난타공연 체험보고서
- 최초 등록일
- 2018.11.09
- 최종 저작일
- 2017.12
- 10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1,500원

목차
A : 공연 전 사전 준비
1. 난타 다큐시청
2. 난타에 대한 기본이해
3. 난타의 줄거리
4. 난타의 모티브를 준 공연작품 스톰프
B : 공연을 본 소감
C : 공연 체험 후 정리 사항
1. 난타 공연의 성공요인
2. 난타 성공요인에 대한 마케팅적 분석
3. 난타와 같은 문화콘텐츠 산업의 중요성과 특징
4. 문화콘텐츠 산업의 빛과 그림자
5. 마지막 정리
본문내용
1. 난타 다큐시청
난타 공연을 체험하기 전에 우선 <2015년 2월에 방영 된 다큐멘터리 3일 (천만 번의 두드림 -난타 72시간)>을 시청하였다. 다큐의 내용은 공연 팀의 막내인 중국동포인 김다 라는 배우가 난타의 매력에 빠져서 난타 공연에 참가하고, 두드리면 열리는 공간인 난타에서 꿈을 위해 도전하고 두드리는 이야기를 그리고 있었다. 고남용이란 무대감독을 통해서 이 작품이 배우들만의 노력이 아니라 보이지 않는 무대 뒤의 스태프들의 노력에 의해서 함께 채워진다는 사실도 보여주었다. 내가 관객으로 볼 수 없는 무대 뒤에서 묵묵히 노력하는 사람들의 이야기도 있었다. 또한 12년, 17년 씩 이 작품에 매달린 배우들의 이야기가 그려지고 있었다. 난타 공연을 통해 이름을 알리고 유명해진 류승룡씨가 내레이션을 하여 더욱 실감이 났다.
2. 난타에 대한 기본 이해
<난타: Nanta>는 공연으로는 최초로 천만관객을 동원한 작품이란다. 1997년 10월에 호암아트홀에서 처음 공연을 했으니 벌써 햇수로 20년이 된 작품이었다. 이 작품의 특징은 ① 말없이 소리와 몸짓으로만 즉, "비언어적 표현"(Non-Verbal Performance)을 이용한 공연이라는 점이다. ② 사물놀이의 전통리듬을 사용하였다는 것이다. ③ 기존의 비언어적 공연의 단순함과 지루함을 벗어나 드라마가 있는 공연이다. ④ 관객이 직접 무대에 오르고 공연에 참여 한다는 관객참여의 특징이 있다. ⑤ 언어적 장벽이 없어서 외국인도 즐길 수 있는 공연이다.
3. 난타의 줄거리(시놉시스)
주방장을 비롯한 세 명의 요리사가 하루 일과를 시작한다. 세 명의 요리사들이 야채를 나르고, 냉동육도 옮기고, 주방도구를 정리하는 동안, 얼굴에 심술기가 가득한 지배인이 등장하여 예정에 없던 결혼 피로연을 과제로 던져준다. 요리사들은 오후 6시까지 주문된 모든 음식을 만들어 완벽한 결혼 피로연을 준비해야만 한다.
참고 자료
위키백과 https://ko.wikipedia.org/wiki/%EB%82%9C%ED%83%80
한국의 예술문화내용에서 편집 최준식 지음 21세기 북스
난타 홈페이지 http://nanta.i-pmc.co.kr/Nanta/kr/About/aboutKeynote.aspx
1996년 10월 29일 중앙일보기사 정재왈기자의 기사 (인터넷 검색)
http://www.viewsnnews.com/article?q=91761 2012년 기사
http://bbs1.agora.media.daum.net/gaia/do/debate/read?bbsId=D109&articleId=14478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