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NZE
BRONZE 등급의 판매자 자료

학부, 대학원 연구계획서(대학생의 완벽주의적 자기제시가 대인불안에 미치는 영향 ; 자기비판의 매개효과)

"학부, 대학원 연구계획서(대학생의 완벽주의적 자기제시가 대인불안에 미치는 영향 ; 자기비판의 매개효과)"에 대한 내용입니다.
11 페이지
한컴오피스
최초등록일 2018.08.26 최종저작일 2017.10
11P 미리보기
학부, 대학원 연구계획서(대학생의 완벽주의적 자기제시가 대인불안에 미치는 영향 ; 자기비판의 매개효과)
  • 미리보기

    소개

    "학부, 대학원 연구계획서(대학생의 완벽주의적 자기제시가 대인불안에 미치는 영향 ; 자기비판의 매개효과)"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Ⅰ. 서론
    -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 연구문제 및 연구가설

    Ⅱ. 이론적 배경
    - 완벽주의적 자기제시
    - 대인불안
    - 자기비판

    Ⅲ. 연구방법
    - 연구대상 및 자료수집방법
    - 측정도구

    본문내용

    Ⅰ. 서론

    1.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현대 사회를 살아가면서 인간은 다른 사람들과 관계를 맺고 사회적 관계를 형성한다. 그 과정 속에서 사람들은 자신에게 향하는 다양한 시선들을 마주한다. 그렇기 때문에 자신이 타인들에게 어떻게 보여지는지를 항상 신경 쓰고 가능한 자신이 긍정적인 인상으로 비춰질 수 있도록 노력한다. 만약 경쟁구도로 돌아가는 치열한 사회에서 살아남기 위해 단순히 타인에게 긍정적인 인상으로 비춰지는 것을 넘어서서 극단적으로 자신의 결점과 실수를 감추고 완벽하게 보이려고 할 경우, 건강한 대인관계를 맺지 못할 가능성이 있다. 결국 이러한 완벽주의적 자기제시 성향은 타인에게 괜찮은 모습을 제시하려고 하지만 그것이 불가능하거나 불확실하다고 느낄 때 불안을 초래하게 된다. 이러한 불안은 결국 사회적 상호작용 속에서 대인관계에 대한 불안을 경험하게 된다.

    <중 략>

    2. 연구문제 및 연구가설

    본 연구의 연구가설 및 연구모형은 다음과 같다.


    연구문제 1. 대학생의 완벽주의적 자기제시, 자기비판, 대인불안은 어떠한 관계성이 있는가?

    가설1-1 대학생의 완벽주의적 자기제시 수준이 높을수록 대인불안 수준이 높아질 것이다.
    가설1-2 대학생의 완벽주의적 자기제시 수준이 높을수록 자기비판 수준이 높을 것이다.
    가설1-3 자기비판 수준이 증가할 수록 대인불안 수준이 높을 것이다.

