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NZE
BRONZE 등급의 판매자 자료

급성 심근경색(acute myocardial infaction) 간호중재 및 근거

"급성 심근경색(acute myocardial infaction) 간호중재 및 근거"에 대한 내용입니다.
7 페이지
워드
최초등록일 2019.05.15 최종저작일 2019.05
7P 미리보기
급성 심근경색(acute myocardial infaction) 간호중재 및 근거
  • 미리보기

    목차

    없음

    본문내용

    즉, 김 씨의 자료를 분석하면 동맥 경화증이 나타날 것으로 보이며, 이에 관상동맥이 좁아져 심장 근육의 일부에 혈액이 공급이 부족하여 발생하는 관상동맥 질환(coronary artery disease)으로 협심증(angina) 또는 심근경색(MI)이 발생할 가능성이 매우 높다. 관상동맥 질환의 risk factor 는 첫째, 고지혈증(hyperlipidemia)이다. 고지혈증 혈중 콜레스테롤이나 중성지방이 정상 이상으로 높아진 현상을 이야기 하며 특별한 증상 없이 죽상동맥경화증을 유발시키는 주원인 질환이 된다. 특히, 관상동맥질환으로 대표적인 협심증과 심근경색 및 뇌혈관 질환의 주요 위험인자이다. 고지혈증 지표인 LDL cholesterol의 혈중 농도는 심혈관계 질환의 발생이나 이로 인한 사망률 증가와 관련이 깊다(김철호, 2007). 선행 연구에 따르면 관상동맥질환의 가장 중효한 위험인자인 고지혈증을 치료할 경우 관상동맥질환에 의한 사망률을 30%까지 감소시킬 수 있다고 주장한다(하은희, 2008). 둘째, 고혈압(Hypertension)이라 할 수 있다. 김 씨는 고혈압의 과거력을 가지고 있으며 고혈압 약물로 hydrocholrothiazide 50mg를 하루 한번 경구 복용 중에 있다. 그러나, 측정한 활력징후에서는 혈압 162/60으로 SBP가 상승되어 있음을 볼 수 있는데, 이는 혈압이 제대로 조절되지 않고 있음을 시사한다. 셋째, 폐경이다. 여성에서 관상동맥 질환은 폐경기 이전의 여성보다 이후 여성에게서 관상동맥 질환의 발생률이 높다고 보고하고 있다. 이는 동맥경화의 진행을 억제하는 estrogen의 변화 때문에 나타난다. 넷째, 흡연이다. 흡연은 그 자체가 estrogen수치를 감소시키므로 여성에서 심혈관 질환에 대한 위험도가 높고 심근경색(MI)이 남성보다 더 호발할 수 있다. 니코틴이 혈관 내피세포를 파괴하고, 흡연에 따라 증가하는 산화자유기 또한 내피세포를 파괴하며 이에 따라 내피세포에서 분비되는 산화질소(NO)가 감소하면서 관상동맥이 수축하여 협심증을 악화시키게 된다. 또한, 흡연은 혈압을 상승시키고 Total cholesterol, Triglyceride, LDL수치를 높이는 반면, HDL은 감소시킨다.

    참고자료

    · 김철호, 김광일, 김재형, 저내은, 배종화, 이재우, 최경훈, 홍순표, 이방헌. (2007). 관상동맥질환 위험 인자를 가진 환자군에서 Pitavastatin의 유효성 및 안전성 평가 연구. 대한심장내과협회지 37, 16-21. 대한심장학회지 28(4), 653-657.
    · 남상명, 하은희, 서영주, 박혜숙, 장문희, 서주희, 김병미.(2008). 40세 이상 성인에서 비만지표가 혈중지질수준과 고지혈증 발생에 미치는 영향. 대한비만학회지 17(1), 20-21.
    · 박경민.(2009). ST분절 상승 급성 심근경색증으로 오인된 급성 심근염. 국제 부적맥학회 10(2), 34-37.
    · 박은진, 이지아.(2015). 급성 심근경색 환자의 증상클러스터. 대한간호학회지 45(3), 378-387.
    · 박정식.(1998). 흡연과 동맥경화성 심혈관질환.
    · 안정천, 김수미, 황교승, 이은미, 송우혁, 임도선, 박창규, 김영훈, 서홍석, 심완주, 오동주, 노영무.(1998). 급성 심근경색증에서 경색심근의 관류정도와 12유도 심전도상 R파, ST절, QRS평점과외 관계. 대한심장학회지 28(10), 1707-1716.
    · 이상지질혈증 치료지침 제정위원회.(2015). 2015 이상지질혈증 치료지침. 한국지질, 동맥경화학회 4(1), 61-92.
    · 이승현, 조영채. (2011). 건강검진 수검자의 BMI와 체지방율에 의한 비만도 평가 및 관상동맥질환위험인자와의 관련성.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12(2), 746-752.
    · 이형탁, 김욱성. (2008). 중년에서의 관상동맥질환과 관상동맥우회술. 대한의사협회지 51(4), 327-334.
    · 조영희, 고미혜.(). 기본간호학. 서울: 신광출판사.
    · 최순희, 김순옥, 문희, 성미혜.(). 간호과정. 서울: 정문각.
    · Cholesterol Treatment Trialists' (CTT) Collaborators, Mihaylova B, Emberson J, Blackwell L, Keech A, Simes J, et al. The effects of lowering LDL cholesterol with statin therapy in people at low risk of vascular disease: meta-analysis of individual data from 27 randomised trials. Lancet 2012;380:581-590.
    · Fletcher GF, Ades PA, Kligfield P, Arena R, Balady GJ, Bittner VA, et al. Exercise standards for testing and training: a scientific statement from the American Heart Association. Circulation 2013;128:873-934.
    · Haskell WL, Lee IM, Pate RR, Powell KE, Blair SN, Franklin BA, et al. Physical activity and public health: updated recommendation for adults from the American College of Sports Medicine and the American Heart Association. Circulation 2007;116:1081-1093.
    · Mensink RP, Zock PL, Kester AD, Katan MB. Effects of dietary fatty acids and carbohydrates on the ratio of serum total to HDL cholesterol and on serum lipids and apolipoproteins: a meta-analysis of 60 controlled trials. Am J Clin Nutr 2003;77:1146-1155.
    · Mosca L. Estrogen and Atherothrombosis. In: Fuster V, Topol EJ, Nabel EG. Atherothrombosis & coronary artery disease. Philadelphia: Lippincott Williams and Wilkins, 2005: 297- 307.
  • 자료후기

    Ai 리뷰
    지식판매자가 제공한 자료는 정보가 풍부하고, 내용이 명확하게 정리되어 있어 과제를 작성하는데 큰 도움이 되었습니다. 매우 추천할 만한 자료입니다!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5월 04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39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