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변 평생교육 기관(거주지 근처나 본인이 참여했던 기관)을 대상으로 SWOT 분석을 종합적
- 최초 등록일
- 2019.03.15
- 최종 저작일
- 2018.09
- 5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2,000원

판매자레포트114 (본인인증회원)
8회 판매

소개글
평생교육경영론
주제: 주변 평생교육 기관(거주지 근처나 본인이 참여했던 기관)을 대상으로 SWOT 분석을 종합적으로 실시하시오.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시흥시 평생학습마을의 개요
2. SWOT 분석
Ⅲ. 결론
본문내용
Ⅰ. 서론
사회적 변화가 가속화됨에 따라 학습은 더 이상 초중고에 다니는 청소년기와 대학 교육에 그치지 않게 되었으며, 삶의 질 제고 및 새로운 기술과 지식의 습득으로 사회 변화에 발맞출 수 있도록 평생 교육이 요구되고 있다. 그러나 우리나라 성인들의 평생 교육 참여율은 35.6%에 그쳐, OECD 회원국들 중에는 전체 19위를 차지하는 수준이다.
평생 교육 기관은 「평생교육법」제2조 2항에 따라 평생교육법에 의거, 인가나 등록, 신고 된 시설이나 학원 등 기타 법령에 따라 평생 교육을 주목적으로 하는 시설 및 법인, 단체 등을 가리키게 된다. 평생 교육을 전담하는 대표적인 기관으로는 성인을 위한 특수 대학이나 연수원, 평생교육 전담 기구, 지역 평생교육센터 등이 있으며 초중고, 대학 부설 평생 교육 센터가 존재하고 준 교육센터나 비 교육 기관으로는 도서관이나 박물관, 종교 시설 및 사회복지 시설, 문화원, 여성회관이나 노인 회관, 정부 기관, 병원 등이 두루 포함될 수 있다.
거주지에서 가까운 곳에는 시 차원에서 마을학교와 주민 조직, 공동체 문화를 수반하여 평생 학습 마을을 구상하는 작업이 이루어져 시흥시 평생학습마을이 위치하고 있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시흥시 평생학습마을을 대상으로 종합적인 SWOT 분석을 실시, 논하여 보도록 하겠다.
Ⅱ. 본론
1. 시흥시 평생학습마을의 개요
시흥시는 생명학습도시를 비전으로 하며, 지식과 삶을 일치하여 행복한 마을 공동체를 조성하고자 지속 가능한 평생 학습 마을을 추진하였다. 이에 따라 2007년부터 2009년까지는 평생학습 시범 마을을 선정하여 시흥시 하중동 참이슬아파트를 대상으로 평생 학습 지속 시스템을 적용하였으며 2012년에서 2014년까지는 평생학습마을 만들기 사업을 확대, 경기도 차원과 연계하여 은행동 대우3차 1단지 아파트, 매화동 일반 주택 5000여 세대, 능곡동 휴먼시아 아파트, 정왕동 시화 보성 아파트를 마을 학교로 등록, 평생 학습 마을을 조성하였다.
참고 자료
이희수 외. 시흥시 제2차 평생학습도시 종합발전계획. 중앙대학교 한국인적자원개발전략연구소. 2013.12.
정성원. 마을만들기 현장을 가다(1) - 시흥참이슬아파트 -. 수원시 평생학습관 웹진 와. 2013.3.
신승환. 시흥, 평생학습 ‘마을학교’ 경기도 우수모델로 자리매김. 경기인터넷뉴스. 2014.6.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