    참고자료

    · 강병은, 신현숙(2015). 완벽주의적 자기제시가 사회불안에 미치는 영향 : 유능성 욕구 충족의 조절효과. 교육연구, 38, 77-95
    · 김남재(1995). 대인불안의 측정에 대한 연구. 한국심리학회, 14(1), 73-81.
    · 김다정(2013). 완벽주의적 자기제시가 사회불안에미치는 영향:자기효능감의 조절효과. 석사 학위논문. 연세대학교 대학원, 서울.
    · 김선은(2011). 남녀 고등학생의 평가염려 완벽주의와 사회불안의 관계 : 자기비난의 매개효 과.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서울.
    · 김효진(2017). 대학생의 완벽주의적 자기제시와 대인불안의 관계에서 자기불일치와 회피적 정서조절의 매개효과. 석사 학위논문.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서울.
    · 남유나(2014). 한국판 Thompson의 자기비난 수준 척도의 신뢰도와 타당도 연구. 석사 학위 논문. 영남대학교 대학원, 경산.
    · 남유진(2017). 완벽주의적 자기제시와 사회불안의 관계:대처방식의 중재효과. 석사 학위논문. 충북대학교 대학원, 청주.
    · 문희경(2013). 고등학생의 거부민감성과 대인불안과의 관계에서 자기격려의 조절효과. 석사 학위논문. 전남대학교 대학원, 광주.
    · 백수현(2012). 완벽주의적 자기제시와 사회적 불안과의 관계에서 정서자각 및 정서표현 양 가성의 매개효과. 전북대학교 대학원, 전주.
    · 송은영(2005). 청소년의 외상경험, 완벽주의 성향 및 부정적 사고가 사회불안에 미치는 영향. 석사 학위논문.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서울.
    · 이동귀, 서해나 (2010). 완벽주의적 자기제시성향이 높은 대학생과 낮은 대학생의 특성비교. 상담학연구, 11(1), 91-110.
    · 이재원(2006). 성인애착 유형에 따른 자아정체감과 대인불안의 관계. 석사 학위논문. 한국외 국어대학교 대학원, 서울.
    · 이혜미(2009). 수치심경험과 우울과의 관계에서 자기-비판적 인지양식과 회피,철수 대처의 매개효과검증. 아주대학교 대학원, 수원.
    · 정경숙(2017). 여대생의 대인불안과 대인관계. 한국산학기술학회, 18(1), 475-482.
    · 하정희 (2011). 한국판 완벽주의적 자기제시 척도(PSPS-K)의 개발과 타당화. 상담학연구, 12(4), 1211-1230.
    · 한상연(2015). 긍정적인 사회적 결과의 가치절하와 사회불안의 관계. 석사 학위논문. 서울대 학교 대학원, 서울.
    · 한성희(2015). 완벽주의적 자기제시가 사회불안에 미치는 영향 : 자기낙담, 인지적 정서조절 전략의 매개효과. 광운대학교 대학원, 서울.
    · 함성민, 현명호(2015). 자기초점 주의와 우울의 관계에서 반추적 반응양식에 의해 조절되는 자기비판의 매개효과: 남녀차이를 중심으로. 스트레스 연구, 23(4), 225-235
    · 홍선혜(2015). 완벽주의 성향이 자기은폐에 미치는 영향: 자기비난, 수치심의 매개효과. 가톨 릭대학교 대학원, 서울.
    · Blatt, S. J. (1974). Levels of object representation in anaclitic and introjective depression. Psychoanalytic Study of the Child, 29, 107-157.
    · Brian J. Cox, Claire Fleet, Murray B. Stein. (2004). Self-criticism and social phobia in the US national comorbidity survey. Journal of Affective Disorders 82, 227-234.
    · Brian J. Cox , Neil A. Rector , R. Michael Bagby , Richard P. Swinson ,Anthony J. Levitt , Russell T. Joffe. (2000). Is self-criticism unique for depression? A comparison with social phobia. Journal of Affective Disorders 57, 223–228.
    · Flynn, C. A. (2002). The impact of protective perfectionistic self-presentation on group psychotherapy process and outcome. doctoral dissertation, The University of British Columbia.
    · Hamachek, D. E. (1978). Psychodynamics of normal and neurotic perfectionism. Psychology: A Journal of Human Behavior, 15(1),27-33.
    · Hewitt, P. L, Blasberg, J. S., Flett, G. L. Besser, A., Sherry, S. B. Caelian, C., Papsdorf, M., Cassels, T. G. & Brich, S. (2011). Perfectionistic self-presentation children and adolescents: Developmentand validation of the perfectionistic self-presentation scale-juniorform. Psychological Assessment, 23(1), 125-142.
    · Hewitt, P. L., Flett, G. L., Sherry, S. B., Habke, M,, Parkin, M., Lam, R. W., McMurtry, B., Ediger, E., Fairlie, P., & Stein, M. B. (2003). The interpersonal expression of perfection: Perfectionistic self-presentation and psychological distres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logy, 84(6), 1303-1325.
    · Hewitt, P. L., & Flett, G. L. (1991). Perfectionism in the self and social contexts: conceptualization, assessmnet and association with psychopathology.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60(3), 456-470.
  • 자료후기

      Ai 리뷰
      지식판매자가 제공하는 자료는 질이 매우 높고, 주제에 대한 깊이 있는 분석이 인상적입니다. 이해하기 쉬운 설명과 다양한 예시 덕분에 활용하기 편했습니다. 정말 감사드립니다!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05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44 오전