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문강형준, 『혁명은 TV에 나오지 않는다』, 이매진, 2012,
· 정명석, 『좀비 제너레이션: 좀비로부터 당신이 살아남는 법』, 네오픽션, 2013,
· Kyle W Bishop, 『American zombie gothic : the rise and fall (and rise) of the walking dead in popular culture』, McFarland and Company, 2010
· 김형식, 『포스트-밀레니엄좀비 서사에 나타난 주체성연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2016
· 김민오, 『좀비영화의 시대반영성 연구』,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2013
· 박하림, 『2000년대 한국 문화에 나타난 좀비 서사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6 이희수, 『현대사회의 초상으로서의 좀비』,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2014
· 장하나, 『좀비서사의 스토리텔링 연구 : 소설, 웹툰, TV드라마를 중심으로』, 단국대학교 대학원, 2016
· 권혜경, 『좀비, 서구 문화의 전복적 자기반영성』 문학과영상학회, 문학과영상 10(3), 2009
· 김성범, 『21세기 왜 다시 좀비 영화인가?』, 동국대학원 영상미디어센터, 시네포럼(18), 2014
· 김지미, 파탄 난 서사와 좀비가 된 권력, 새얼문화재단, 황해문화 vol 92, 2016
· 송아름, 『괴물의 변화: ‘문화세대’와 ‘한국형 좀비’의 탄생』, 대중서사학회, 대중서사연구 19(2), 2013
· 강성률, 『이 시대가 만들어낸, 또 다른 형태의 천만 영화』, 미디어오늘, 2014-01-20
· 김숙현, 『좀비 영화가 무서운 이유는 따로 있다』, 시사인, 2016-08-17
· 루세나, 『대한민국은 지금 '좀비홀릭'…문화계 넘어 게임서도 '단골손님'』, 게임조선, 2013-07-22
· 박지현, 『[카메라 산책] 공포야 놀~자~! 좀비 호러 열풍』, 월간중앙, 2016-09-17
· 신용관, 『[배종옥, 영화와 놀다] ‘부산행’』, 주간조선, 2016-08-08
· 유재혁, 『영화 '부산행' 해외 매출 4500만달러 대박…글로벌 소재·국가별 맞춤 배급이 흥행 비결』, 한국경제, 2016-10-13
· 이주희, 『On-주간기획 곡성 신촌좀비만화 이웃집 좀비 학국에 유입된 좀비』, 매인뉴스, 2016-09-01
· 임주리, 『[[매거진M] 올여름 뒤흔든 한국영화 안에 '헬조선' 있다』, 중앙일보, 2016-08-19
· 전형화, 『좀비마니아 J씨 "'부산행' 후속편은 '좀비킹' 마동석 기대』, 스타뉴스, 2016-08-08
· 정정화, 『한국형 좀비영화 '부산행' 마동석에 대한 해외반응』, 인사이트, 2016-07-03
· 정혜윤, 『세계 좀비지도 등장, 한국도 상당수 분포』, 머니투데이, 2011-09-29
· 허지웅, 『[허지웅의 경사기도권] <부산행>이 좀비영화라는 장르로 증명하려는 것』, 씨네21, 2016-07-25
· 『[부산행START②]'부산행', 왜 한국판 '월드워Z'로 불릴까』, 해럴드pop, 2016-07-20
· 나무위키, https://namu.wiki/
· 맥스무비, www.maxmovie.com/
· 영화진흥위원회, http://www.kobis.or.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