담 프로그램. 사회복지경영연구, 5(2), 447-461.
    · http://kiss.kstudy.com/thesis/thesis-view.asp?key=3653319
    · 이완희. (2018). 학교폭력 가해자와 피해자의 종단적 메커니즘 연구: 가해와 피해의 인과관계를 중심으로. 한국경찰학회보, 68, 269-291.
    · http://kiss.kstudy.com/thesis/thesis-view.asp?key=3578985
    · 이동명, & 김후년. (2012). 학교폭력법에 의한 징계절차에 관한 연구-가해학생에 대한 교육적 접근을 중심으로. 법과정책, 18(2), 349-374.
    · http://kiss.kstudy.com/thesis/thesis-view.asp?key=3098859
    · 정영숙. (2016). 학교폭력 가해청소년의 정서조절 분화장애와 색채반응성. 정서· 행동장애연구, 32(3), 301-320.
    · http://kiss.kstudy.com/thesis/thesis-view.asp?key=3658674
    · 서정기. (2012). 신진학자 학교폭력 이후 해결과정에서 경험하는 갈등의 구조적 요인에 대한 질적 사례연구. 교육인류학연구, 15(3), 133-164.
    · http://kiss.kstudy.com/thesis/thesis-view.asp?key=3214772
    · 김정은. (2016). 긍정심리기반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학교폭력 가해 청소년의 학교적응유연성과 긍정성에 미치는 효과. 사회과학연구, 27(4), 145-162.
    · http://www.dbpia.co.kr/journal/articleDetail?nodeId=NODE07047738
    · 송열매, 송문주, & 김선아. (2018). 학교폭력 가해 아동․ 청소년을 위한 중재의 통합적 문헌고찰.
    · http://kiss.kstudy.com/thesis/thesis-view.asp?key=3652881
    · 성경미, & 이한주. (2013). 폭력 피해 경험이 아동․ 청소년의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자아개념의 매개효과 분석. 지역사회간호학회지, 24(4), 407-418.
    · http://kiss.kstudy.com/thesis/thesis-view.asp?key=3199277
    · 윤정아, & 김춘희. (2016). 사회적 지지가 학교폭력 가해행동에 미치는 영향에서 인권의식의 매개효과. 한국자치행정학보, 30(1), 145-164.
    · http://kiss.kstudy.com/thesis/thesis-view.asp?key=3499477
    · 홍봉선, & 아영아. (2012). 인권감수성이 청소년의 학교폭력 가해행위에 미치는 영향. 학교사회복지, 23, 307-335.
    · http://kiss.kstudy.com/thesis/thesis-view.asp?key=3579330
    · 나현숙, 김미옥, & 천성문. (2014). 배려증진 프로그램이 학교폭력 가해아동의 자아존중감, 공격성 및 또래관계에 미치는 효과. 정서· 행동장애연구, 30(4), 291-315.
    · http://kiss.kstudy.com/thesis/thesis-view.asp?key=3295400
    · 박현숙, 홍현희, & 한윤선. (2018). 청소년의 스트레스와 주관적 행복감이 학교폭력 가해행동에 미치는 영향: 일반긴장이론을 기반으로 한 구조모형. 조사연구, 19(2), 1-23.
    · http://kiss.kstudy.com/thesis/thesis-view.asp?key=3608991
    · 강민규, & 최윤정. (2017). 단기 마음챙김 명상이 학교 폭력 가해 청소년의 공감 및 자기조절능력에 미치는 효과. 상담학연구, 18(5), 191-212.
    · http://kiss.kstudy.com/thesis/thesis-view.asp?key=3557136
    · 김원영, & 김경식. (2018). 한국 청소년의 학교폭력 가해행동 관련 유발변인에 대한 메타분석. 중등교육연구, 66(3), 783-814.
    · http://kiss.kstudy.com/thesis/thesis-view.asp?key=3629160
    · 배정우, & 천성문. (2004). 2 부: 동, 서양의 심리치료: 고등학생을 위한 대인관계능력 증진 집단상담 프로그램의 개발 및 효과. 동서정신과학, 7(1), 125-137.
    · http://kiss.kstudy.com/thesis/thesis-view.asp?key=2343489
    · 박선정, 이지연, & 장진이. (2012). 청소년의 대인관계 성향에 따른 군집 형성과 문제행동. 상담학연구, 13(4), 1649-1662.
    · http://kiss.kstudy.com/thesis/thesis-view.asp?key=3159894
    · 이영숙. (2015). 이영숙 박사의 한국형 12성품 척도 개발 연구. 이영숙 박사의 한국형 12성품 척도 개발 연구, 0(0), 1-169.
    · http://kiss.kstudy.com/thesis/thesis-view.asp?key=3375106
    · 「학교폭력예방 및 대책에 관한 법률」 제2조제1호
    · http://www.law.go.kr/법령/학교폭력예방및대책에관한법률
    · 특수교육학 용어사전(자아 존중감 용어정의)
    ·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384017&cid=42128&categoryId=42128
  • 자료후기

    Ai 리뷰
    이 자료는 깊이 있는 설명과 다양한 예시 덕분에 과제를 작성하는 데 큰 도움이 되었습니다. 앞으로도 이런 유익한 자료가 계속 등록되기를 바랍니다!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함께 구매한 자료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5월 17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33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