객체지향의 개념에 대하여 정의하고 UML의 기능과 UML로 표현되는 다양한 다이어그램
- 최초 등록일
- 2019.03.26
- 최종 저작일
- 2019.03
- 5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2,000원
소개글
객체지향의 개념에 대하여 정의하고 UML의 기능과 UML로 표현되는 다양한 다이어그램에 대하여 기술하세요
목차
I. 서론
II. 본론
1. 객체지향이란
2. UML의 기능
3. UML로 표현되는 다양한 다이어그램
III. 결론
본문내용
I. 서론
요즘들어 그다지 전문적인 콘텐츠가 아니더라도 프로그래밍과 관련한 내용을 다루는 콘텐츠에서 자주 볼 수 있는 단어 중 하나는 객체 지향이다. 과거에는 프로그래머들만 코딩에 관심을 갖고 복잡한 프로그래밍 언어를 공부했지만 최근에는 코딩이 대중화되고 어린 아이들도 학교이나 사설 교육기관에서 코딩을 배우고 사회적으로 코딩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이 확산되면서 객체지향 프로그래밍과 관련한 내용이 더 중요해지고 있는 것 같다.
II. 본론
1. 객체지향이란
객체지향 프로그래밍은 프로그램을 어떻게 설계해야하는지에 관한 개념이자 방법론이라고 할 수 있다. 객체지향 프로그래밍은 프로그램을 데이터와 처리 방법으로 단순하게 구분하는 것이 아니라 프로그램을 객체라는 기본 단위로 구분하고, 이 객체들의 상호작용으로 서술하는 방식이다. 객체지향 프로그래밍은 기존의 절차적 프로그래밍과 구분된다. 절차적 프로그래밍에서는 데이터가 함수를 통과하면서 순서대로 가공되어 나가는 방식에 가까운데,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에서는 데이터를 중심으로 메소드가 데이터에 접근하여 수정하는 개념에 가깝다. 초기 프로그래밍의 방식은 절차적 프로그래밍 방식이었다. 프로그램 자체가 가지는 기능에 대해서만 관심을 두었을 뿐 프로그램이 어떤 데이터를 취급하는지에 대해서는 별다르게 관심을 기울이지 않았다.
하지만 절차적 프로그래밍은 한계점을 지니는데, 그 한계점은 간단한 알고리즘이 아닌 복잡한 알고리즘은 순서도로 나타내는 것이 불가능할 정도로 복잡한 스파게티 코드가 만들어질 수 있다는 것이다. 한 프로그래머가 이러한 방식으로 짠 코드를 다른 사람이 이해하는 것이 불가능하고 유지보수가 어려울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에츠허르 다이스트라가 구조적 프로그래밍 방식을 제안하면서 이러한 문제점을 일부분 해결하게 되었다. 구조적 프로그래밍 방식은 하향식 방식이라고도 부르는데, 프로그램이라는 대단위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문제를 몇가지 작은 문제로 나누어 해결하기 때문이다.
참고 자료
객체지향 vs 절차지향 프로그래밍, 위시켓, http://blog.wishket.com/객체지향-vs-절차지향-프로그래밍/
생각하라, 객체지향처럼, 우아한형제들 기술 블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