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NZE
BRONZE 등급의 판매자 자료

현대 무용 안무가의 안무 성향 : Loie Fuller (로이 풀러), Isadora Duncan (이사도라 던컨), Ruth St. Denis (루스 세인트 데니스), Mary Wigman (마리 비그만), Martha Graham (마사 그레이엄), Doris Humphrey (도리스 험프리)

10 페이지
한컴오피스
최초등록일 2019.01.22 최종저작일 2013.05
10P 미리보기
현대 무용 안무가의 안무 성향 : Loie Fuller (로이 풀러), Isadora Duncan (이사도라 던컨), Ruth St. Denis (루스 세인트 데니스), Mary Wigman (마리 비그만), Martha Graham (마사 그레이엄), Doris Humphrey (도리스 험프리)
  • 미리보기

    소개

    현대 무용 안무가 6인(Loie Fuller (로이 풀러), Isadora Duncan (이사도라 던컨), Ruth St. Denis (루스 세인트 데니스), Mary Wigman (마리 비그만), Martha Graham (마사 그레이엄), Doris Humphrey (도리스 험프리))에 대한 무용 생애와 업적, 안무 성향에 대한 정리.

    목차

    1. Loie Fuller (1862.1.15.~1928.1.1. 미국.)
    2. Isadora Duncan (1878.5.26.~1927.9.14. 미국.)
    3. Ruth St. Denis (1879.1.20.~1968.7.21. 미국.)
    4. Mary Wigman (1886.11.13.~1973.9.18. 독일.)
    5. Martha Graham (1894.5.11.~1991.4.1. 미국.)
    6. Doris Humphrey (1895.10.17.~1958.12.29. 미국.)

    본문내용

    1. Loie Fuller (1862.1.15.~1928.1.1. 미국.)
    19세기 말 유럽 무대에서 주로 활동하였다. 어린 나이에 무용을 배웠으나 형편이 어려워 그만 두게 되었고, 가수 겸 배우로 데뷔했는데, 연극 연습 중 비단으로 된 스카프(길고 폭이 넓은 스커트)를 선물 받았고 치렁치렁한 주름과 가볍게 나풀거리는 움직임에 영감을 받아 ‘스커트댄스(skirt dance)’를 만들어 선보였다. 이를 계기로 무용가로 전향해 파리, 유럽, 미국은 물론 오페라하우스에서도 공연을 하면서 국제적으로 성공하였으며, 자유롭고 개성적인 움직임을 추구하여 현대무용의 창시에 기여했다. ‘뱀의 춤’은, 긴 막대기 같은 것으로 옷 소매의 천을 들어 올려 제자리에서 돌거나 팔을 쭉 펴 막대기를 흔들어 천을 흔들거리가 하는 등 동작은 비교적 간단하고 많지 않지만, 긴 옷이 팔랑거리며 생기는 실크의 가벼운 움직임에 여러 색깔의 전기 조명을 비춰 극적인 색채 무용을 구사했다. 이는 무용수로서 최초로 빛을 무대에 영사한 것이며 극장의 무대 조명 기술에 있어서 혁신적인 일이기도 하였다. ‘불의 춤’에서는 밑에서 위로 조명을 비추는 유리판에서 춤을 추었는데 이 역시 ‘뱀의 춤’만큼 성공적이었다. ‘뱀의 춤’에서는 스커트에 뱀 무늬를 그려 넣었다면 ‘나비 춤’에서는 나비 무늬를 그려 넣었다. 종래의 무용음악에 따르지 않고 베토벤, 멘델스존, 드뷔시 등의 콘서트 음악에 따라 춤춘 최초의 무용가로도 알려져 있다.
    대표작 : 「The Serpentine Dance - 뱀의 춤」, 「Fire Dance - 불의 춤」, 「나비 춤」, 「The Sea – 바다」, 「Radium Dance – 라듐 춤」

