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ILVER
SILVER 등급의 판매자 자료

(이거사면끝) 산욕기 교육내용, 분만1234기 간호중재, 산과병동 케이스보고서, 분만실 케이스보고서, 급성통증, 불안, 미숙아출산, 정상분만 케이스, NSVD 케이스보고서, 간호진단 4개, 간호과정 3개

21 페이지
한컴오피스
최초등록일 2019.06.25 최종저작일 2019.05
21P 미리보기
(이거사면끝) 산욕기 교육내용, 분만1234기 간호중재, 산과병동 케이스보고서, 분만실 케이스보고서, 급성통증, 불안, 미숙아출산, 정상분만 케이스, NSVD 케이스보고서, 간호진단 4개, 간호과정 3개
  • 미리보기

    소개

    정상분만 케이스 보고서입니다.

    간호진단 4개, 간호과정 2개이고, 분만 1234기 간호중재 및 산욕기 교육내용과

    매일 사정기록지도 넣었습니다.

    미숙아 출산과 관련된 불안에 대한 중재도 꼼꼼히 넣었습니다.

    이거 하나 사시면 케이스 끝나요. 이거 하나만 사세요~^^

    만족도 100프로 보장합니다.

    목차

    Ⅰ.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Ⅱ. 본론
    1. 질병에 대한 기술(문헌고찰)
    (1) 회음절개술

    2. 대상자 사정
    1) 대상자 간호력
    (1) 일반정보
    (2) 산모력
    (3) 현재 산과력
    (4) 신생아 정보
    (5) 분만 관찰 기록지
    2) 간호사정
    (1) 신체사정
    (2) 산욕기 매일 사정 기록지
    (3) 산욕기 산모교육
    3) 대상자 기록지 고찰
    (1) 투약기록지
    (2) 진단적 검사
    3. 대상자 간호문제
    4. 간호과정
    1) 간호진단
    2) 간호과정

    Ⅲ. 결론 및 제언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Ⅰ. 서론
    대상자는 34세 여성으로 IUP 36+0wks된 Multi 산모(2-1-0-0-1)로 2019년 5월 17일 6:00AM 배가 당기는 통증 있으면서 피가 났고, 5분 간격으로 Labor 있어 6:50AM 분만실로 입원하였다.
    7:33AM 태아가 만출 되었으며, 분만 중 특이사항 없었다. 태어난 아이는 남성으로 체중은 2440g, Apgar score 8점/9점(1/5m)으로 양호한 상태였으나, Chest retraction 양상 관찰되어 TTN으로 NICU 입원하였다. 이후 산모는 산과병동으로 전실하였으며 특이한 호소 없이 회복하여 2019년 5월 19일 퇴원하였다.

    1. 연구의 필요성
    미숙아 출산은 부모의 일상생활에 영향을 주는 충격적인 사건으로 아기의 신생아중환자실 입원은 가족에게 위기를 초래하며(Tooten et al, 2013, Treyvaud et al, 2014), 미숙아 부모는 만삭아 부모보다 감정적인 어려움에 더 스트레스를 받게 된다(Guarini, 2014). 어머니의 경우, 임신과 출산은 여성에서 어머니로 전이되는 과정이며, 이 과정을 건강하게 보내고 만삭아를 출생하는 것이 보편적이나 미숙아 출산으로 아기에 대한 불확실성, 불안정, 긴장과 같은 부정적인 감정이 수반되면 어머니로서의 역할에 있어 가장 취약한 존재가 되기도 한다(Howe et al, 2014). 더욱이 미숙아는 출생 직후 곧바로 신생아중환자실에 입원하게 되어 어쩔 수 없이 부모와 분리된다. 이러한 상황에 미숙아 부모는 의학적 문제뿐 아니라 낯선 의료장비, 감시장치, 수액요법, 투약 등과 같은 침습적 처치와 기계와 기구로 둘러싸인 환경에 노출되어 있는 자신의 아기를 보면서 부모인 자신들이 접근할 수 없는 대상이라고 생각하며, 아기 만지는 것을 두려워하게 되고 부모로서 할 수 있는 것이 아무 것도 없다는 무력감을 경험한다(Jeon, 2011). 미숙아 어머니는 만삭아 어머니보다 심한 산후 우울증을 앓게 되고 미숙아 아버지 또한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같은 증상을 겪게 되는데(Petit et al, 2016, Ahn&Lee, 2004),

