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OD 측정 실험
- 최초 등록일
- 2019.05.20
- 최종 저작일
- 2018.04
- 11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1,000원

소개글
"BOD 측정 실험"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Ⅰ. 개요
1. 배경
2. 실험목적
3. 실험의 용도
Ⅱ. 실험법
1. 실험기구 및 실험물질
2. 시약조제
3. 실험절차
Ⅲ. 결과 및 토의
1. 실험 결과
2. 토의
Ⅳ. 결론
본문내용
-생화학적 산소요구량(BOD)이란?
수중 유기물은 호기성 미생물의 작용에 의해 정화되고 안정화되는 과정에서 수중 용존산소를 소비하는데 이를 생물화학적 산소요구량이라고 하고 일반적으로 BOD(Biochemical Oxygen Demand)라고 부르며, 생물분해가 가능한 유기물질의 강도를 뜻한다. 하천·호소·해역 등의 자연수역에 도시폐수·공장폐수가 방류되면 그중에 산화되기 쉬운 유기물질이 있어 수질이 오염된다. 이러한 유기물질은 수중의 호기성세균에 의해 산화되며, 이에 소요되는 용존산소의 양을 mg/ℓ 또는 ppm으로 나타낸 것이 생화학적 산소요구량이다. 수질규제 항목 중 가장 일반적이다. 보통 호기성 미생물이 충분히 생육 가능한 상태에서 시료를 20℃에서 5일 동안 방치하였을 때 소비되는 산소량(BOD)을 말한다. BOD분석에 수반되는 산화 반응은 생물학적 활성에 의한 것이며, 반응이 진행되는 속도는 유효 개체수와 온도에 크게 지배된다. 온도가 올라감에 따라 약간 증가한다. 도시폐수의 경우 BOD 반응은 20℃에서 약 20일이 걸리는데 이와 같이 끝까지 반응시켜서 얻은 것을 최종 BOD 농도라고 한다. 온도를 자연상태 물의 중앙치인 20℃에서 분석을 수행함으로써 온도의 영향이 일정해 지도록 한다. 이 생물들의 대사과정 진행속도는 많은 시일이 걸려 평가되어야 한다. 보통 20일에 완결되는 것으로 간주한다. 그러나 결과를 얻는데 20일이나 되는 기간이 소요되는 것은 아무래도 비실용적이다. 따라서 경험을 통하여 총BOD의 거의 대부분이 5일 이내에 나타나는 것을 알게 되었고, 이에 따라 5일의 배양기간을 기준으로 하는 분석방법이 개발되어 이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측정한 농도값은 BOD5 또는 5일 BOD라고 하며, 일반적으로 BOD라고 하며 이 5일 BOD값은 총BOD의 일부만을 나타내는 사실에 유의하여야 한다. 대부분의 가정폐수와 산업폐수의 경우, BOD5값은 총BOD의 약 70%~80%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것은 전체를 충분히 나타낼 수 있는 백분율이므로 대부분의 경우 BOD5 값을 사용하고 있다.
참고 자료
노재식 외, 2016.「토목기사 대비 상하수도 공학」, 한솔아카데미. 67
Hammer, Mark J. 1975.「Water and Waste-Water Technology」, John Wiley & Sons.
김형석, 김부길, 송영채, 1996.「수질분석 및 수처리 실험」, 동화기술교역, 57
김형석, 2003.「수질분석 및 실험」, 신광문화사, 87-101
한국해양학회, 2005.「해양과학용어사전」, 아카데미서적
Hammer, Mark J. 1975.「Water and Waste-Water Technology」, John Wiley & S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