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포생물학 ppt
- 최초 등록일
- 2019.05.07
- 최종 저작일
- 2019.05
- 15페이지/
MS 파워포인트
- 가격 500원

판매자갈대

목차
1. 단세포에서 다세포로
2. Volvox (좁쌀공말)
3. 다세포 생물의 기원
4. 단세포와 동물의 유전적 연관성
5. 다세포성으로의 진화
본문내용
1. 단세포에서 다세포로
-지구상의 최초의 생명체는 단세포 원핵생물로 약 38억 년 전에 나타났다고 여겨진다.그러나 다세포 생물은 약 10억 년 전에 출현한 것으로 예측된다.다세포 생물의 기원은 무엇이며 이는 단세포 생물과 어떤 관계를 갖는가를 알아보자.
-다세포생물의 경우 개체를 이루는 각각의 세포들은 각각 혼자 독립적으로 살아가는 것이 아니라 하나의 개체로서 통일성을 유지하려 한다.서로 물질을 끊임없이 주고받으며 공존하고, 호르몬 등 화학 물질에 의해 세포끼리 연락을 하기도 한다.
-다세포생물의출현 이전 지구 상에 생존하던 다양한 단세포생물이 아마도 군체 생활을 거쳐 다세포생물로 진화했을 것으로 보인다.과학자들도 이 점에 주목하여 볼복스(Volvox)가 단세포생물과 다세포생물의 중간형이라고 말한다.
2. Volvox (좁쌀공말)
Volvox는 적게는 수천개, 많게는 수만개의 세포가 모여 공모양의 군체를 형성한 것이다. 비록 Volvox가 현생 다세포 식물의 직접적인 조상은 아니지만, 단세포 생물이 다세포성을 지녀서 유리한 점이 있다면 현생 단세포 생물 역시 다세포로 진화하는 중간단계를 거칠 가능성이 크기 때문이다.
3. 다세포 생물의 기원
-위트워터스트랜드(Witwatersrand) 대학의 조나단페더스톤(Jonathan Featherston) 교수는 매우 단순한 군체 조류인 Tetrabaenasocialis 를 연구했다.
-이 조류는 단세포 생활을 하다가 불과 4개의 개체가 모여 집단을 형성한다. 고작 4개의 세포가 모이는 것이 이전에 비해 이득이 생기는가? 그들은 포식자로부터 안전해진다는 것을 가장 큰 이유로 들었다.물론 현재처럼 대형 포식자가 많은 환경에서는 별 이득이 없을 수도 있지만,아마 다세포 생물이 처음 진화하던 시점에는 큰 포식자가 없었으므로 이는 상당한 이점을 제공했을 것이다.
참고 자료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