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인복지론 ) 노인복지프로그램의 프로포절
- 최초 등록일
- 2018.10.19
- 최종 저작일
- 2018.10
- 5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3,800원

* 본 문서는 한글 2005 이상 버전에서 작성된 문서입니다.
한글 2002 이하 프로그램에서는 열어볼 수 없으니, 한글 뷰어프로그램(한글 2005 이상)을 설치하신 후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목차
1. 사업명
2. 사업의 필요성
1) 대상자 욕구 및 문제점
2) 지역 환경적 특성
3) 본 사업과 관련된 지역 복지자원 현황
3. 서비스 지역, 서비스 대상 및 실인원수
4. 사업내용
1) 세부사업내용
2) 지역자원 활용 계획
5. 출처 및 참고문헌
본문내용
치매 등급은 총 3가지로 분류할 수 있다. 1등급은 최중증으로 하루 종일 침대에 누워서 생활을 한다. 그래서 대소변, 체위변경 등 전적인 도움을 받아야 하며 중증 치매 등으로 행동변화 심하여 물건부수기, 불결행동, 폭언폭행 등을 한다. 2등급은 중증으로 스스로 이동할 수 없어 대부분 일상생활도움을 받는다. 그래서 식사하기, 양치질하기를 도움을 받는다. 치매 등으로 행동변화가 거의 매일 나타나서 배회하거나 밖으로 나가려한다. 3등급은 중등증으로 보행보조기 등으로 가까스로 실내이동 가능하나 부분적 일상생활 도움을 받아야 한다. 예를 들어 세수, 양치, 화장실 사용 등이 있다. 치매로 길을 잃는 등 행동변화가 있어서 실외활동 불가하다. 이들은 노인의료복지시설과 재가노인노인복지시설을 이용할 수 있다. 노인의료복지시설은 노인요양시설, 노인요양공동생활가정, 노인전문 병원이 있다. 재가노인복지시설은 방문요양 서비스, 주야간 보호서비스, 단기보호 서비스, 방문목욕 서비스이다.
노인장기요양보험을 사용하는 치매 노인의 경우에는 일상생활에서 여러 불편함을 호소한다.
참고 자료
박기영(2011), 국내석사학위논문, 치매노인복지정책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를 중심으로, 건국대학교 행정대학원
이창기(2010), 국내석사학위논문, 노인장기요양보호서비스의 발전 방안에 관한 연구-치매 노인과 부양자의 이용실태와 만족도를 중심으로,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