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BRONZE
BRONZE 등급의 판매자 자료

연세대 건강문제와 간호Ⅰ (Electrolyte) [A+]

"연세대 건강문제와 간호Ⅰ (Electrolyte) [A+]"에 대한 내용입니다.
7 페이지
한컴오피스
최초등록일 2019.04.12 최종저작일 2018.11
7P 미리보기
연세대 건강문제와 간호Ⅰ (Electrolyte) [A+]
  • 미리보기

    소개

    "연세대 건강문제와 간호Ⅰ (Electrolyte) [A+]"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What fluid and/or electrolyte disturbance does Mrs. Kim have? Please give your answer with rationale.

    2. Which electrolyte disturbance is of most concern in this case? Please provide your answer with rationale.

    3. What type of solution is D5NS with 20 mEq KCl/L? Please select one and provide rationale. (Hypertonic, Isotonic or Hypotonic)

    4. You may notice some concerning areas in these orders. Please describe the areas need further clarification from the physician.

    5. List safety principles when administering IV potassium.

    6. Please provide two most important nursing diagnoses and nursing care plan for Mrs. Kim.
    6.1.1 간호진단#1 전해질 불균형의 위험
    6.1.2 간호계획#1
    6.2.1 간호진단#2 체액 부족
    6.2.2 간호계획#2

    참고문헌

    본문내용

    Mrs. Kim (65 year-old, female) is admitted to your unit complaining of nausea, vomiting and diarrhea for a week. She does not have any remarkable past medical history except hypertension for which she takes Hydrochlorothiazide. She complains feeling exhausted and having leg cramps which interfere with her sleeping.
    Temperature: 38.6°C, Pulse rate 102 per minute (irregular), BP 90/50 mmHg; absent bowel tones, poor muscle tone and skin turgor

    Lab data: K = 2.9 mEq/L, Na = 137 mEq/L, Cl = 97 mEq/L

    1. What fluid and/or electrolyte disturbance does Mrs. Kim have? Please give your answer with rationale.
    체내 총 수분 total body water(TBW)은 남성에서 체중의 약 60%를 차지하고 여성에서 약 50%를 차지한다. 노화에 의해 체지방의 비율이 점차 증가 되면서 TBW의 비율은 감소하게 된다. TBW의 약 2/3가 세포내 구획에 위치하고 세포내액량 intracellular fluid volume(ICFV)을 구성한다. TBW의 약 1/3은 세포외 구획에 위치하고 세포외액량 extracellular fluid volume(ECFV)을 구성한다. 수분은 구획 사이의 삼투평형을 유지하기 위해 용질농도의 변화에 따라 이 모든 구획 사이를 자유롭고 빠르게 이동한다.

    참고자료

    · 김세중. (2011). 특집: 일차진료에서 흔히 접하는 수분 전해질 문제; 체액량 평가와 수액요법: 실제적인 면 중심으로. Korean Journal of Medicine(구 대한내과학회지), 80(1), 1-6.
    · 김윤정, 류옥현. (2017). 저칼륨혈증을 동반한 고혈압 환자에 대한 접근. Korean Journal of Medicine(구 대한내과학회지), 92(4), 387-390.
    · 배선준, 이종화, 이기영. (2010). 수액 요법: 수액의 종류와 특성. 대한의사협회지, 53(12), 1103-1112.
    · 전재규, 김현철. (2009). 수액 요법의 실제 2판. 서울: 군자출판사.
    · 차영남, 장효순, 한혜실, 정정숙, 윤진. (2013). NANDA 간호진단과 중재 가이드. 서울: 현문사.
    · 한상엽. (2009). 현장에서 사용하는 수액·영양 Quick book. 서울: 도서출판 대한의학서적.
    · Michael J. Neal. (2016). 한눈에 알 수 있는 약리학 8판 (임동윤 역). 서울: 범문에듀케이션. (원서출판 2011).
    · T.Heather Herdman. (2013). NANDA International Nursing Diagnosis 정의와 분류 2012-2014 (고일선, 송라윤, 오의금 역). 서울: 정담미디어·(주) 학지사
    · Richard A. Preston. (2012). 산-염기, 수액 그리고 전해질 (조원용 역). 서울: ㈜대한의학서적, 편집부. (원서출판 2001).
    · 약학 정보원. (n.d.). http://www.health.kr
  • 자료후기

      Ai 리뷰
      이 자료를 통해 새로운 인사이트와 지식을 얻을 수 있었습니다. 내용이 풍성하여 과제 작성에 큰 도움이 되었습니다. 계속해서 좋은 자료를 기대합니다! 감사합니다.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3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55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