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료보험에 얽힌 영화 식코를 보고 미국의료보장체계를 비판
- 최초 등록일
- 2019.03.15
- 최종 저작일
- 2018.09
- 5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2,000원

판매자레포트114 (본인인증회원)
소개글
사회복지개론
주제: 의료보험에 얽힌 영화 식코를 보고 미국의료보장체계를 비판하라.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영화 <식코>
2) 의료민영화에 대한 견해
Ⅲ. 결론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의료민영화는 우리나라에서도 몹시 예민한 사안이라고 말할 수 있다. 의료민영화가 가까운 미래에 우리의 현실이 될 것이라고 말하는 의견이 구체화되는 추세가 있기 때문이다. 물론 정권이 바뀌면서 의료민영화에 대한 논란이 잠식되기는 하였으나, 언제 다시 수면 위로 급부상하게 될지 모를 문제가 바로 의료민영화 문제이다. 의료비는 인간이 살면서 지불하게 되는 기본적인 비용 중 하나이다. 의학기술의 큰 발달로 인해 그는 더욱 그렇게 굳혀졌다. 개개인마다 차이는 있을 것이나, 큰 병에 걸렸거나, 크게 다쳤을 경우 감당하기 힘든 의료비로 인해 곤란을 겪는 사례가 적지 않다.
여기 그와 관련된 영화가 있다. 바로 <식코>라는 영화이다. 세계 주도국으로 손꼽히는 미국의 의료법을 꼬집는 이 영화는 돈이 없으면 병에 걸렸어도 그냥 죽을 수밖에 없는 미국 사회를 고발하고 있다. 영화의 제작자이자, 감독인 ‘마이클 무어’는 영화를 통해 미국의 민간 의료 보험 조직의 부조리적인 폐해의 이면을 파헤치고자 하였다. 하여 나는 본 영화를 통해 미국의료보장체계 즉, 의료민영화를 비판해 보고자 한다. 관련 내용은 본론과 같다.
참고 자료
영화 <식코>
노현우 기자. 의료민영화, 제대로 알고 비판하자. 오마이뉴스. 2014.05.10
이상이, 김창보 외 4명 저. 의료민영화 논쟁과 한국의료의 미래 (죽어도 아프지 마라 아프면 죽는다). 밈. 20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