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NZE
BRONZE 등급의 판매자 자료

부정맥의 진단과 치료-서맥

"부정맥의 진단과 치료-서맥"에 대한 내용입니다.
13 페이지
워드
최초등록일 2019.06.05 최종저작일 2018.12
13P 미리보기
부정맥의 진단과 치료-서맥
  • 미리보기

    목차

    I. 서맥의 종류와 진단방법
    1. Sinus bradycardia (동성 서맥)
    2. Sinus arrhythmia (동성 부정맥) - Sinoatrial nodal pause, arrest, and exit block
    3. Sick sinus syndrome (동기능부전증후군)
    4. Atrioventricular block (AV block, 방실차단)

    II. 인공심박동기의 구성과 종류, 작동 방법
    1. 인공심박동기의 구성
    2. 인공심박동기의 종류
    3. 인공심박동기의 작동방법
    4. 인공심박동기의 선택

    본문내용

    서맥은 임의로 60 박동/분 미만의 심박수로 정의됩니다. 수면 중에 발생하는 1도 방실 장애나, 운동 선수에서의 서맥과 같은 경우처럼, 종종 서맥은 생리학적입니다. 다른 경우에는, 서맥은 병리학 일 수 있습니다. 빈맥과 유사하게, 서맥은 정상적인 임펄스 생성 및 전도 시스템 (동방결절에서 방실결절을 지나 His-Purkinje 시스템)의 계층 구조에서 교란 수준에 따라 분류 할 수 있습니다.
    1. Sinus bradycardia (동성 서맥)
    Sinus bradycardia 는 sinoatrial (SA, 동방) 결절에서 발생하는 자극의 횟수가 낮아지는 리듬입니다. SA 노드에서 발생하는 정상적인 성인 심박동 수는 분당 60-100 박자의 범위로 간주되며 동성 서맥은 분당 60 박자 이하의 속도의 동성 리듬으로 정의됩니다. 그러나 정상 심박수는 교감 신경계와 부교감 신경계 사이의 복잡한 상호 작용의 결과이기 때문에 여러 요인에 의해 영향을 받으며 연령 및 신체 조건에 따라 일부 달라질 수 있습니다. 동성 부정맥, 호흡주기의 결과로 동성 율의 변화는 종종 동성 서맥을 수반합니다.

    2. Sinus arrhythmia (동성 부정맥) - Sinoatrial nodal pause, arrest, and exit block
    동방결절은 상부 우심방과 상대정맥의 교차점에 있는 좁은 지역에서 P 세포라고 하는 박동조율세포의 통합된 활동을 나타냅니다. Transitional (T) 세포라고도 하는 결절주변세포 (perinodal cells)는 SA 결절에서 오른쪽 심방으로 전기 자극을 전달합니다. 이들 세포 유형은 각각 명확한 이온 채널 및 갭 접합부의 발현을 갖습니다. 주어진 SA 결절의 구조에서, SA 결절 기능 부전은 전형적으로 P 세포에 의한 임펄스 생성의 비정상 또는 T 세포를 통한 전도상의 비정상으로 인해 발생합니다. SA 결절 장애는 대부분 후천적인 이상이지만, 어떤 환자에서는 유전자 돌연변이로 인한 유전된 SA 결절장애의 일부 형태인 경우가 있습니다.

    참고자료

    · Braunwald's Heart disease 11th edition, volume 1, p.772-779
    · Braunwald's Heart disease 11th edition, volume 1, p.780-787
    · Epstein AE, DiMarco JP, Ellenbogen KA, Estes NA 3rd, Freedman RA, Gettes LS, Gillinov AM, Gregoratos G, Hammill SC, Hayes DL, Hlatky MA, Newby LK, Page RL, Schoenfeld MH, Silka MJ, Stevenson LW, Sweeney MO, Smith SC Jr, Jacobs AK, Adams CD, Anderson JL, Buller CE, Creager MA, Ettinger SM, Faxon DP, Halperin JL, Hiratzka LF, Hunt SA, Krumholz HM, Kushner FG, Lytle BW, Nishimura RA, Ornato JP, Page RL, Riegel B, Tarkington LG, Yancy CW; American College of Cardiology/American Heart Association Task Force on Practice Guidelines (Writing Committee to Revise the ACC/AHA/NASPE 2002 Guideline Update for Implantation of Cardiac Pacemakers and Antiarrhythmia Devices); American Association for Thoracic Surgery; Society of Thoracic Surgeons. ACC/AHA/HRS 2008 Guidelines for Device-Based Therapy of Cardiac Rhythm Abnormalities: a report of the American College of Cardiology/American Heart Association Task Force on Practice Guidelines (Writing Committee to Revise the ACC/AHA/NASPE 2002 Guideline Update for Implantation of Cardiac Pacemakers and Antiarrhythmia Devices): developed in collaboration with the American Association for Thoracic Surgery and Society of Thoracic Surgeons. Circulation. 2008;117;e350-e408.
    · PHILIP J. PODRID, PETTER R. KOWEY. CARDIAC ARRHYTHMIA: mechanisms, diagnosis, and management. 2nd ed; pp 321-328.
    · Kenneth A. Ellenbogen, Mark A. Wood. Cardiac pacing and ICDs. 4th ed; pp 47-86.
    · 김성순. 심장부정맥의 진단과 치료; pp 151-185.
    · 대한순환기학회. 심장학 교과서 2004; pp 636-638.
    · Bernstein AD, Camm AJ, Fisher JD, Fletcher RD, Mead RH, Nathan AW, Parsonnet V, Rickards AF, Smyth NP, Sutton R. North American Society of Pacing and Electrophysiology policy statement. The NASPE/BPEG defibrillator code. Pacing Clin Electrophysiol. 1993;16:1776-1780.
    · Sung JH et al. Permanent cardiac pacing. International Journal of Arrhythmia 2010;11(3):16-22
  • 자료후기

      Ai 리뷰
      매번 새로운 인사이트를 제공해 주어 지식의 폭이 넓어지는 기분입니다. 지식판매자 덕분에 많은 것을 배우고 있습니다. 정말 추천하고 싶습니다!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판매자 설정표지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9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52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