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NZE
BRONZE 등급의 판매자 자료

티벳, 신강 사태를 통한 동북공정 대응방안 모색 - 현대 중국의 티벳, 신강 지역의 정치적 갈등의 연원과 대안

15 페이지
한컴오피스
최초등록일 2019.04.26 최종저작일 2017.10
15P 미리보기
티벳, 신강 사태를 통한 동북공정 대응방안 모색 - 현대 중국의 티벳, 신강 지역의 정치적 갈등의 연원과 대안
  • 미리보기

    소개

    아시아의 문화와 역사를 주제로 하는 강의에서 A+를 받은 레포트입니다.

    현대 중국의 티벳, 신강 지역의 정치적 갈등의 연원과 대안을 주제로 하여 동북공정 대응방안을 모색하고 있습니다.

    중국과 소수민족의 관계, 티벳 사태, 신강 지역 위구르족의 분리 독립운동, 동북공정의 개념과 진행 상황, 여러 사태의 공통점, 대응방안에 대해 자세히 다루고 있습니다. 여러 표 등 참고 자료와 평가, 자기 견해까지 포함한 서론, 본론, 결론 구성의 글입니다.

    목차

    Ⅰ. 서론 - 하나 된 중국을 위한 거대한 음모에 저항

    Ⅱ. 본론
    1)중국과 소수민족, 물과 기름 같은 관계
    1. 티벳 사태
    2. 신강 지역 위구르족의 분리 독립운동
    2)동북공정에 대처하는 우리의 자세
    1. 동북공정이란?
    2. 진행상황
    3. 티벳과 신강 사태와의 공통점
    4. 대응방안

    Ⅲ. 결론 - 평가․ 자기 견해

    Ⅳ. 출처 및 참고문헌

    본문내용

    중국 내 소수민족 자치구역이 전체 국토 면적의 약 60% 이상을 차지할 정도로 소수민족의 영향력은 결코 적지 않다. 특히 소수민족 지역의 풍부한 산림자원과 광물자원 등은 중국정부가 추진하는 경제 발전 계획에서 핵심적인 원동력이 될 수 있기에 소수민족과 그들의 자치구역은 국가발전 측면에서도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중국의 국경에 위치하고 있는 지역의 대부분이 소수민족 자치구역에 속하기 때문에 이들은 중국의 변경 안정에도 아주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처럼 중국의 발전에 필수적인 요소들을 지니면서도 한족 문화와 다른 고유한 문화와 역사를 지닌, 주요 소수민족으로는 티벳족(장족)과 위구르족이 있다. 그리고 이들의 자치구역은 중국이 소수민족들을 하나의 울타리로 편입하려는 시도를 멈추지 않고 있는 현재, 끊임없는 정치적 갈등이 발생하고 있는 대표적인 예이기도 하다. 49년 건국이후, 중국은 소수민족을 포괄하기 위한 적절한 강경책으로 하나 된 중국을 효과적으로 실현해내고 있는 듯 했지만, 소수민족의 반(反) 중국 시위와 독립 요구로 인해 바람 잘 날 없이 시끄럽기만 하다. 소수민족 갈등의 대표지인 서부의 티벳(西藏)과 신강(新疆) 위구르자치구 지역 또한 중국정부의 통제와 지배에서 벗어나기 위해 노력하고 있지만, 무력을 통한 중국정부의 탄압으로 인해 갈등은 여전히 지속되고 있다.
    그런데, 하나 된 중국을 위한 거대한 음모는 이것이 전부가 아니었다. 중국정부가 소수민족을 장악하는 것도 모자라 우리나라의 역사에도 눈독을 들이기 시작한 것이다. 중국정부는 ‘통일적 다민족 국가론’을 동북에 적용하여 조선족의 이탈을 방지하려는 속셈에서 나아가 고조선사, 부여사, 고구려사, 발해사를 중국사와 동일시함으로써 역사적 왜곡을 저지르고 있다. 여기에는 민족의 역사를 부정하며, 여러 민족들을 중화민주주의로 포괄하려는 단결의지가 내포되어 있다. 이렇듯 한반도의 역사에 흠집을 내는 중국의 움직임이 계속되고, 수년의 세월이..

