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속보 시험
- 최초 등록일
- 2018.11.25
- 최종 저작일
- 2018.05
- 7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1,500원

목차
1. 실험목적
2. 이론
1) 부정정보
2) 탄성선의 미분방정식
3) 공액보
4) 중첩법
3. 실험 방법
4. 실험 결과 및 고찰
본문내용
실험목적
연속보는 경제적이기 때문에 구조물에 매우 많이 사용된다. 이것은 건물의 구조설계에서 매우 이롭고, 심지어 중앙에 매우 긴 길이가 요구되는 다리의 설계에서 매우 중요하다. 그러나 문제점 또한 있다. 부정정구조물인 연속보에서 지지중의 하나가 무너진다면 굽힘 모멘트는 매우 심하게 변한다. 때때로 이런 문제점이 설계에 고려되어야 한다. 연속보에서 모멘트 분포 해는 구조물의 효율성이 얼마나 성취되었는지, 무너진 지지가 굽힘 모멘트 Diagram을 얼마나 바꾸어 놓는지를 명확하게 보여준다. 따라서 이러한 연속보의 거동을 시험을 통하여 살펴봄으로써, 부정정 구조물 설계의 이해를 돕는다.
< 중 략 >
시험 방법
(1) 외팔보 처짐
버니어 캘리퍼스를 사용하여 알루미늄, 황동, 철의 깊이와 너비를 측정하고 이를 통해 단면 2차 모멘트를 계산한다. 다음 뒷판에서 꺽쇠와 날을 제거한 후, 외팔보를 하나 설치 한다. 디지털 변위계를 보의 위치에 밀어 넣고 후방에 손가락 너트를 사용하여 죈 다음, 날 끝 걸이를 보이는 대로 밀어 넣는다. 프레임을 가볍게 두드리고 디지털 변위계의 영점을 맞춘다. 그리고 질량을 추가하여 디지털 변위계를 읽어 기록하고 표를 작성한다.
(2) 단순 지지보의 하중-변위 상관도
양쪽에 붙어있는 두 개의 클램프를 분리시킨다. 모듈 뒷면에 각 클램프마다 두 개의 손잡이 달린 나사를 풀어 구속되지 않게 한다. 이 때 근사적으로 한쪽은 힌지, 한쪽은 롤러의 역할을 한다고 가정한다. 박판형 추걸이를 원하는 간격으로 조정한다. 추를 걸어 하중을 변화 시키며 처짐을 측정한다.
(3) 단순보의 지간과 처짐의 상관관계
지간을 그림과 같은 200mm에서 50mm씩 증가시켜 500mm까지 넓히며, 동일 하중에서의 처짐 값을 비교한다. 지간의 세제곱에 비례하는 것을 확인하기 위하여 상관도를 그려본다.
참고 자료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