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NZE
BRONZE 등급의 판매자 자료

고구려,백제,신라 삼국의 역사편찬

"고구려,백제,신라 삼국의 역사편찬"에 대한 내용입니다.
11 페이지
한컴오피스
최초등록일 2019.03.12 최종저작일 2018.09
11P 미리보기
고구려,백제,신라 삼국의 역사편찬
  • 미리보기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고구려의 역사편찬
    1-1. 新集과 留記
    1-2. 고구려의 역사기록과 역사인식
    2. 백제의 역사편찬
    2-1.書記
    2-2. 백제의 역사기록과 역사인식
    3. 신라의 역사편찬
    3-1. 國史
    3-2. 신라의 역사기록과 역사인식
    4. 통일신라의 역사 편찬

    Ⅲ. 결론
    1. 고대국가에서 역사 편찬이 가지는 의의

    본문내용

    역사학이 반드시 유학과 관련되어야 할 필연성은 없다. 그러나 고대의 역사기록을 담당한 사람들이 바로 유학자라고 할 수는 없어도 그들이 기록한 문자는 한자였으므로 역사를 기술한 사람들이 한문적 소양을 갖추어야 함은 물론이고 한문적 소양에는 유학에 대한 이해가 반드시 들어 있었을 것임은 당시 중국의 문화적 성격으로 보아 당연하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중국의 한자 문화가 전래할 때에 유학의 경서, 그리고 중국의 발달한 역사서 즉 《左傳》, 사마천의 《史記》, 반고의 《漢書》 등이 함께 전래하여 자신의 역사를 기록하고 편찬함에 중대한 영향을 미쳤다고 생각된다. 따라서 우리나라에서 역사를 처음으로 기술하였을 때의 그 역사의 성격이 유학과 어떤 관련을 갖는 냐 하는 문제는 고대 역사학의 중요한 문제점이라고 할 수 있다. 이에 관해서는 본론과 결론에서 고대의 역사편찬을 언급하면서 다루고자 한다. 또한 우리나라의 현존하는 제일 오래된 역사서는 고려 인종 23년 (1145)에 김부식에 의해 편찬된 삼국사기이다. 그 이전의 삼국시대나 통일신라 시대에도 역사서는 편찬되었으나 오늘날에는 전해지지 않고 있다. 일찍이 18세기 후반, 조선 정조대의 실학자였던 이덕상(1741∼1793)은 동시대 최고의 박식가였던 이만운이 편찬한 기년아람(紀年兒覽)의 서문에서 이 점에 관해 668년 고구려를 멸망시킨 당나라 장수 이세적이 東國의 서적을 모두 모아 불살라버렸다는 것이 쓰여있다. 왜냐하면 이 책들이 중국보다 열등하지 않은 데에 시기심이 발동하였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또한 936년 후백제 왕 견훤은 나라가 망하자 자기가 모은 삼국의 유서들을 전주에서 불태워버렸다고 한다. 삼국사기 기사가 기본적으로는 고대의 제사서에 실린 기사 내용의 반영 되었다는 전제 아래, 또한 그 이름만 전해지고 있는 고대의 여러 역사서가 편찬된 당시의 시대적 배경을 유학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고 고려하면서 이들 역사서의 편찬 과정과 성격을 추측해 보고자 한다.

    참고자료

    · 李鍾旭,<≪花郞世紀≫의 신빙성과 그 저술에 대한 고찰>(≪韓國史硏究≫97, 1997).
    · 盧泰敦,<필사본≪花郞世紀≫의 사료적 가치>(≪歷史學報≫147, 1995).
    · 李根雨,≪日本書紀에 引用된 百濟三書에 관한 硏究≫(韓國精神文化硏究院 博士學位論文, 1994).
    · 李鍾學,<筆寫本≪花郞世記≫의 사료적 평가>(≪慶熙史學≫16·17, 1991).
    · 申瀅植,〈新羅人의 歷史認識과 國史編纂〉(《統一新羅史硏究》, 삼지원, 1990).
    · 鄭在鑂,<새로 발견된≪花郞世紀≫에서 본 花郞史>(≪金正基博士華甲紀念論叢≫, 1990).
    · 權悳永,<筆寫本≪花郞世紀≫의 사료적 검토>(≪歷史學報≫123, 1989).
    · 趙仁成,<三國 및 統一新羅時代의 歷史敍述>(≪韓國史學史의 硏究≫, 韓國史硏究會, 1985).
    · 趙仁成,<三國 및 統一新羅의 歷史敍述>(≪韓國史學史의 硏究≫, 乙酉文化社, 1985),
    · 鄭求福,<傳統的 歷史意識과 歷史敍述>(≪韓國學入門≫, 學術院, 1983)
    · 梁起錫,<4∼5C 高句麗 王者의 天下觀에 對하여>(≪湖西史學≫11, 1983).
    · 李基東,<古代國家의 歷史認識>(≪韓國史論≫6, 國史編纂委員會, 1979).
    · 李基東,<古代國家의 歷史認識>(≪韓國史論≫6, 國史編纂委員會, 1979).
    · 李基白,<金大問과 그의 史學>(≪歷史學報≫77, 1978),
    · 李基白 외,<우리역사를 어떻게 볼 것인가>(≪韓國史大討論會≫1, 1976),
    · <古代의 歷史認識>(≪韓國史學史硏究≫, 于松趙東杰先生停年紀念論叢 1, 1997).
    · <古代의 歷史認識>(≪韓國의 歷史家와 歷史學≫上, 창작과비평사, 1994).
    · 張榮芳,≪唐代的史館與史官≫(臺北, 1985),
    · 한국사데이터베이스, 신편한국사(2012), ‘역사편찬’
    · http://db.history.go.kr/item/level.do?itemId=nh, 2018년 11월 15일
    · 한국사데이터베이스, 삼국사기,
    · http://db.history.go.kr/search/searchResultList.do?sort=&dir=&limit=20&page=1&pre_page=1&setId=2563&totalCount=2563&kristalProtocol=&itemId=sg&synonym=off&chinessChar=on&searchTermImages=%EC%82%BC%EA%B5%AD%EC%82%AC%EA%B8%B0&brokerPagingInfo=&searchKeywordType=BI&searchKeywordMethod=EQ&searchKeyword=%EC%82%BC%EA%B5%AD%EC%82%AC%EA%B8%B0&searchKeywordConjunction=AND
  • 자료후기

      Ai 리뷰
      판매자가 제공한 자료는 체계적인 구성으로 되어 있어 복잡한 내용을 과제에 쉽게 활용 할 수 있었습니다. 앞으로도 이러한 좋은 자료들이 많이 등록되기를 기대합니다.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1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37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