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본 문서는 한글 2005 이상 버전에서 작성된 문서입니다.
한글 2002 이하 프로그램에서는 열어볼 수 없으니, 한글 뷰어프로그램(한글 2005 이상)을 설치하신 후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목차
1. 서론: 백제시대의 과학기술발달 배경
2. 본론: 백제시대의 과학문명과 기술
2.1. 백제의 건축 및 토목기술
2.2. 백제의 금속가공기술
2.3. 천문학
2.4. 백제의 의학
3. 결론: 백제시대의 과학문명이 후세에 끼친 영향 및 본인의 생각
3.1 맺음말
4. 참고문헌
본문내용
백제는 한국사 삼국시대의 고대 왕조로써, 삼국 중 가장 먼저 전성기를 이룩한 국가이다. 부여의 뿌리라는 점에서 고구려와 공통점이 생기는데, 고구려가 강성한 군사력이 강조된다면, 백제는 세련되고 섬세한 문화가 강조된다. 백제는 발달한 조선술과 항해술 등을 이용하여 바다를 통해 일본의 규슈지방, 중국의 산둥지방 및 요서지방까지 진출했던 강력한 해상국가였다. 또한 세 차례의 걸친 천도는 백제 자체의 개성 있는 문화를 형성하는데 기여하였다. 초기 한성이 수도일 당시에는 역사적인 맥락에서 고구려적인 성격을 강하게 띠었다. 그러나 웅진 및 사비로 천도하면서 중국의 남조문화와 결합이 이루어졌고, 그 결과 우아하고 세련된 문화가 탄생하였다. 더불어 중국으로부터 받아들인 신문물을 백제화하여 다시 인접 국가인 가야나 왜에 전수함으로써 동아시아 문화권을 형성하는데 중심적인 역할을 하였다.
백제의 섬세한 문화는 단지 도구 등에만 한정된 것이 아니었다. 건설/건축기술, 농법, 역법을 비롯하여 의학에까지 그 영향이 대단했다. 특히, 기원전 49년부터 기원후 908년까지 1,000년간의 방대한 천체관측기록은 고대과학사상 가장 훌륭한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또한, 백제가 위치하고 있었던 현 충청도 지역은 고르게 발달된 평야지대로써, 지리적으로나 기후적으로나 평온한 생활을 하는데 매우 알맞은 자연조건을 갖추고 있다. 큰 산이나 큰 강이 없어 자연재해로부터 다른 지역에 비하여 안전하였으며, 인접한 서해와 연결된 해안지대는 백제에게 풍요를 가져다주는 존재였다. 이러한 자연환경과 물산을 배경으로 하는 백제의 지리적인 이점은 고대 백제문화의 발달의 기원이 되었으며, 풍요롭고 살기 좋은 자연환경은 백제인들의 인성에 영향을 줌으로써, 백제 특유의 섬세한 기교 문화를 형성하는데 이바지하였다.
본 소고에서는 백제의 과학문명, 그 중에서도, 특유의 섬세함이라는 주제에 걸맞은 백제의 건축 및 토목기술과 금속가공, 천문학 그리고 의학에 대하여 논하고자 한다.
참고 자료
국립문화재연구소, “한국고고학사전”, 편집부
양기석, “백제(百濟) 문화(文化)의 우수성(優秀性)과 국제성(國際性)”, 논문
우리역사넷, “한국의 과학기술”, 국사편찬위원회
윤선태, “百濟의 ‘九九段’ 木簡과 術數學”, 한국목간학회
이해준, “서해와 금강이 만나 이룬 문화”, 역사문화총서
충청남도 역사문화 연구원, “백제의 건축과 토목”, “백제의 사회경제와 과학기술”
한국민족문화대백과, “백제”,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콘텐츠진흥원, “백제신집방”, 한의학 및 한국고유의 한약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