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NZE
BRONZE 등급의 판매자 자료

한국의 조경 : 한국 조경에 사용되는 수목에 대한 조사 <배롱나무>

한국전통문화대학교 교양수업 <한국의조경> 수업 레포트로, 한국의 조경에 사용되는 수목 중 배롱나무에 대해 조사한 보고서이다. 배롱나무(목백일홍)의 생태학적 특성과 조경적 특성, 즉 자연과학적 측면에 대해 조사/서술하고, 각종 문헌과 기사를 참고하여 배롱나무가 우리 일상에서 어떻게 이용되고 있는지, 인문사회적 측면에서 고찰하였다. 배롱나무에 대한 간결하고 집약적인 정보를 얻고자 하는 사람, 배롱나무의 자연과학적 정보보다도 이용, 문학, 조경 문화 등 한꺼번에 얻기 어려운 인문사회적 정보를 총체적으로 얻고자 하는 사람에게 추천한다.
17 페이지
한컴오피스
최초등록일 2018.09.27 최종저작일 2016.02
17P 미리보기
한국의 조경 : 한국 조경에 사용되는 수목에 대한 조사 &lt;배롱나무&gt;
  • 미리보기

    소개

    한국전통문화대학교 교양수업 <한국의조경> 수업 레포트로, 한국의 조경에 사용되는 수목 중 배롱나무에 대해 조사한 보고서이다. 배롱나무(목백일홍)의 생태학적 특성과 조경적 특성, 즉 자연과학적 측면에 대해 조사/서술하고, 각종 문헌과 기사를 참고하여 배롱나무가 우리 일상에서 어떻게 이용되고 있는지, 인문사회적 측면에서 고찰하였다. 배롱나무에 대한 간결하고 집약적인 정보를 얻고자 하는 사람, 배롱나무의 자연과학적 정보보다도 이용, 문학, 조경 문화 등 한꺼번에 얻기 어려운 인문사회적 정보를 총체적으로 얻고자 하는 사람에게 추천한다.

    목차

    I. 배롱나무
    1. 배롱나무
    2. 생태적 특징
    3. 형태적 특징
    4. 번식법
    5. 가지치기
    6. 병충해

    II. 우리 일상 속의 배롱나무
    1. 조경수로서의 가치
    2. 기록 속의 배롱나무
    3. 문화재로 지정된 배롱나무
    4. 전통 조경 속의 배롱나무
    5. 현대 조경 속의 배롱나무
    6. 문학 속의 배롱나무
    7. 배롱나무의 활용

    III. 참고문헌

    본문내용

    배롱나무는 식물계(Plantae) 현화식물문(Magnoliophyta) 쌍떡잎식물강(Magnoliopsida) 도금양목(Myrtales) 부처꽃과(Lythraceae)에 속한다. 학명은 Lagerstroemia indica L.이고, 영명은 Crape Myrtle이다.
    배롱나무는 7~9월, 즉 초여름부터 이른 가을까지 100일 정도 꽃이 계속해서 핀다 하여 백일홍(百日紅)이라는 또 다른 이름을 가진다. 동명의 백일홍 학명 Zinnia elegans. 멕시코가 원산지이며, 쌍떡잎식물강 초롱꽃목 국화과 한해살이풀이다. 지름 5~15cm의 꽃은 6∼10월경에 피며, 높이는 60~90cm 정도이다.
    과 구분하기 위하여 나무백일홍, 목백일홍(木百日紅)이라 부르기도 한다. 다만 이름처럼 한 송이의 꽃이 100일 내내 피어 있는 것이 아니라, 한 뼘 이상 되는 원추상의 꽃차례 꽃대에 달린 꽃의 배열, 또는 꽃이 피는 모양이다. 화서(花序)라고도 하며, 크게 단꽃차례와 복꽃차례로 나눈다.
    를 이루어 여러 개의 꽃이 차례대로 피는 것이다. ‘백일홍’이라는 발음이 ‘배기롱’이 되고, 이것이 ‘배롱’으로 변했다는 추측도 있다.
    배롱나무에는 원줄기와 꽃의 형태에 따라 다양한 이름이 붙여졌다. 지방에 따라 간질나무, 간지럼나무라고도 부르며 제주도에서도 ‘간지럼 타는 나무’라는 뜻으로 ‘저금타는 낭‘이라고 부른다. 중국에서도 이와 같이 줄기껍질이 반들반들해 손으로 간질이면 나무가 움직인다는 뜻에서 파양수(怕揚樹)라 부른다고 한다. 일본에서는 나무의 껍질이 너무나도 매끈하여 나무를 잘 타는 원숭이마저 오르다가 미끄러진다 하여 사루스베리(サルスベリ, 猿滑り)라고 이름 붙였다고 한다.
    중국에서는 또 다른 이름으로 자미화(紫微花)라고도 하는데, 이로 미루어 보아 중국에서 처음 들어올 때는 현재와 같이 진분홍색이 아닌 연보라색이었을 것으로 추측하는 입장도 있다. 당나라 현종은 중서성을 자미성으로 불렀다고 한다. 일부에서는 중서성에 근무하는 관리들의 옷 색깔이 연보랏빛이었기 때문일 것이라고 추측하기도 하나, 연보라색 꽃을 피우는 배롱나무가 중서성 뜰에 많이 있었으며, 현종이 이 배롱나무를 애호했기 때문이라는 의견도 있다.

