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11영화 "엄청나게 시끄럽고 믿을수없이 가까운"을 보고-분석, 비판 소논문 A+
- 최초 등록일
- 2019.05.12
- 최종 저작일
- 2014.05
- 4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4,500원

목차
Ⅰ. 서 론
Ⅱ. 영화의 시놉시스
Ⅲ. 감독이 의도 하고자 했던 주제
1. 9.11테러 희생자 유족의 아픔에 대한 표현
2. 가장을 잃은 아이의 상처 치유과정
Ⅳ. 관객이 느끼는 주제
1. 9.11 테러 영화
2. 가족애를 그린 영화
3. 상처 받은 아이의 성장 영화
Ⅴ. 주된 테마를 흐리게 하는 다중적 주제 비판
Ⅵ. 결론
본문내용
지금껏 많은 영화를 봤고 그 영화들로 인해 기쁨과 슬픔을 느끼고 깊은 감명을 받았다. 하지만 이 영화는 처음부터 과제라는 의미로 봐서 그런지 약간은 지루했고 이해하기도 힘들었다. 결말 부분에 가서야 아! 하는 감정을 느낄 정도로 주제가 나에게는 애매하다고 느꼈다. 왜 일까? 왜 나에게는 이 영화가 처음부터 가슴에 닿지 않았나? 곰곰이 생각한 끝에 도저히 답이 안 나와 원작 소설을 읽어 봤다. 그제서야 감독이 일관된 주제 의식 보다 많은걸 생각 하고 의도 하다 보니 감독 자신도 핵심을 잃고 곁가지에 지나치게 신경써 핵심주제를 망가뜨리는 누를 범한것 같다는 생각이 든다. 감독이 너무 많은 주제를 가지고 표현 하려 하다 보니 관객이 혼돈하게 되고 이 영화가 무엇을 얘기 하고자 한 것인지를 쉽게 이해하지 못한 것이다. 그렇다면 내가 왜 이런 주장을 하는지에 대해 감독이 의도하고자 했던 주제와 관객이 느끼는 주제사이의 괴리를 짚어보고, 영화를 난해하게하고 관객을 불편하게 만드는 다중적 주제 의 폐해에 대해 아래에서 논해보기로 한다.
참고 자료
조너선 사프란 포어 지음, 송은주 옮김 (2006) 『Extremely Loud & Incredibly Close』, 민음사
자크 오몽 지음, 곽동준 옮김(2005), 『영화감독들의 영화 이론』, 동문선
크리스티앙 메츠 지음, 이수진 옮김(2011), 『영화의 의미작용에 관한 에세이1』 ,문학과 지성사
유리 띠냐 노프, 보리스 에이헨바움 지음, 오종우 옮김(2001), 『영화의 형식과 기호』, 열린책들
문관규.유양근.이명자.함춘성(2007), 『초보자를 위한 시네 클래스』, 커뮤니케이션 북스
이형식 (2002), 『영화의 이해』, 건국대학교 출판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