    참고자료

    · 수잔 오, 『발레와 현대 무용 – 서양 춤 예술의 역사』 시공아트, 2004.
    · 심정민, 『서양 무용 비평의 역사』 삼신각, 2011.
    · 배소심,김영아, 『History of the Dance』 금광, 1995.
    · 네이버 지식백과(http://terms.naver.com/entry.nhn?cid=3005&docId=812064&categoryId=3039&index=%EB%A1%9C) (http://terms.naver.com/entry.nhn?cid=676&docId=448259&mobile&categoryId=676)
    · Britannica Online (http://preview.britannica.co.kr/bol/topic.asp?mtt_id=100816) (http://preview.britannica.co.kr/bol/topic.asp?article_id=b04d3796a)
    · doopedia (두산백과) (http://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706165) (http://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835716) (http://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744418)
    · 스테이지 뉴스 (http://stagenews.kr/xe/31032)
    · http://blog.naver.com/artsfocus2/70030113508
    · http://jamiroslim.blog.me/40125763405
    · http://blog.naver.com/sac_art/60057489052
    · 조앤 카스, 『역사속의 춤』, 김말복 역, 이화여자대학교출판부, 1998
    · 권윤방 외, 『무용학개론』, 대한미디어, 2003
    · 김말복, 『무용 예술의 이해』, 이화여자대학교출판부, 2003
    · 임인선, 『무용의 역사』, 금광미디어, 2009
    · 박혜란, 『현대 무용의 역사』, 금광미디어, 2008
    · 가미자와 카즈오, 『20세기 무용사』, 국수호 역, 현대미학사, 2000
    · <네이버 지식백과> “루스 세인트 데니스” (http://terms.naver.com/entry.nhn?cid=3005&docId=812068&mobile&categoryId=3039) “마리 비그만” (http://terms.naver.com/entry.nhn?cid=3005&docId=812094&mobile&categoryId=3039) “비그만” (http://terms.naver.com/entry.nhn?cid=3005&docId=881775&mobile&categoryId=3039)
    · <Britannica Online> “루스 세인트 데니스” (http://preview.britannica.co.kr/bol/topic.asp?article_id=b06r2256n12) “현대무용” (http://preview.britannica.co.kr/bol/topic.asp?article_id=b25h0889a) “비그만” (http://preview.britannica.co.kr/bol/topic.asp?article_id=b10b2870a)
    · <doopedia (두산백과)> “루스 세인트 데니스” (http://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782832) “마리 비그만” (http://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699963) “모던댄스” (http://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744418)
    · <위키백과> “루스 세인트 데니스” (http://ko.wikipedia.org/wiki/%EB%A3%A8%EC%8A%A4_%EC%84%B8%EC%9D%B8%ED%8A%B8_%EB%8D%B0%EB%8B%88%EC%8A%A4) “마리 비그만” (http://ko.wikipedia.org/wiki/%EB%A7%88%EB%A6%AC_%EB%B9%84%EA%B7%B8%EB%A7%8C) “표현주의” (http://ko.wikipedia.org/wiki/%ED%91%9C%ED%98%84%EC%A3%BC%EC%9D%98)
    · (http://blog.naver.com/casa0216/150164413586)
    · Doris Humphrey, 『현대무용 안무론』, 송린 역, 현대미학사, 2012
    · 이덕희, 『불멸의 무용가들』, 작가정신, 2000
    · 신동순, 「도리스 험프리에 관한 연구」, 공주대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8
    · 배능수, 「도리스 험프리의 fall and recovery의 기법과 작품세계에 관한 연구」, 계명대학교 예술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8
    · 이승신, 「도리스 험프리(Doris Humphrey)의 생애와 무용기법에 관한 고찰 : Falling과 Recovering에 관한여」, 수원대학교 대학원 체육학과 석사학위논문, 1996
    · <네이버 지식백과> “도리스 험프리” (http://terms.naver.com/entry.nhn?cid=3005&docId=812018&mobile&categoryId=3039) “마사 그레이엄” (http://terms.naver.com/entry.nhn?cid=3005&docId=812101&mobile&categoryId=3039) “그레이엄” (http://terms.naver.com/entry.nhn?cid=3005&docId=877840&mobile&categoryId=3039)
    · <Britannica Online> “그레이엄” (http://preview.britannica.co.kr/bol/topic.asp?article_id=b02g3667b) “현대무용” (http://preview.britannica.co.kr/bol/topic.asp?article_id=b25h0889a) “험프리” (http://preview.britannica.co.kr/bol/topic.asp?article_id=b25h0344a)
    · <doopedia (두산백과)> “마사 그레이엄” (http://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829813)
    · 「현대무용가들의 테크닉 <마사 그라함( Martha Graham)> (http://cafe.naver.com/dancerjyj/724)
    · 「토플리딩 인물열전. 12 Martha Graham」 (http://cafe.naver.com/rionaenglishclinic/10113)
    · 「이사도라던컨과 마사그라함」 (http://blog.naver.com/cacao1/80003089596)
  • 자료후기

      Ai 리뷰
      지식판매자가 등록한 자료는 주제에 대한 깊이 있는 분석이 돋보입니다. 과제를 작성하는 데 큰 도움이 되었습니다. 앞으로도 이런 좋은 자료가 많이 등록되기를 기대합니다.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1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12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