    참고자료

    · 김성수, 2007, 『한국의 조경 수목』, 서울: 기문당
    · 고규홍, 2007, 『옛집의 향기, 나무』 파주:들녘
    · 손현택, 제갈영, 2015, 『한국의 정원&조경수 도감』, 서울:이비컴
    · 박상진, 2001, 『궁궐의 우리 나무』, 서울:눌와
    · 윤주복, 2008, 『나무 해설 도감』, 서울:진선출판사
    · 이상윤, 홍광표, 2001, 『한국의 전통조경』, 서울:동국대학교 출판부
    · 이선, 2006, 『우리와 함께 살아 온 나무와 꽃(한국 전통 조경 식재)』, 서울:수류산방.중심
    · 정재훈, 2005, 『한국전통조경』, 서울:조경
    · 김사일, 1996, 「새로운 조경수 (II X VII) -배롱나무-」, 『조경수』 30권 1호, 한국조경수협회
    · 임경빈, 1998, 「조경수목산책 (II X VI) -배롱나무-」, 『조경수』 47권 11호, 한국조경수협회
    · 최명섭, 2004, 「배롱나무」, 『조경수』 81권 7호, 한국조경수협회
    · 경상매일신문, 배롱나무 가로수 경관조성 추진 http://www.ksmnews.co.kr/default/index_view_page.php?idx=158798&part_idx=289
    · 경인일보, 한여름 정열적인 자태 뽐내는 배롱나무, http://www.kyeongin.com/main/view.php?key=*************8613
    · 대구신문, 성주, 국도30호선 배롱나무 가로수 조성 ‘한창’, http://www.idaegu.co.kr/news.php?code=tk0404&mode=view&num=212165
    · 동아일보, 담양 명옥헌에서 ‘여름의 끝자리’를 보다, http://news.donga.com/3/all/20130815/57038307/1
    · 매일신문, 청렴과 무욕의 나무, 배롱나무, http://www.imaeil.com/sub_news/sub_news_view.php?news_id=37454&yy=2016
    · 아시아경제, ‘숲 속의 전남' 7월의 나무에 배롱나무 선정, http://view.asiae.co.kr/news/view.htm?idxno=20*************9486
    · 업코리아, 완주군, 배롱나무 도로 등 특색 있는 가로수길 조성, http://www.upkorea.net/news/articleView.html?idxno=43173
  • 자료후기

      Ai 리뷰
      이 자료는 깊이 있는 설명과 다양한 예시 덕분에 과제를 작성하는 데 큰 도움이 되었습니다. 앞으로도 이런 유익한 자료가 계속 등록되기를 바랍니다!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6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10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