    <중 략>

    참고자료

    · 김한규, 티베트와 중국, 소나무, 2000, (8. 14세 달라이 라마 치세의 티베트와 중화인민공화국 시대의 중국)
    · 김한규, 티베트와 중국의 역사적 관계, 혜안, 2003, (1. 14세 달라이 라마 시기의 티베트와 중화인민공화국 시기의 중국)
    · 박병석, 중화제국의 재건과 해체, 교문사, 1999, (pp.501-504)
    · 정재남, 중국의 소수민족, 살림, 2008, (pp. 76-80)
    · 중국의 역사왜곡 ‘동북공정’10년… 지금도 진행중, <중앙일보>, 2012년 7월 18일,
    · http://article.joinsmsn.com/news/article/article.asp?total_id=8787512&cloc=olink|article|default, (2012/11/10)
    · 동북공정 종료돼도 여전히 현재진행형, <한겨레 뉴스>, 2012년 7월 24일,
    · http://www.hani.co.kr/arti/culture/religion/544056.html, (2012/11/10)
    · 中티베트 유혈시위로 3명 사망‥美­中 대립, <MBC 뉴스>, 2012년 1월 26일,
    · http://imnews.imbc.com/replay/nwtoday/article/3010217_5782.html, (2012/11/11)
    · 신장 한족 시위 원인은 주사기 테러, <YTN>, 2009년 9월 4일,
    · http://www.ytn.co.kr/_ln/0104_200909040103291162(2012/11/12)
    · 신장 위구르 폭탄테러, 21명 사상, <위키뉴스>, 2010년 8월 23일,
    · http://ko.wikinews.org/wiki/%EC%8B%A0%EC%9E%A5_%EC%9C%84%EA%B5%AC%EB%A5%B4_%ED%8F%AD%ED%83%84%ED%85%8C%EB%9F%AC,_21%EB%AA%85_%EC%82%AC%EC%83%81(2012/11/12)
    · “한족 나가라”中신장 위구르 2년만에 대규모 ‘민족분쟁’, <MTN>, 2012년 2월 29일, http://www.mt.co.kr/view/mtview.php?type=1&no=2012022914368280343&outlink=1, (2012/11/12)
    · [심층연구 | 김정일의 잇단 방중과 중국의 대외정책] 대북전략 목표는 북한 체제붕괴 저지와 ‘동북 4성’(동북 3성+북한) 구축, <네이버 뉴스>, 2010년 10월 25일,
    ·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0&oid=262&aid=0000003990(2012/11/14)
    · “중국의 소수민족”, <시사상식사전>, pmg 지식엔진연구소, 2012
    ·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398162&mobile&categoryId=475
    · “통일적 다민족 국가론”, <위키백과>, 2011
    · http://ko.wikipedia.org/wiki/%ED%86%B5%EC%9D%BC%EC%A0%81_%EB%8B%A4%EB%AF%BC%EC%A1%B1%EA%B5%AD%EA%B0%80%EB%A1%A0
    · “티벳[Tibet(Xizang)]”, <네이버 백과사전>, 두산백과, 1998,
    ·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154058&mobile&categoryId=200001202
    · “산해관 [Shanhaiguan ,山海關, 山海关 ]”, <네이버 백과사전>, 두산백과, 1998,
    ·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108825&mobile&categoryId=200001202
    · “달라이 라마”, <네이버 백과사전>, 두산백과 . 1998,
    ·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079970&mobile&categoryId=200001460
    · “신장위구르자치구”, <네이버 백과사전>, 두산백과, 1998.
    ·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119175&mobile&categoryId=200001202
    · “동북공정[東北工程]”, <네이버 백과사전>, 두산백과, 1998,
    ·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224063&mobile&categoryId=200001678
    · 金永台, <中國의 티벳 民族問題>, 立法調査硏究, 239pp.150-173
    · 김재기, <티베트의 중국으로부터 분리독립 운동의 기원과 전개>, 대한정치학회보, 제 13집, 제 3호, pp.27-53, 2006
  • 자료후기

    Ai 리뷰
    이 자료를 통해 새로운 지식과 통찰을 얻을 수 있었고, 과제를 를 보완하는 데 큰 도움이 되었습니다. 매우 만족스러웠습니다. 추천할 만한 자료입니다.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5월 16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07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