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북한 문헌
· 김정일,『미술론』, (평양: 조선로동당출판사, 1992).
· “질 제고의 열풍을 세차게 일으키는 것은 사회주의 강성국가 건설의 절박한 요구”,
· 『천리마』, 2013년 제5호 루계648호.
· 단행본
· 통합문화연구소,『김정일과 북한문화예술』, (서울: 통합문화연구소, 1996).
· 이구열,『북한미술 50년』, (서울: 돌베개, 2001).
· 박미례,『남북한 예술 어떻게 변하였나?: 미술을 중심으로』, (서울: 통일부 통일교육원, 2005).
· 전영선,『북한 민족문화 정책의 이론과 현장』, (서울: 역락, 2005).
· 논 문
· 박미례, “북한의 미술가들은 어디서 어떤 작품을 제작하나?”,『北韓』, No.422 (2007), 150-155쪽.
· , “북한 미술가들의 창작 한계, 무엇에서 비롯되나?”,『北韓』, No.423 (2007), 98- 106쪽.
· , “장르별 미술감상실-‘조선화’ 감상: 남한 땅에서 꽃피운 북한의 조선화”,『北韓』, No.425 (2007), 138-145쪽.
· , “장르별 미술감상실-기념비 건축: 북한의 예술은 "주체문예이론"의 틀에서 형식과 내용을 통제”,『北韓』, No.428 (2007), 158-164쪽.
· , “장르별 미술감상실-공예미술: 지속적인 남북교류로 전통공예 전승에 최선의 노력 경주”,『北韓』, No.429 (2007), 154-165쪽.
· , “주체문예 이론의 틀 안에서만 자유로운 북한 예술에도 개방의 물결이”,『北韓』, No.432 (2007), 144-153쪽.
· , “북한 주체미술의 수령형상화에 관한 연구”,『남북문화에술연구』, Vol.4 (2009), 75-118쪽.
· 곽대웅, “북한 공예의 동향과 전망”,『동양예술』, Vol.3 (2001), 113-137쪽.
· 김진아, “통일대비 남북한 미술교육 통합 방안 연구: 남북한 미술의 특징과 미술과 교육 과정 분석을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2).
· 박계리, “20세기 한국회화에서의 전통론”, (이화여자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6).
· 박재영, “남북한 교역활성화를 위한 통관제도 개선 방안에 관한 연구”, (건국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2).
· 양현미, “북한미술 연구의 현형과 과제”,『한국예술종합학교 논문집』, Vol.3 (2000), 90- 106쪽.
· 조성진, “북한의 미술정책과 남북 미술교류 전망 연구”,『統一問題硏究』, Vol.4 No.4 (1992), 221-242쪽.
· 브라이언 마이어스, “북한미술, 외부세계에 반응하다”,『현대미술사연구』, Vol.30 No.1 (2011), 297-314쪽.
· 기사
· “북한판 코트라(KOTRA) 사이트 개통...조선엑스포닷컴”,『아이뉴스24』, 2004년11월1일.
· http://media.daum.net/digital/others/newsview?newsid=20041101111206761
· “광주비엔날레 초청 전시된 북한 미술품 경매로 판매”,『뉴스엔』, 2006년5월9일.
· http://media.daum.net/entertain/enews/newsview?newsid=20060509132011568
· “북한 상하이 엑스포에 사상 첫 전시관 마련”,『국민일보』, 2009년9월18일.
· http://news.kukinews.com/article/view.asp?page=1&gCode=kmi&arcid=0921426940&cp=du
· “미술품, '특수계층' 전유물 아니다”,『뉴시스』, 2007년6월14일.
· http://media.daum.net/economic/industry/newsview?newsid=20070614091610790
· “북한 미술품에 투자하라”,『뉴시스』, 2007년7월5일.
· http://media.daum.net/culture/art/newsview?newsid=20070705224807493
· “해외보다 국내가 북한 미술품 관심 뜨겁다”,『노컷뉴스』, 2007년7월6일.
· http://www.nocutnews.co.kr/show.asp?idx=559058
· “해외로… 외화벌이 나선 北 노동자들”,『한국일보』, 2007년9월6일.
· http://news.hankooki.com/lpage/culture/200709/h2007090617341284220.htm
· “2008DIF-한국관 홍보 조형물”,『뉴시스』, 2008년8월17일.
· http://media.daum.net/foreign/america/newsview?newsid=20080817103023655
· “北, 동상 수출국가?… ‘싼값’ 내세워 阿에 수십년 수출”,『국민일보』, 2010년1월31일.
· http://news.kukinews.com/article/view.asp?page=1&gCode=kmi&arcid=0003358549&cp=du
· “세네갈에 자유 상징하는 북한산 조형물 완성”,『한국경제』, 2010년2월8일.
· http://www.hankyung.com/news/app/newsview.php?aid=2010020826791
· “北 '번영하는 평양' 주제로 上海박람회 참가”,『연합뉴스』, 2010년3월21일.
· http://www.yonhapnews.co.kr/bulletin/2010/03/20/0200000000AKR20100320059600069.HTML?did=1179m
· “북한 미술작품 대전에서 만난다”,『충청투데이』, 2013년2월14일.
· http://www.cctoday.co.kr/news/articleView.html?idxno=753003
· “北, 김정은 '노작' 뒤늦게 소개…"제품 질 높여라"”,『연합뉴스』, 2013년6월4일.
· http://www.yonhapnews.co.kr/bulletin/2013/06/03/0200000000AKR20130603151700014.HTML?input=1179m
· “북한, 중국 미술시장 공략에 현지 공관 가세”,『연합뉴스』, 2013년7월24일.
· http://www.yonhapnews.co.kr/bulletin/2013/07/24/0200000000AKR20130724076500097.HTML?input=1179m
· “北, 경제제재 극복위해 별별 외화벌이 다한다”,『헤럴드경제』, 2013년8월1일.
· http://news.heraldcorp.com/view.php?ud=20130801000416&md=20130804003731_AT
· “돈줄 막힌 북한, 중국서 외화벌이 총력전”,『연합뉴스』, 2013년8월12일.
· http://www.yonhapnews.co.kr/bulletin/2013/08/12/0200000000AKR20130812122700097.HTML?input=1179m.
· “북한서 그린 ‘예수 그림’…돈 되면 뭐든지 한다”,『KBS뉴스』, 2013년9월20일.
· http://news.kbs.co.kr/news/NewsView.do?SEARCH_NEWS_CODE=2726637&ref=D
· “북·중, 단둥 종합박람회 '업그레이드'”,『연합뉴스』, 2013년10월11일.
· http://www.yonhapnews.co.kr/bulletin/2013/10/11/0200000000AKR20131011116500097.HTML?input=1179m
· “국방부 '불온곡' 지정…아리랑도 못 불러”,『MBN뉴스』, 2013년12월17일.
· http://www.mbn.co.kr/pages/vod/programView.mbn?bcastSeqNo=1059978
· “불통과 오만의 정치 벗어 버려야”,『경향신문』, KBS, 2013년12월23일.
· http://news.khan.co.kr/kh_news/khan_art_view.html?artid=201312232039145&code=990304
· 인터넷 자료
· 『두산백과』, http://www.doopedia.co.kr/
· 『북한백과』, http://office.kbs.co.kr/tongil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