    참고자료

    · Jeon CS. Family stress, resiliency, and adaptation perceived by parents of the hospitalized prematurity in NICU. Seoul: Hanyang University; 2011. p. 1-92.
    · Choi HS, Shin YH. Effects on Maternal Attatchment, Parenting Stress and Maternal Confidence of Systematic Information for Mothers of Premature Infants.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2013;19:207-215]
    · Park SH, Rhee CW. Post-discharge adjustment of families with pre-term infants. Journal of KoreanSociety of Child Welfare 2007;24:151-175
    · Petit AC, Eutrope J, Thierry A, Bednarek N, Aupetit L, Saad S, et al. Mother's emotional and posttraumatic reactions after a preterm birth: The mother-infant interaction is at stake 12months after birth. A peer-reviewed, Open Access Journal. 2016;11(3);e0151091.
    · Hall RAS, Hoffenkamp HN, Braeken J, Tooten A, Vingerhoets AJJM, van Bakel HJA. Maternal psychological distress after preterm birth: Disruptive or adaptive? Infant Behavior and Development. 2017;49:272-280.
    · Mundy CA. Assessment of family needs in neonatal intensive care units. American Journal of Crinical Care. 2010;19(2): 156-163.
    · Tooten A, Hoffenkamp HN, Hall RA, Braeken J, Vingerhoets AJ, van Bakel HJ. Parental perceptions and experiences after childbirth: A comparison between mothers and fathers of term and preterm infants. Birth. 2013;40(3):164-171.
    · Treyvaud K, Lee KJ, Doyle LW, Anderson PJ. Very preterm birth influences parental mental health and family outcomes seven years after birth. The Journal of Pediatrics. 2014;
    · Guarini A, Sansavini A, Fabbri M, Alessandroni R, Faldella G, Karmiloff-Smith A. Basic numerical processes in very preterm children: A critical transition from preschool to school age. Early Human Development. 2014;90(3):103-111.
    · Howe TS, Sheu CF, Wang TN, Hsu YW. Parenting stress in families with very low birth weight preterm infants in early infancy. Research in Developmental Disabilities. 2014;35(7): 1748-1756.
    · Hall RAS, Hoffenkamp HN, Braeken J, Tooten A, Vingerhoets AJJM, van Bakel HJA. Maternal psychological distress after preterm birth: Disruptive or adaptive? Infant Behavior and Development. 2017;49:272-280.
    · Scandinavian Journal of Psychology. 2014;55(4):311-318.Fletcher L, Pham T, Papaioannou H, Spinazzola R, Milanaik R, Thibeau S. Parental perception of risk associated with their premature infant. Advaced in Neonatal Care. 2017;17(4):306-312.
    · Lee Y, Kim E, Park S, Kim AN, Lee J, Lee KM, et al. The visitation conditions, parents' anxiety and nurses' attitudes of open visitation in the neonatal intensive care unit. Evidence and Nursing. 2014;2(1):29-36.
    · Lee H, Lee K, Shin M. Analysis of maternal child health services in Korea: Perspective of the premature infant.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hild Health Nursing. 2009;15(1):81-87.
    · Kim JS, Shin HS. Effect of a discharge education program using on-line community for parents of premature infa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hild Health Nursing. 2010;16(4):344-351.
    · 드러그인포, 약품요약정보, http://new.druginfo.co.kr/
    · 여성건강간호교과연구회 저(2016) , 『여성건강간호학 2』, 수문사, 478-479
    · 양선희 저(2017), 『기본간호학 1,2』, 현문사
    · 김금순 외 10안, 『성인간호학 2』, 수문사
    · 김금자 외(2012), NANDA 간호진단과 중재 가이드, 현문사,
  • 자료후기

    Ai 리뷰
    지식판매자가 제공하는 자료는 질이 매우 높고, 주제에 대한 깊이 있는 분석이 인상적입니다. 이해하기 쉬운 설명과 다양한 예시 덕분에 활용하기 편했습니다. 정말 감사드립니다!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함께 구매한 자료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5월 07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23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